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카카오가 일본에서 만화앱으로 승승장구하고 있다. 광고보다는 유료 결제로 매출을 채워 수익기반이 안정적이고 기존 만화책 시장을 잠식하지 않는 상생 생태계 조성으로 탄탄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카카오재팬은 지난 23일 만화 플랫폼 픽코마(piccoma) 출시 3주년 기념으로 파트너스데이 ‘픽코마 이야기 2019’를 일본 토호 시네마스 롯폰기 힐스에서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행사에는 한국·일본 출판사 관계자와 작가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픽코마는 파트너들이 참여하는 상생 생태계와 일본 만화시장 성장 방향을 발표했다. 또한 지난 3년간 이뤄온 지표들을 공개하며 글로벌 진출 의지도 표명했다.

픽코마는 지난 2016년 4월 출시 이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방문자 수와 매출은 2017년과 비교해 각각 2.2배, 2.7배 늘었다. 올해 1분기 매출은 전 분기에서 32%,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173% 성장했다.
이에 힘입어, 지난해 일본 iOS와 구글플레이 만화앱 통합 다운로드 1위에 올랐고 일본 앱스토어 ‘BEST OF 2018’ 앱으로 선정됐다. 콘텐츠 유료결제만으로 이룬 성과다.
모바일 활성화는 기존 종이 매체와 공존하며 일본 만화시장 전체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픽코마와 일본 광고회사 덴츠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에서 만화를 접하는 매체는 모바일 앱이 28.6%로 단행본 39.6%에 이어 두 번째였다.
종이 매체와 만화앱을 둘 다 쓰는 독자 40.1%는 일주일에 4일 이상 만화를 본다고 답했다. 이들 중 한 달 동안 만화에 쓰는 비용이 1000엔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9.3%다. 만화앱은 기존 종이 매체를 이용하지 않던 10~30대 젊은 여성층을 새 독자로 끌어들이고 있다.
또한 만화앱 이용자 75%는 종이 매체와 앱을 모두 활용하는데, 각 매체 이용 동기가 달랐다. 최신작을 볼 때는 만화잡지를, 좋아하는 만화를 차분히 읽고 싶을 때는 단행본을 이용한다고 답변했다. 만화앱 이용 동기는 원하는 때에 장르에 상관없이 만화를 볼 때였다.
픽코마는 자체 AI 추천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MAB(Multi Armed Bandit)과 유저 클러스팅을 이용한 개인화 추천, 만화가 끝나는 부분에서 유사작품을 추천하는 기술로 열람률을 높였다. 데이터 분석에 기반해 전용 티켓을 선물하는 전략으로 유료 결제액이 매출 81%를 차지한다.
IP 활성화를 지향하는 카카오의 전략에 따라, 픽코마도 자체 IP를 애니메이션과 드라마, 영화 등으로 영상화하고 한국의 카카오페이지·카카오M과 협력을 강화한다. 픽코마는 이러한 IP 활성화·카카오 시너지를 살려 글로벌로 나아갈 예정이다.
김재용 카카오재팬 대표는 “픽코마는 독자적인 비즈니스 모델과 추천기술로 종이책 기반 일본 만화시장을 모바일이라는 플랫폼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파트너 상생 강화·카카오 공동체와 협력으로 세계에서 돋보이는 콘텐츠 플랫폼이 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