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삼양식품이 올해 1분기 해외시장에서 큰폭의 매출 성장세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성적표를 공개했습니다. 증권사들은 삼양식품이 이미 황제주에 등극했음에도 잇따라 목표주가를 상향조정하고 있습니다. 오는 하반기 본격 가동에 들어가는 밀양공장 생산량과 수출량을 감안하면 밸류에이션 부담이 우려되기 보다는 주가 추가상승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여기에 해외수출 모멘텀이 이제 막 부각되기 시작했다며 향후 높은 성장성이 기대된다는 평가입니다. 삼양식품은 지난 15일 1분기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37%, 67% 증가한 5290억원, 1340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분기 기준 사상최대 실적으로 삼양식품 핵심 지적재산권(IP)인 불닭볶음면 브랜드를 앞세운 해외시장 공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세부적으로 해외매출은 4240억원으로 47% 증가한 가운데 미국과 중국 매출이 각각 81%, 35% 확대된 1353억원, 1259억원을 기록했고 유럽에서도 246억원 매출을 올렸습니다. 이와 관련해 장지혜 DS투자증권 연구원은 "평균판매단가(ASP)가 높은 해외를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고 긍정적인 환율 효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대신증권은 16일 현대로템이 올해 1분기 디펜스솔루션 부문의 깜짝 실적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어닝 서프라이즈급 실적을 올렸다며 향후 예정된 K2 전차 납품 등을 감안하면 성장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고 목표주가는 기존 15만원에서 18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현대로템의 1분기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동기 대비 57.3%, 354.1% 증가한 1조1761억원, 2029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디펜스솔루션부문 매출이 6580억원을 기록, 107% 늘었다. 이태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3개 분기 연속 수출비중이 70%를 상회했다"며 "이에 따라 지난해 4분기 수준의 놀라운 수익성이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전분기 영업적자 1383억원을 기록했던 레일솔루션도 흑자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파악돼 부품 국산화에 기반한 원가경쟁력 확보로 흑자 지속이 기대되고 있다. 이 연구원은 K2전차 해외수출이 임박해 있고 동유럽 신규수주 기대감 또한 확대되고 있어 실적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폴란드 K2 2-1차 계약은 조건협상에 따른 비밀유지 의무로 인해 상세내용이 공유되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한화투자증권은 16일 농심에 대해 올해 2분기부터 이익 증가세로 전환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익에 대한 앞선 기대보다는 해외전략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50만원을 유지했다. 농심은 지난 15일 공개한 1분기 실적에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 증가한 8930억원, 영업이익은 9% 감소한 561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6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이 뒷걸음질치며 이익감소세 흐름이 이어졌다. 특히 미주시장 실적이 부진했다. 한유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국내에서는 3월 가격인상 발표에 따른 선수요로 내수 라면 매출은 5% 늘었고 유럽법인 설립 과정에서 채널 정비가 이뤄지며 물량이 감소해 수출 라면 매출은 5% 증가에 그쳤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주의 경우 신제품 입점에도 기존제품 매출감소로 현지통화 기준 매출은 7% 줄었는데 판촉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52% 감소했다"며 "중국에서는 온라인채널 유통 구조 변경으로 수익성이 개선돼 영업이익이 21%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 연구원은 농심의 2분기 매출을 전년동기 대비 6% 증가한 9082억원, 영업이익은 21% 늘어난 526억원으로 제시하며 6개분기만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한국금융지주가 자회사 한국투자증권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크게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 수준의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투자은행(IB)과 트레이딩 부문에서 우수한 수익 창출력을 보여준 것이 호실적의 기반이 됐다고 평가하며 신사업 진출에 대한 기대감까지 반영해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조정하고 있습니다. 