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Bank 은행

케이뱅크, 신임 행장에 이문환 BC카드 사장 내정

URL복사

Wednesday, March 11, 2020, 16:03:13

오는 31일 주총서 승인..자본확충 통한 경영정상화 과제

 

인더뉴스 박민지 기자ㅣ케이뱅크 신임 행장으로 이문환 BC카드 사장이 내정됐습니다.

 

케이뱅크는 11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를 열고 이 내정자를 2대 은행장 최종후보로 추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내정자는 1989년 KT에 입사해 신사업개발담당, 경영기획부문장, 기업사업부문장 등을 역임했습니다. 2018년부터는 KT 자회사인 BC카드를 2년여간 이끌며 금융 정보통신기술(ICT) 혁신성장에 앞장섰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이 내정자가 BC카드를 이끄는 동안 간편결제 플랫폼 '페이북' 가입자는 800만명으로 늘었습니다.

 

또 자체 안면인증 서비스를 도입하고 카드사 최초로 QR결제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의 굵직한 현안을 이끌었습니다. KT 재직 시절에는 국내 1호 금융보안데이터센터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했습니다. 이 내정자는 오는 31일 정기 주주총회 승인을 거쳐 케이뱅크 2대 은행장으로 공식 취임할 예정이며 임기는 2년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케이뱅크는 정운기 부행장의 1년 연임 안도 주총에 상정하기로 했습니다. 정 부행장은 우리은행에서 뉴욕지점 수석부지점장, 검사실장 등을 역임한 금융전문가로 케이뱅크 재무관리본부장을 맡고 있습니다.

 

이문환 신임 행장의 가장 큰 과제는 자본확충을 통한 경영정상화입니다. 앞서 케이뱅크는 지난해 4월 모회사 격인 KT가 5900억원의 유상증자에 나서 대주주가 되는 것을 추진했었으나, 관련 규제에 막혀 어려움을 겪고 있었습니다.

 

KT가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담합혐의 조사를 받은 이력이 있어 대주주로 올라 설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넷은행법에 따르면 대주주는 최근 5년 동안 금융관련 법령, 공정거래법 등을 위반해 벌금형 이상 처벌을 받은 사실이 없어야 합니다.

 

이에 케이뱅크의 자본확충을 위해 여야가 지난 5일 본회의에서 대주주의 적격성 요건을 완화하는 내용의 '인터넷전문은행 특별법 개정안'을 통과시키려 했으나 무산돼 자본확충 길이 또 다시 막히면서 벼랑 끝에 내몰린 상황입니다.

 

업계에서는 케이뱅크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으로 KT의 다른 자회사를 통한 우회 유상증자, 결격 사유가 없는 주요 주주의 자본금 확충, KT를 대신할 새로운 주주찾기 등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내정을 두고 KT가 자회사인 BC카드를 통해 케이뱅크의 유상증자에 우회적으로 참여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임추위 관계자는 “이 내정자는 금융과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탁월한 전략과 뚝심 경영으로 위기를 정면으로 돌파하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는 경영자로 정평이 나 있다”며 “형식보다 본질적인 소통을 중시하는 협업형 리더이기도 해 유상증자 추진 등 케이뱅크의 현안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적임자라고 판단했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민지 기자 freshmj@inthenews.co.kr

배너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삼성중공업, 3411억 규모 원유운반선 3척 수주

2025.10.24 11:42:06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중공업[010140]은 라이베리아 지역 선주로부터 원유운반선 3척을 3411억원에 수주했다고 24일 공시했습니다. 이번 계약으로 삼성중공업은 올해 총 52억달러 규모의 수주를 기록했습니다. 상선 부문은 수주목표 58억달러 중 45억달러(78%)를 수주했고, 해양 부문은 7억달러 규모의 예비 작업 수주에 이어 코랄 FLNG와 델핀 FLNG 수주로 목표액 40억달러 수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연간 수주 현황은 선종 별로 LNG운반선 7척, 셔틀탱커 9척, 컨테이너운반선 2척, 에탄운반선 2척, 원유운반선 9척, 해양생산설비(1기) 예비 계약 등 30척입니다. 다양한 선종으로 수주 포트폴리오를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 수주한 원유운반선 3척은 베트남 조선소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알려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거제조선소를 기술개발 허브로 육성하는 한편 LNG운반선, 친환경 컨테이너선, FLNG 등 고부가 가치 선박 건조 중심으로 특화하고 있습니다. 반면 원유운반선의 경우 설계, 주요 장비 구매 조달은 삼성중공업이 수행하고, 전선(全船) 건조는 중국은 물론 동남아시아 및 국내 조선소에 맡기는 방식으로 글로벌 오퍼레이션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7월 그리스 센트로핀과 11월 다이나콤 탱커스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총 8척을 싱가폴 팍스오션 그룹 산하 중국 주산 조선소에서 전선 건조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그리스 뉴쉬핑에서 수주한 원유운반선 2척은 국내에서 건조할 예정으로 이러한 협업 모델을 통해 국내 중소형 조선소와 상생 협력을 확대해 나갈 방침입니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최근 삼성중공업은 '인도 스완조선소' 와 조선사업 협력을, 미국 '비거마린그룹'과도 MRO를 포함한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며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응해 지속 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유연 생산 체계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