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mmunication 통신

이통3사 OTT 서비스 전쟁 속 여전히 유튜브 찾는 까닭은?

URL복사

Wednesday, December 04, 2019, 06:12:00

[권지영의 생경한 소식]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경쟁 심화..지상파·최신영화 등 제공
통신사별 동영상 플랫폼 장·단점 뚜렷해..종합백화점 형식 플랫폼으로 아쉬워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직장인 A씨는 출퇴근길 드라마 보는 재미에 빠졌습니다. A씨는 집에서 거실에 있는 TV 대신 소파에 앉아 스마트폰으로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서 잠드는데요. 잠들기 전 침대 안에서 미드(미국 드라마)를 보거나 지상파 방송을 보는게 취미입니다. A씨는 사용하고 있는 통신사의 동영상 서비스와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멜론 등을 구독하고 있는데요. 매달 지불하는 월정액이 부담이어서 한 군데로 정착하려고 고민 중입니다.

 

내 손안에서 모든 것이 해결되는 시대입니다. 손에 스마트폰 하나만 쥐고 있으면, 음악, 동영상, 정보, 사진, 금융, 심지어 개인 방송도 가능해졌습니다. 앞선 A씨의 사례처럼 아침에 일어나서, 잠들기 전까지 스마트폰과 함께 일상을 보내는 경우도 다반사입니다.

 

스마트폰을 가까이 두다보니, 월 정액으로 나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요. 음악 서비스 구독과 동영상 서비스, 집에 있는 IPTV까지 더하면 기본 3개 이상의 플랫폼을 구독하는 셈입니다.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OTT)의 이른바 춘추전국시대. 종합백화점식으로 OTT를 즐기려면 어느 이통사를 선택해야 할까요?

 

업계에 내놓은 이통3사의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를 비교하면 차별점이 크게 나타나지 않습니다. 지상파 채널의 실시간 방송과 다시보기 서비스, 최신 영화 등을 고화질(FHD)로 제공합니다. 회사별로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자체 콘텐츠 제작, 외국 플랫폼과의 협업 등을 통해 경쟁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통신사 OTT 서비스를 최신순으로 한 번 살펴볼까요? 동영상 서비스의 후발주자인 KT는 지난달 28일 Seezn을 론칭하면서 TV, 영화, 음악을 한 군데서 즐길 수 있도록 준비했는데요. 그 동안 동영상 서비스는 영상 콘텐츠만을 즐길 수 있었는데, KT Seezn은 영상과 함께 음원 서비스도 제공하는 것입니다.

 

실제로 A씨의 경우도 동영상 서비스에서 영화를 보다가 배경음악을 검색하기 위해 음원 서비스에 따로 접속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KT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OTT 서비스 중 영상에 삽입된 음악의 바로듣기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통신사로는 처음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바로듣기 음악 종류는 약 17만 곡이며, 점차 늘려나갈 계획입니다.

 

하지만, 최근 OTT 플랫폼의 경쟁력으로 꼽히는 자체 콘텐츠 라인업이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 한마디로 KT Seezn의 ‘킬러 콘텐츠’가 없다는 얘기입니다. 아쉬운대로 KT는 해외 콘텐츠 제공을 위해 디스커버리와 손잡고 전용 다큐멘터리 채널을 운영 중입니다.

 

현재 SK텔레콤이 제공하고 있는 웨이브(Wavve)도 지상파 방송, 최신영화, 음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서 웨이브는 지상파3사의 콘텐츠를 실시간/다시보기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강점이 있었지만, KT도 제공하면서 경쟁력이 저하됐다는 평입니다.

 

지상파와 협업하면서 CJ ENM 채널의 방송은 제공되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으로 꼽힙니다. SK텔레콤도 벅스(Bugs)와의 제휴를 통해 음원서비스를 제공합니다.

 

LG유플러스는 글로벌 OTT 최대 강자인 넷플릭스와 함께 서비스를 제공 중입니다. 경쟁사에선 “LG유플러스가 넷플릭스를 등에 업으면서 자체 플랫폼 색을 잃었다”는 평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글로벌에서 가장 인기 있는 드라마와 영화, 여기에 자체 콘텐츠까지 더해지면서 OTT의 강자로 꼽힙니다. 아쉽게도 음원 서비스나, 국내 콘텐츠 서비스 이용은 제한적입니다.

 

국내 OTT 서비스를 비교해본 결과, 통신사별 장점과 단점이 뚜렷해 어느 한 군데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이 같은 이유에서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OTT를 가입하는 대신 유튜브 프리미엄을 보겠다고 나선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유튜브 채널을 광고 없이 즐길 수 있고, 구독하는 채널의 콘텐츠도 먼저 감상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도 한 달 동안 무료로 체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데다, 이통사의 경우도 가입자를 대상으로 3개월 무료 프로모션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복수의 통신사 관계자는 “국내 OTT 시장은 지상파 콘텐츠를 중심으로, 어느 플랫폼에서 얼마나 많은 콘텐츠를 보여주느냐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올해 OTT 서비스를 시작한 곳도 있기 때문에 향후 어떤 곳과 제휴를 맺느냐에 따라 내년 OTT 시장에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2024.05.25 10:00:00

