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홈플러스가 온·오프라인 사업을 결합한 ‘올라인(Online+Offline)’ 플레이어로의 도약을 선언했습니다. 오프라인 인프라를 주축으로 온라인 시장으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로 보여집니다.
우선 홈플러스는 온라인사업 확장을 위해 기존 오프라인 매장의 ‘하드웨어’를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입니다. 오프라인 인프라를 유지하면서, 온라인은 급변하는 시장 트렌드에 맞춰 움직이겠다는 전략입니다.
홈플러스는 MBK파트너스 인수 이후 기존 점포 내 주차장 등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한 온라인 전용 물류센터 ‘풀필먼트센터’(Fulfilment Center)를 조성해 왔는데요. 온라인배송이 크게 몰리는 지역의 점포 물류기능과 규모를 확장했습니다. 물류센터 시공에 드는 거액의 비용과 기간, 관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전국 도심 곳곳에 위치한 점포 입지는 근거리 배송에 강점으로 작용 할 전망입니다.
또 ‘주부경력 9단’ 피커(Picker, 장보기 전문사원)들이 고객이 직접 마트에서 장을 보는 것과 같이 각 점포에 진열된 상품을 직접 골라 담아 원하는 배송시간에 맞춰 배송차량으로 보냅니다.
배송차량은 상온과 냉장·냉동 3실 시스템으로 운영돼 냉장 혹은 냉동상품이 실온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 하는데요. 고객이 직접 동네 편의점에서 물건을 사오는 것보다 상온 노출 시간이 더 짧아 아이스크림 조차도 온라인 배송이 가능합니다.
배송된 상품은 홈플러스의 ‘당일배송’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온라인의 ‘즉시배송’을 통해 출근길 혹은 퇴근길에 주문해 귀가하자마자 받아볼 수 있습니다.
홈플러스는 피커 인력을 현재 1900명에서 향후 3년 내 4000명으로 충원하고, 콜드체인 배송차량은 현재 1400여대에서 3200여대로 늘릴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홈플러스는 대형마트 뿐만 아니라 슈퍼마켓(SSM) 홈플러스 익스프레스에도 ‘올라인’ 모델을 적용해 촘촘한 배송망을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송승선 홈플러스 모바일사업부문장은 “오프라인 인프라를 주축으로 전국의 고객들을 향한 빠른 전환을 위한 ’피벗 플레이’에 전념해 ‘올라인(Online+Offline)’ 강자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