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서울지역 공인중개사 95%, 올해 서울 집값 안 오른다”

URL복사

Monday, January 07, 2019, 18:01:46

한국감정원,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조사 발표..서울·수도권 보합
지방은 하락 전망 우세..하락 이유로 LTV·新DTI 등 ‘대출 규제 강화’

[인더뉴스=이수정 기자] 최근 서울 주택값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올해 집값이 오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서울 지역 공인중개업자 10명 중 9명은 서울 집값이 보합세를 보이거나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감정원은 전국 6000여 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2019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7일부터 17일까지 11일 간 진행됐으며, 응답자 수(수도권 986명 52.8%, 지방 882명 47.2%)는 1868명이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에 영업장을 둔 대부분의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서울 주택 값이 보합(49.7%) 또는 하락(45.2%)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전망한 공인중개사는 4.7%에 그쳤다.

 

서울 집값 하락 전망의 이유로는 ▲LTV·신(新)DTI·DSR 등 대출규제 강화(43.5%) ▲공급물량 증가(26.9%) ▲지역 기반산업과 경기침체(10.5%) ▲보유세 개편 등 정부규제(9.6%)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승할 것이라고 본 이유는 ▲재건축·재개발·교통망 확충 등 개발호재(35.2%) ▲신축 및 신규분양 호조 영향으로 동반상승(18.2%) ▲대체투자처 부재로 인한 부동자금 지속 유입(13.6%) 순으로 꼽혔다.

 

 

서울 외 지역도 보합 혹은 하락 의견이 90%대를 상회했다. 수도권은 보합(48.7%) 의견이 하락(46.4%)보다 높은 반면, 지방은 하락(56.0%)이 보합(39.5%) 의견 대비 16.5%p 높게 나타났다.

 

전세 시장의 경우 전국 적으로 보합 의견이(52.1%)로 과반을 넘는 가운데 수도권(52.0%), 서울(54.5%), 지방(52.3%) 모두 보합 응답 비율이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는 국내외 경기와 세금, 대출, 재건축 등에 대한 정부정책과 신규 공급물량 금리 등 요인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2019년 주식 전망에 대한 일선 공인 중개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수정 기자 crystal@inthenews.co.kr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