한국금융지주는 지난 14일 발표한 1분기 잠정실적을 통해 지배주주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34.5% 증가한 4584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시장 추정치인 3390억원(에프앤가이드 기준)보다 33.2% 높은 수치입니다. 이번 호실적은 한국투자증권 IB 및 트레이딩 부문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둔 덕분이라는 평가입니다 IB부문에서는 주식발행시장(ECM), 채권발행시장(DCM)에서 고른 실적을 냈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부문 신규 딜 확대에 힘입어 1881억원의 수익을 올리며 14.4% 성장했습니다. 특히, 수수료 수익은 1275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정태준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트레이딩 및 상품손익 개선으로 인해 지배주주순이익이 시장 전망치를 크게 상회했다"며 "증권 별도이익은 4657억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머니마켓액티브 ETF(0043B0)' 순자산이 3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4일 종가 기준 ‘TIGER 머니마켓액티브 ETF’ 순자산은 3357억원입니다. 지난 4월22일 신규 상장한 해당 ETF는 단기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안전투자처로 주목받으며 상장 약 3주만에 순자산 3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국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14일 기준 'TIGER 머니마켓액티브 ETF’의 상장 이후 개인 누적 순매수는 135억원을 기록, 이는 현재 국내 상장된 머니마켓 ETF 중 가장 빠른 추세입니다. ‘TIGER 머니마켓액티브 ETF’는 초단기 채권과 CP(기업어음) 등에 투자하는 단기자금형 ETF 입니다. 기존 MMF(Money Market Fund)와 종목이나 듀레이션 등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은 유사하지만 상대적으로 운용 제한이 적고, 시가평가를 적용한다는 점에서 일반 MMF 대비 초과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14일 기준 YTM(만기기대수익률)은 2.96%로, 현재 국내 상장된 머니마켓 ETF 중 최상위권입니다. 평균 듀레이션은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NH투자증권(대표이사 윤병운)은 패밀리 오피스 가입 고객 대상 ‘Exclusive Family Office Seminar’를 15일 삼성동 파르나스 호텔에서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패밀리오피스 세미나는 예탁자산 100억원 이상 패밀리오피스 서비스 가입 고객중 기업경영인(법인CEO)을 초청해 진행하는 자리로 비공개 세미나로 진행됩니다. 이번 세미나는 기업 경영인을 위한 기관투자가급 맞춤형 주제로 진행됩니다. ‘글로벌 증시 전망’과 ‘국내 핵심 테마 종목 투자전략’에 대한 강연을 진행합니다. 또한 빌드블록의 이지웅 부대표가 ‘해외 부동산 투자 및 거주 전략’을 주제로 강의도 진행하며, 고객간 네트워크 형성도 함께 합니다. NH투자증권은 "패밀리오피스 서비스는 가문의 자산관리, 기업성장, 자산승계, 가치실현 등과 관련해 사내 및 외부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해 ‘가문 맞춤형 Total Solution’을 제공하고 있다"며 "특히 업계 최고 수준의 IB역량을 기반으로 고객의 자금수요와 투자니즈에 빠르게 대응하며, 이미 업계에서 검증된 OCIO운용 서비스도 차별화된 강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광수 WM사업부 대표는 “NH투자증권 패밀리오피스는 빠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삼성자산운용은 'KODEX AI반도체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이 2000억원을 돌파해 2192억원을 기록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3월말 순자산 1000억원을 넘어선 뒤 한달여만에 1000억원이 더 증가한 수치입니다. 인공지능(AI) 기술 발전과 반도체산업의 동반성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중 관세전쟁 완화로 투자금이 몰린 것으로 풀이됩니다. 연초 이후 지난 14일까지 수익률은 14.5%로 국내에 상장된 AI반도체 ETF 12개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1개월 수익률은 10.7%를 기록 중입니다. KODEX AI반도체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포함해 ▲5G(5세대) 이동통신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AI 등 AI반도체 관련 국내 대표기업들에 투자하는 ETF입니다. 