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mmunication 통신

“AI·로봇으로 통신망 장애 조치”...KT, OPS 관리시스템 공개

URL복사

Wednesday, September 04, 2019, 10:09:00

대전 대덕연구단지 OSP 이노베이션센터 기자간담회 열어
차세대 통신구·통신주·맨홀 관리 기술 발표..전국망 적용 예정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정보통신기술(ICT)로 망 구축 효율을 높이고 화재 감지·진압 등 안전성을 강화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지난해 발생한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와 같은 재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4일 대전 유성구 대덕연구단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OSP 이노베이션센터’와 새로 개발한 망 유지·보수 솔루션을 공개했다고 이날 밝혔다. 빅데이터에 기반한 OSP 관리시스템으로 통신 인프라 운용효율을 높이고 통신구, 맨홀 등을 로봇으로 관리해 안전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OSP(외부 통신시설·Out Side Plant)는 통신구, 통신주, 맨홀 등 기본적인 통신 인프라를 말한다. 현재 KT가 운용하는 전국 OSP는 통신구 230개(286㎞), 통신주 464만 개, 맨홀 79만 개다.

 

 

KT가 OSP 운용 기술을 강화한 이유는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에 접어들며 네트워크 인프라 안정성이 갖는 중요성이 덩달아 높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11월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는 인근 소상공인에게 실질적 피해를 주며 통신망 안전성을 향한 관심을 한층 높였다.

 

이날 공개된 OSP 이노베이션센터는 지난 7월 융합기술원 산하에 구축됐다. 대덕연구단지에 약 7만 6000㎡ 규모로 만들어진 이곳은 OSP 구축·운용과 관련된 기술개발과 검증이 이뤄질 예정이다.

 

KT는 지난 5월 네트워크부문에 ‘인프라운용혁신실’을 신설해 통신 인프라 시설 점검과 개선에 나서기도 했다. 또한 재난 상황을 대비해 긴급 통신 복구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 ‘아타카마(ATACAMA)’로 생산성 20배 높여..인프라 업무 통합 자동화

 

KT가 자체 개발한 OSP 관리시스템은 ‘아타카마(ATACAMA)’다. 7개로 분산돼있던 통신 인프라 업무 시스템을 빅데이터로 통합·자동화했다. 광케이블 설계부터 개통, 장애 인지까지 모든 과정이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자동화됐다.

 

KT에 따르면 이 시스템으로 기존 구간별 수동 설계에 약 100분이 걸리던 광케이블망 설계 작업이 5분으로 줄어들며 약 20배에 가까운 생산성 향상을 가져왔다. 설계 과정에서 AI가 최적 루트를 제시하고 이원화 루트를 자동으로 설계해준다.

 

선로 개통 프로세스에 걸리는 시간은 기존 약 50분에서 10분으로 단축됐다. 또한 네트워크 장애를 인지하고 세부 위치 파악이 더 수월하다. KT는 “보다 빠른 장애 조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화재와 맨홀 침수 자동 감지..로봇이 현장작업 수행

 

 

이날 KT는 로봇으로 통신구 화재를 감지·진화하고 AI로 맨홀을 관리하는 OSP 혁신솔루션도 공개했다. KT는 “감지만 할 수 있어서 개별 인력이 현장에 출동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업무 효율성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기존 화재감지기는 센서가 부착된 지점에서 발생한 화재만 인식했으며 센서 자체가 발화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게다가 유독가스로 진압이 쉽지 않았다.

 

이번에 개발한 ‘화재 감지 기술(CTTRS)’은 케이블 기반 분포형 온도계측 방식으로 통신구 전 구간에 걸쳐 온도 이상 변화를 감지한다. 온도 파악이 더 세밀하다. 평상시에는 온도 패턴을 미리 학습해 이를 기반으로 비정상 패턴을 자동 추출한다. KT는 화재 예측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단 온도 변화가 감지되면 통신구에 설치된 레일형·지상형 로봇 ‘사파이어’가 상황을 파악해 화재를 진화한다. 로봇은 5G로 원격조종되며 카메라로 현장 영상을 전송한다. 화재 진화에는 에어로졸 소화기를 사용한다.

