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신한금융그룹이 지난해 창립 이후 최대 순이익을 달성하면서 KB금융그룹에 빼앗겼던 ‘리딩뱅크’ 지위를 1년만에 탈환했다. 그룹 계열사 간 협업 체계를 의미하는 ‘One Shinhan’ 전략을 통해 수수료 중심의 비이자이익을 개선한 것이 주효했다는 평이다.
신한금융지주(회장 조용병)는 12일 실적 발표를 통해 그룹의 작년 순이익이 3조 1567억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2017년(2조 9179억원) 대비 8.2% 증가한 실적이며 2011년 그룹 최대 실적(3조 1000억원)을 뛰어넘는 성과다. 4분기 실적은 5133억원으로 전년 동기(2133억원) 대비 143% 상승했다.
신한금융과 리딩뱅크 자리를 놓고 다투고 있는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의 작년 당기순이익은 3조 689억원으로 나타났다. 신한금융이 878억원 앞서면서 리딩뱅크 자리를 1년만에 되찾아 왔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2018년 실적에 대해 “이번 실적의 주요 특징은 ‘One Shinhan’ 협업 체계를 통해 신한만의 차별성을 재확인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은행과 더불어 금융투자, 생명, 캐피탈 등 비은행 부문의 실적이 약진해 그룹 차원의 경상 이익 창출 능력이 향상됐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 비은행 부문 당기순이익은 1조 507억원으로, 전년도 경상기준(일회성 손익 4670억원 제외) 순이익 9040억원에 비해 1467억원(16.2%) 증가했다. 특히, 신한금융투자(2513억원)와 신한생명(1310억원)의 순익이 각각 전년 대비 8.6%·17.5% 상승해 그룹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또한, 글로벌·자본시장 이익의 기여도도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글로벌 사업의 경우 순이익 3215억원을 기록해 전년보다 865억원(36.8%) 증가했다. 이와 관련, 신한금융 관계자는 “그룹 글로벌 매트릭스 조직을 기반으로 아시아 핵심시장에서 수익력 강화를 중점 추진한 결과”라고 말했다.
자본시장 부문의 경우 GIB(글로벌투자금융)와 PWM(개인자산관리)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년에 비해 각각 1761억원(58.1%)·429억원(10.0%) 성장했다. 신한금융 측은 올해에도 오렌지라이프, 아시아신탁 등 신규 사업라인과 협업시스템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그룹 내 최대 계열사인 신한은행은 작년 당기순익 2조 2790억원을 기록해 전년(1조 7120억원) 대비 5670억원(33.2%) 증가했다. 4분기 순익은 일회성 희망퇴직 비용으로 인해 전분기 대비 43.8% 감소한 3626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신한카드는 당기순이익 5194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43.2% 급감했다. 카드수수료 인하 등 대내외적 환경 요인으로 실적 향상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밖에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과 신한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각각 123억원·194억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