지난 3월에는 AI반도체 핵심 종목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기초지수 리모델링을 진행했습니다. 시스템반도체 일부였던 AI반도체 시장이 커지면서 전반적인 시스템반도체 종목 편입에서 AI반도체 핵심종목에 집중투자하도록 변경했습니다. 투자대상 기업들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2개 종목에 대해 편입비중을 각 20%로 확대하고 이에 맞춰 타 종목의 비중을 재조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키움증권이 ‘사회초년생 자산 UP! 영상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 ‘사회초년생 자산 UP! 영상 공모전’은 키움증권이 젊은세대에게 실질적인 금융교육과 콘텐츠 확산을 목표로 올해부터 시작했습니다. 공모전 주제는 ‘사회초년생이 금융상품을 활용해 실질적인 혜택을 얻는 방법’이며 참가자는 각각 30초에서 120초 분량의 영상을 제작해 제출했습니다. 이번 공모전에는 120팀이 참여했다. 심사는 창의성, 주제 적합성, 전달력, 완성도의 네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이뤄졌습니다. 참가자들은 ISA, ELB,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를 어떻게 자산형성에 활용할지에 대해 재미와 위트로 각자의 시각에서 풀어냈습니다. 시상식은 지난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키움증권 본사(TP타워)에서 열렸습니다. 대상을 수상한 박민수씨(25세, 대림대)는 “평소 키움증권을 통해 사회초년생 금융상품 혜택을 받고 있었는데, 이번 공모전에 참여하게 되어 뜻깊었다”며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금융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어 의미 있는 경험이었다”고 말했습니다. 대상 수상자에겐 상금 500만원과 함께 키움증권 인턴십 기회가 제공됐습니다. 이밖에 최우수상(1팀), 우수상(3팀), 장려상(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키움증권은 15일 현대해상이 보험금 예실차 부진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순이익이 큰폭으로 줄었지만 보험계약마진(CSM)이 빠르게 회복되며 수익성 악화 우려가 완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은 '아웃퍼폼(Outperform·시장수익률 상회)'을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기존 2만8000원에서 2만6000원으로 하향조정했다. 현대해상은 지난 14일 1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57% 감소한 203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실적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이유는 보험금예실차가 크게 부진했기 때문"이라며 "상대적으로 높은 실적 변동성과 주주환원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안 연구원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CSM은 증가세를 보이며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는 완화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는 "신계약 CSM은 18% 증가한 4779억원이었는데 월초보험료가 15% 감소했음에도 요율 인상이 반영돼 신계약 CSM 배수가 10.4배에서 14.1배로 큰 폭으로 상승해 신계약 CSM 성장을 견인했다"고 진단했다. 이어 "보험금예실차 부진에 따른 실적악화는 다소 아쉽지만 지난해…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신한투자증권은 15일 메리츠금융지주에 대해 메리츠화재 실적부진을 증권이 상쇄한 가운데 메리츠금융지주가 진행하고 있는 주주환원정책을 고려하면 안정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4만3000원을 유지했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지난 14일 공개한 올해 1분기 실적에서 메리츠화재 별도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5.9%, 5.8% 감소한 6219억원, 4625억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임희연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해지율 상승 및 신계약 부진 영향으로 기말 보험계약마진(11조2000억원)이 지난해말 대비 소폭 감소했다"며 "예실차는 282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550억원 줄어 보험금과 사업비 예실차 모두 고르게 감소했다"고 평가했다. 증권에서는 연결 영업이익이 1482억원으로 집계 2.8% 줄었지만 지배주주순이익은 49.9% 증가한 1874억원을 기록, 실적 호조세를 이어갔다. 시장 우려가 컸던 홈플러스 관련 손익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판단이다. 