인더뉴스 김대웅 기자ㅣ진양곤 회장이 이끌고 있는 HLB그룹이 또다시 위기에 봉착했다. 이번에도 항암 후보물질 리보세라닙발(發) 악재다. 회사 측이 신약 허가에 대한 기대감을 드높이면서 주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던 터라 충격이 더 컸다. HLB 시가총액은 두달 전 16조원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6조원대로 쪼그라들었다. 3개월간 공식 IR만 15차례..영업익 2조 제시 24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HLB 주가는 이번 한주 간 24%대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주(-33%)에 이어 2주 연속 급락세를 이어간 것. 특히 지난 17일과 20일 이틀 연속 하한가의 충격이 컸다. 주가 변동성이 극심해지자 하루 거래대금이 수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지난 21일에는 하루 거래대금이 1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천하제일 단타 대회가 열렸다"는 우려 섞인 표현이 등장할 정도다. 진 회장을 비롯해 HLB 측은 올 들어 꾸준히 신약 허가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주가 부양의 지렛대 역할을 해왔다. 임상에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투여 요법에 부작용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고, 3년 내 점유율 50% 이상과 영업이익 2조원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계산도 내놨다. 코스피 이전 상장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대치를 끌어올렸다. 회사 측은 올 들어 공식 기업설명회(IR)만 15차례를 가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두 차례에 불과했다. 이같은 배경 하에 HLB 주가는 올 들어서만 최대 150%대 급등세를 나타내며 한때 시총 16조원대의 공룡이 됐다. 주총까진 좋았는데..늘어난 대차거래 지난해 11월부터 전면 금지된 공매도도 주가 방향 전환의 모멘텀이 됐다. 하루 수십억원에 달하던 공매도 물량이 사라지자 주가에 탄력이 붙었다. 일부 손절매하는 숏커버(공매도 상환) 물량도 힘을 보탰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졸지에 정반대 상황이 펼쳐지게 됐다. 현재도 HLB 공매도 잔고수량은 여전히 300만주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 16일(하한가 직전일) 기준 공매도 잔고는 3000억원대에 달한다. 1년전 400만여주에 달했던 공매도 수량은 지난해 10월 들어 900만주를 넘어서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며 HLB 주가를 짓눌렀다. 이에 진 회장은 적극적인 IR과 홍보 활동으로 기대감을 끌어올리며 주가를 떠받쳤고,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라는 천운이 따라주며 공매도는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롱포지션(주가 상승에 베팅)과 숏포지션(주가 하락에 베팅) 간 치열한 힘겨루기 상황에서 신규 공매도가 불가능해지자 롱포지션이 완전한 승기를 잡았다. 지난해 11월 3만원 초반대였던 HLB 주가는 올해 3월말 12만원대까지 치솟았다. 이에 HLB에 투자한 개인들도 환호했다. 주가 급등으로 인해 지난 3월 주주총회장은 축제를 방불케 했다. 리보세라닙 FDA 승인은 기정 사실로 여겨졌고, 주주들은 "우리 고니 하고 싶은 거 다해"(고니=진양곤 회장)라는 플래카드를 내걸며 진 회장을 추켜세웠다. HLB 주가는 주총 직전 고점을 찍은 뒤 현재 반토막 이하로 추락한 상태다. HLB 공매도 잔고는 최근 주가 급락으로 축소됐음에도 여전히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이어 세번째(코스닥)로 많다. 특히 최근 분위기 반전으로 '잠재적 공매도 물량'으로 불리는 대차잔고가 늘고 있다. HLB는 하한가 쇼크 직전일부터 이후 4거래일 동안 120만주가 넘는 신규 대차거래가 발생했다. 상환 수량은 하루 2만~8만 수준에 그친다. 이에 7% 후반대였던 대차잔고비율이 8.5%까지 높아졌다. 코스닥 시장에서 최근 일주일 간 대차거래 체결(주수) 1위 역시 HLB다. HLB생명과학은 74만여주로 3위에 올랐다.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 기준으로 보면 에코프로가 부동의 1위이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HLB그룹주가 상위에 랭크되는 모습이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LP(유동성 공급자, 주로 증권사)에 대해서는 허용하고 있다. 한편 국내 증시에서는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이 올해 6월 말까지 공매도 거래를 중단하는 조치 이후 꾸준히 감소하던 외국인 투자자의 차입 비중이 지난 3월을 기점으로 다시 늘어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주가 급등 후 쇼크'..5년 전과 닮은꼴 주요 신약 후보물질인 리보세라닙발 쇼크와 그에 따른 공매도 투자자의 환호는 5년 전과 유사한 패턴이다. 지난 2019년 6월 진 회장은 기업설명회를 열고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 발표로 HLB 주가는 이틀 연속 하한가로 내리꽂았다. 주가가 2017년 3배 가량, 2018년 2배 이상 오른 상태에서 일어난 일이다. 당시에는 현재보다 공매도가 더욱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다. 발표 전부터 대차거래가 증가세를 보이며 대차잔고비율이 30%를 넘어서기도 했다. 충격적인 발표 내용은 결과적으로 공매도 주체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줬다. 그 무렵 신라젠, 헬릭스미스 등 주목받던 바이오주들이 잇달아 실망스러운 임상 결과를 발표했고 공교롭게도 발표 직전 일제히 공매도가 급증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시가총액 규모가 크고 대규모 공매도 거래가 이뤄지는 바이오주에는 임상 실패 등에 대한 사전 정보 유출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총이 커진 바이오주들의 경우 임상이나 승인 결과가 실망스럽게 나오면 주가가 급락해 공매도로 단기간 큰 이익을 보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 바이오주들의 실패 발표 전 공매도 급증은 공교로운 측면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HLB는 지난해 1250억원의 영업손실과 206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누적 적자(연결 영업손익 기준)는 4100억원을 넘어선다. 운영비를 충당하고 자본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회사는 매년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같은 메자닌을 발행하거나, 3자배정 유상증자 또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HLB는 리보세라닙에 대한 첫 투자 이후 16년째 연구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