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사람들이 보험을 가장 많이 검색하는 요일은 월요일과 화요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손해보험회사 검색 빈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초에 사고 처리 등을 위한 검색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금융감독원’을 ‘보험다모아’보다 더 많이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다모아의 검색 빈도가 소수 이해관계자들만 검색할 것으로 보이는 금융감독원보다 낮은 셈이다.
보험연구원(원장 한기정)은 이러한 내용이 포함된 ‘빅테이터에 나타난 보험산업’ 보고서를 발표했다. 네이버데이터랩과 구글트렌드의 검색어 빈도·트렌드 등을 사용했으며, 분석 기간은 2016년 1월부터 지난달 11일까지 약 3년이다.
일반적으로 보험과 보험 연관 단어의 검색 빈도가 높은 시기는 보험 관련 언론 보도 빈도가 높았던 때로 나타났다. 실제로, 작년 10월초 연휴 기간 동안에는 보험 검색 빈도가 현저히 낮았지만, 12월 19일 숨은 보험금을 찾아주는 시스템이 시작돼 언론보도가 많았던 날에 검색이 급증했다.

포털 사용자들은 주말과 연휴에 보험회사를 검색하지 않으며, 연휴가 끝나는 시점에 집중적으로 검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초에 해당하는 월요일과 화요일의 경우 다른 요일보다 손보사 검색 빈도가 높았다.
김석영·정원석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장기 연휴 때와 마찬가지로 주말에는 야외활동 등으로 보험회사를 찾지 않고, 주초에 사고 처리 등을 위한 검색이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나이대로 보면, 사용자 중 젊은층이 중·장년층에 비해 보험에 관한 검색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보험금, 보험회사 등 검색어 빈도가 25~39세 연령대에서 40~54세 연령대보다 더 높았다.
보험사별로는 A생보사의 경우가 특이했다. 보험계약이 전국에서 고르게 발생하면서도 검색은 수도권에서만 이뤄지고 있었다. D생보사의 전체 설계사 수가 915명인 것을 고려하면, 대부분의 보험계약이 지역 단위 방카슈랑스 채널에서 체결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밖에 ‘보험다모아’와 ‘금융감독원’의 검색 빈도를 비교한 결과, 도입 초기에는 보험다모아가 높은 검색 빈도를 기록하다가 나중에는 금융감독원보다 낮아졌다.
이와 관련, 김석영·정원석 연구위원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다모아의 검색 빈도가 소수 이해관계자들이 주로 검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융감독원보다 낮은 검색 빈도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