임 연구원은 "해외 대체자산 배당수익 약 500억원이 영업외손익으로 인식돼 순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며 "홈플러스 관련 충당금 178억원, 준비금 225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이차전지 소재 기업 포스코퓨처엠이 1조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습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대규모 자금조달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 속에서 경쟁사 대비 우위를 확보할 계기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다만, 침체된 업황속에 단행된 대규모 증자인 만큼 주가의 단기 변동성 확대와 주주가치 훼손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은 따라서 향후 포스코퓨처엠이 실적을 통해 유상증자의 정당성을 입증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13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1조1000억원 규모 '주주배정 후 실권주일반공모' 방식으로 진행되는 유상증자를 발표했습니다. 총 1148만3000주가 신규 발행될 예정이며, 발행가는 9만5800원으로 이는 13일 종가(12만100원) 대비 약 20% 할인된 수준입니다. 주주배정은 포스코퓨처엠 최대주주인 포스코홀딩스에 47.8%(548만6186주, 5255억7661만원), 우리사주는 최대 20%(229만6600주, 2200억1428만원)까지 배정됩니다. 일반 공모는 32.2%, 약 370만주로 3544억8050만원 규모입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받은 자금을 시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삼성증권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이 3조271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13%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334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0.9% 늘었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로는 58.7% 증가했습니다. 세전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0.3% 감소한 3354억원(전분기 대비 62.7% 증가), 당기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9% 줄어든 2484억원(전분기 대비 68.2% 증가)을 기록했습니다. 별도기준으로는 매출 3조1942억원, 영업이익 3086억원, 법인세차감전이익 3096억원, 순이익 227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WM부문은 고객자산 순유입 및 금융상품 판매수익 증가 등 자산관리 기반 비즈니스가 성장을 지속했습니다. 1분기 리테일 고객자산이 10조1000억원 순유입됐고 , 고객 총자산 308조원을 기록했습니다. 또 펀드 판매수익이 전분기 대비 66.1% 늘어난 199억원, 연금잔고는 5.6% 증가한 22조5000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본사영업은 구조화금융을 중심으로 견조한 실적을 유지했습니다. IB부문은 구조화금융 575억원을 중심으로 전분기와 유사한 675억원을 기록했고 ECM의 경우 SGI서울보증, 엠디바이스 IPO 대표주관을 맡아 상장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법원이 남양유업과 홍원식 전 회장 간 용평 콘도 소유권 다툼에서 남양유업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14일 남양유업에 따르면 서울북부지방법원은 지난 13일 홍 전 회장이 회사 소유의 고급 용평콘도를 본인에게 매입하게 한 계약이 상법상 이사의 자기거래 규정에 위반돼 무효라고 1심 판결을 내렸습니다. 해당 부동산은 평창 용평리조트 내 최고급인 포레스트 레지던스로 1층 285.35㎡(86평), 2층 302㎡(91평) 규모입니다. 법원은 홍 전 회장이 2017년 7월 용평콘도를 본인에게 매도한 것을 두고 이사 직위를 남용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남양유업은 이 사건 매매계약을 승인하는 이사회 결의가 없었고, 설령 형식상 이사회 결의가 존재하더라고 홍 전 회장이 이해관계인임에도 스스로 찬성표를 던져 이사회 결의를 성사시킨 것으로 의결정족수를 충족하지 못해 상법상 '이사의 자기거래' 규정을 위반했다는 점에서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남양유업은 매매계약의 무효를 주장하며 지난해 해당 부동산에 대한 '처분금지 가처분' 및 본안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재판부는 1심 판결에서 남양유업과 홍 전 회장 간의 콘도 매매계약이 무효라고 판단했습니다. 