 

이에 더해 KT는 AI 기반 분포형 음파 계측 방식으로 맨홀 침수 여부를 파악하는 ‘침수감지 기술(MFRS)’도 개발했다. 이 기술은 도로 아래에 깔린 광케이블로 맨홀 진동을 감지하고 음파 패턴을 기반으로 맨홀 침수 상태를 파악한다. 평상시 패턴을 학습해 침수됐을 때 변화를 감지한다.

 

침수가 확인되면 로봇 ‘빙수’가 현장에 출동한다. 자율주행 기반 원격조종 로봇인 빙수는 마그넷 리프터(Magnet Lifter)로 맨홀 뚜껑을 열고 진입해 자동 양수 작업을 수행한다. 360도 카메라와 유해가스 센서가 부착돼 맨홀 작업 시 안전사고 예방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KT는 ‘통신주 기울임감지 기술(PTRS)’도 개발했다. 외부에 통신 케이블을 연결할 때 설치하는 통신주는 일반적으로 높이가 5m 이상으로, 외부 충격에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PTRS는 원격으로 통신주 기울임을 탐지하는 기술이다. 불필요한 현장 출동을 줄일 것으로 보인다.

 

이날 KT가 공개한 기술들은 검증을 거쳐 전국 현장에 적용된다. 오성목 KT 네트워크부문장 사장은 “KT는 OSP 이노베이션센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통신 인프라 신뢰성을 한 차원 높이는데 지속적인 혁신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진솔 기자 jinsol@inthenews.co.kr

배너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위기의 HLB] ①‘FDA 쇼크-공매도 쾌재’ 재현…5년전 데자뷔