이에 따라 홍 전 회장은 남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최근 미국의 관세협상이 진전되는 가운데 한국기업에 대한 관세부담이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내 주식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이에 연 17% 수준의 분배금을 받으면서 코스피200 상승 효과와 세제혜택까지 동시에 누릴 수 있는 ETF에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가 상장 이후 5개월여만에 누적 개인순매수 3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특히 지난 13일 하루에만 141억원의 개인순매수 유입돼 국내 상장된 983개 ETF 중 개인순매수 1위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전체로 보면 국내주식형 ETF 가운데 개인순매수 1위이며, 채권형 등을 포함한 전체 ETF에서도 5위에 올랐습니다. 꾸준한 개인 매수세로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순자산은 4000억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해 말 대비 855%로 늘어난 수치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은 월분배에 특화된 해당 ETF를 계속해서 모아가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매월 지급하는 안정적인 분배금과 비과세 혜택, 그리고 코스피200 지수 상승 참여 등 상품의 차별화된 설계가 작용한 결과라는 설
인더뉴스 최이레 기자ㅣNH투자증권(대표이사 윤병운) 나무증권이 해외주식 대체입고 이벤트 ‘나무로 주식 옮기고, 국내주식 새로고침 시작(시즌2)’을 실시합니다. 나무 고객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오는 6월30일까지 진행됩니다. NH투자증권은 타사 보유 해외주식을 나무 계좌로 옮기고 일정금액 이상 거래한 고객에게 투자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잔고는 7월31일까지 유지해야 하며 8월26일 투자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이벤트 참여를 원하면 나무증권 앱에서 이벤트를 신청한 후 타사에서 해외주식을 NH투자증권 나무 계좌로 입고하고 일정 거래 조건을 충족하면 됩니다. 순입금액 기준 리워드 규모는 ▲1000만원 이상 3만원 ▲5000만원 이상 10만원 ▲1억원 이상 30만원 ▲3억원 이상 50만원 ▲10억원 이상 100만원 ▲30억원 이상 200만원 ▲50억원 이상 300만원입니다. 최소 거래조건은 1000만원 이상, 1억원 이상 거래시 순입고 금액에 따라 투자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나무증권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가 국토교통부로부터 도심항공교통(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KT는 지난해 전남 고흥에서 진행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통합운용성과 비행 안전성, 관제 시스템 연동 등 주요 기술 요소를 검증했습니다. KT는 UAM 특별법에서 요구하는 장비와 인력 기준을 모두 충족했고 기술력과 운영체계를 갖춘 점을 인정받아 국토교통부로부터 UAM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하게 됐습니다. 도심항공교통법상 실증사업자 지위를 획득한 기관은 실증 성과에 따라 우선적으로 UAM 사업자로 지정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K-UAM 상용화 로드맵에서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입니다. 이에 KT는 10월 말부터 인천 계양에서 청라까지 이어지는 아라뱃길 구간에서 K-UAM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을 시행합니다. 이번 실증에는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인천국제공항공사, 대한항공이 K-UAM 원팀으로 함께 참여합니다. 국내 최초로 도심 환경에서 5G 항공망을 기반으로 한 UAM 운용 시스템의 통합 운용성의 점검이 이뤄지며 다양한 비정상 운항 상황에서 여러 UAM 이해관계자 간 통합 대응 능력을 검증하는 것이 이번 실증의 핵심입니다. 이를 위해 통신 장애, GPS 신호 불안정, 기상 악화, 기체 이상 등 실제 운항 중 발생 가능한 돌발 상황을 가정해 UAM 교통관리체계의 실시간 판단 및 통제 기능이 적절히 작동하는지 중점적으로 시험합니다. 기존 음성 기반의 비행 허가 절차를 자동화된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 전환해 고밀도 운항 환경에 적합한 디지털 운용 체계를 실증합니다. KT는 돌발 상황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력 확보를 위해 한국형 UAM 운용 개념과 e-VTOL 비행체의 비행 역학 모델을 반영한 자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통신 두절, GPS 오류, 기상 변화 등 다양한 돌발 상황을 가상 환경에서 재현해 기체와 교통관리체계 간 연동 대응 절차를 사전에 점검하는데 활용됩니다. 이외에도 KT는 5G 항공망 기반 초정밀측위기술(RTK-GNSS)을 기존 항공교통감시체계인 ADS-B, MLAT 기술과 연계해 ▲비협력 비행체 감시 ▲GPS 두절 상황 시 감시 등의 상황에서 저고도 공역을 안정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교통감시 체계를 검증할 계획입니다. 또한, UAM 운항에 필요한 실시간 데이터(감시정보, 기상, 비행계획 등)를 UAM 관계 기관과 공유하는 통합 정보 교환체계도 함께 실증합니다. 이를 통해 향후 UAM 상용화 초기 시점부터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방침입니다. 