2024.05.25 10:00:00

인더뉴스 김대웅 기자ㅣ진양곤 회장이 이끌고 있는 HLB그룹이 또다시 위기에 봉착했다. 이번에도 항암 후보물질 리보세라닙발(發) 악재다. 회사 측이 신약 허가에 대한 기대감을 드높이면서 주가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던 터라 충격이 더 컸다. HLB 시가총액은 두달 전 16조원대까지 치솟았다가 현재 6조원대로 쪼그라들었다. 3개월간 공식 IR만 15차례..영업익 2조 제시 24일 한국거래소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HLB 주가는 이번 한주 간 24%대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지난주(-33%)에 이어 2주 연속 급락세를 이어간 것. 특히 지난 17일과 20일 이틀 연속 하한가의 충격이 컸다. 주가 변동성이 극심해지자 하루 거래대금이 수천억원에 달할 정도로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다. 지난 21일에는 하루 거래대금이 1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천하제일 단타 대회가 열렸다"는 우려 섞인 표현이 등장할 정도다. 진 회장을 비롯해 HLB 측은 올 들어 꾸준히 신약 허가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치며 주가 부양의 지렛대 역할을 해왔다. 임상에서 리보세라닙과 캄렐리주맙 병용투여 요법에 부작용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고, 3년 내 점유율 50% 이상과 영업이익 2조원대를 기록할 수 있다는 계산도 내놨다. 코스피 이전 상장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며 기대치를 끌어올렸다. 회사 측은 올 들어 공식 기업설명회(IR)만 15차례를 가졌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두 차례에 불과했다. 이같은 배경 하에 HLB 주가는 올 들어서만 최대 150%대 급등세를 나타내며 한때 시총 16조원대의 공룡이 됐다. 주총까진 좋았는데..늘어난 대차거래 지난해 11월부터 전면 금지된 공매도도 주가 방향 전환의 모멘텀이 됐다. 하루 수십억원에 달하던 공매도 물량이 사라지자 주가에 탄력이 붙었다. 일부 손절매하는 숏커버(공매도 상환) 물량도 힘을 보탰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졸지에 정반대 상황이 펼쳐지게 됐다. 현재도 HLB 공매도 잔고수량은 여전히 300만주를 넘어서고 있다. 지난 16일(하한가 직전일) 기준 공매도 잔고는 3000억원대에 달한다. 1년전 400만여주에 달했던 공매도 수량은 지난해 10월 들어 900만주를 넘어서는 등 가파르게 증가하며 HLB 주가를 짓눌렀다. 이에 진 회장은 적극적인 IR과 홍보 활동으로 기대감을 끌어올리며 주가를 떠받쳤고, 11월 공매도 전면 금지라는 천운이 따라주며 공매도는 급격히 줄기 시작했다. 롱포지션(주가 상승에 베팅)과 숏포지션(주가 하락에 베팅) 간 치열한 힘겨루기 상황에서 신규 공매도가 불가능해지자 롱포지션이 완전한 승기를 잡았다. 지난해 11월 3만원 초반대였던 HLB 주가는 올해 3월말 12만원대까지 치솟았다. 이에 HLB에 투자한 개인들도 환호했다. 주가 급등으로 인해 지난 3월 주주총회장은 축제를 방불케 했다. 리보세라닙 FDA 승인은 기정 사실로 여겨졌고, 주주들은 "우리 고니 하고 싶은 거 다해"(고니=진양곤 회장)라는 플래카드를 내걸며 진 회장을 추켜세웠다. HLB 주가는 주총 직전 고점을 찍은 뒤 현재 반토막 이하로 추락한 상태다. HLB 공매도 잔고는 최근 주가 급락으로 축소됐음에도 여전히 에코프로와 에코프로비엠에 이어 세번째(코스닥)로 많다. 특히 최근 분위기 반전으로 '잠재적 공매도 물량'으로 불리는 대차잔고가 늘고 있다. HLB는 하한가 쇼크 직전일부터 이후 4거래일 동안 120만주가 넘는 신규 대차거래가 발생했다. 상환 수량은 하루 2만~8만 수준에 그친다. 이에 7% 후반대였던 대차잔고비율이 8.5%까지 높아졌다. 코스닥 시장에서 최근 일주일 간 대차거래 체결(주수) 1위 역시 HLB다. HLB생명과학은 74만여주로 3위에 올랐다. 1개월, 3개월 또는 6개월 기준으로 보면 에코프로가 부동의 1위이지만 최근 일주일 사이에는 HLB그룹주가 상위에 랭크되는 모습이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은 모든 종목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하고 있지만 예외적으로 LP(유동성 공급자, 주로 증권사)에 대해서는 허용하고 있다. 한편 국내 증시에서는 지난해 11월 금융당국이 올해 6월 말까지 공매도 거래를 중단하는 조치 이후 꾸준히 감소하던 외국인 투자자의 차입 비중이 지난 3월을 기점으로 다시 늘어나는 흐름이 나타나고 있다. '주가 급등 후 쇼크'..5년 전과 닮은꼴 주요 신약 후보물질인 리보세라닙발 쇼크와 그에 따른 공매도 투자자의 환호는 5년 전과 유사한 패턴이다. 지난 2019년 6월 진 회장은 기업설명회를 열고 리보세라닙의 글로벌 임상 3상 결과가 목표치에 도달하지 못했다고 발표하며 시장에 충격을 줬다. 이 발표로 HLB 주가는 이틀 연속 하한가로 내리꽂았다. 주가가 2017년 3배 가량, 2018년 2배 이상 오른 상태에서 일어난 일이다. 당시에는 현재보다 공매도가 더욱 기승을 부리던 시기였다. 발표 전부터 대차거래가 증가세를 보이며 대차잔고비율이 30%를 넘어서기도 했다. 충격적인 발표 내용은 결과적으로 공매도 주체에게 큰 수익을 안겨다 줬다. 그 무렵 신라젠, 헬릭스미스 등 주목받던 바이오주들이 잇달아 실망스러운 임상 결과를 발표했고 공교롭게도 발표 직전 일제히 공매도가 급증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시가총액 규모가 크고 대규모 공매도 거래가 이뤄지는 바이오주에는 임상 실패 등에 대한 사전 정보 유출 가능성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시총이 커진 바이오주들의 경우 임상이나 승인 결과가 실망스럽게 나오면 주가가 급락해 공매도로 단기간 큰 이익을 보는 경우가 많다"며 "과거 바이오주들의 실패 발표 전 공매도 급증은 공교로운 측면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한편, HLB는 지난해 1250억원의 영업손실과 206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5년간 누적 적자(연결 영업손익 기준)는 4100억원을 넘어선다. 운영비를 충당하고 자본 규모를 유지하기 위해 회사는 매년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 같은 메자닌을 발행하거나, 3자배정 유상증자 또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HLB는 리보세라닙에 대한 첫 투자 이후 16년째 연구개발을 이어오고 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