앞서 KT는 인천 아라뱃길을 따라 조성된 15km 길이 UAM 회랑에 800MHz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대역을 활용한 5G 항공망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료해 안정적인 5G 연결성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효율성이 높은 고이득 안테나를 적용해 기존 방식 대비 적은 수의 기지국만으로도 전 구간에 걸쳐 안정적인 통신이 가능합니다. KT는 이번 2단계 실증에서 UAM 운항 경로 전반에서 5G 항공망을 통한 통신 품질의 안정성도 검증할 계획입니다. 원만호 KT 기술혁신부문 Experience Engineering본부장은 "KT는 국토부의 실증사업자 자격을 획득하며 국내 UAM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확보했고, K-UAM One Team 5개사와 협력해 그랜드챌린지 2단계 실증 사업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라며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에 앞장설 시스템과 기술을 지속 고도화해 국가 신성장 동력 창출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가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업계 최초로 생성형 AI '퍼플렉시티(Perplexity)'를 탑재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적용 모델은 2025년형 마이크로 RGB, Neo QLED, QLED, OLED, 더 프레임 프로, 더 프레임 TV와 2025년형 M7, M8, M9 모니터입니다. 퍼플렉시티는 AI 기반의 검색 엔진으로 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자료를 수집·분석해 심도 있는 답변과 추가 질문을 제안합니다. 예를 들어 영화 추천, 여행 계획 수립, 스포츠 경기 결과, 기업 실적 결과 분석 등 주제의 사용자 질문에 맞춰 최적의 답변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TV와 모니터 화면의 앱스(Apps) 탭 또는 리모컨의 AI 버튼을 눌러 '비전 AI 컴패니언'을 실행한 뒤 퍼플렉시티 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퍼플렉시티가 탑재된 삼성 TV와 모니터 사용자들은 '퍼플렉시티 프로' 12개월 무료 구독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연내 OS 업데이트를 통해 2023년형, 2024년형 TV와 모니터에도 퍼플렉시티를 탑재할 예정입니다. 안희영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상무는 "업계 최초로 삼성 TV와 모니터에 퍼플렉시티를 탑재해 더욱 특별하고 개인화된 맞춤형 AI 스크린 경험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퍼플렉시티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들이 대형 스크린을 더욱 새롭고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라이언 푸티(Ryan Foutty) 퍼플렉시티 사업개발 상무는 "우리의 사명은 기존 검색 방식에 혁신적인 AI 기반 인터페이스를 결합해 사용자의 호기심을 해결하는 것"이라며 "세계 1위 TV 브랜드인 삼성과의 협업을 통해 전 세계 삼성 기기 사용자들에게 퍼플렉시티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에서 개인 맞춤형 AI인 '비전 AI 컴패니언(Vision AI Companion)'을 처음 공개한 이후, 글로벌 AI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사용자 맞춤형 스크린 경험을 확장해 나가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8월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을 2025년형 TV와 모니터에 탑재했으며 최근 퍼플렉시티까지 도입하게 됐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가 AI 홈 허브 'LG 씽큐 온(ThinQ ON)'을 본격 출시합니다. LG전자[066570]는 22일 온라인브랜드샵(LGE.COM)을 시작으로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LG 씽큐 온과 'LG IoT 디바이스'를 국내에 순차 판매한다고 밝혔습니다. LG 씽큐 온의 출하가는 24만6000원, LG IoT 디바이스는 4만~51만3000원입니다. IoT 기기 연결이 익숙하지 않은 고객도 씽큐 온 구매 시 전문기사 설치를 선택하면 전문 설치 엔지니어가 방문해 고객이 원하는 대로 맞춤형 AI 홈을 구성해 줍니다. 또, 집 안의 AI 가전, IoT 기기 등과 씽큐 온의 연결은 물론, 음성/원격 제어 및 가전 업그레이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은 "'LG 씽큐 온'은 일상 대화를 통해 마치 친구처럼 공감하며 소통하는 AI 홈의 핵심 허브"라며 "생성형 AI로 가전을 제어하고 고객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안하는 차별화된 AI 홈 고객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LG 씽큐 온은 고객과의 일상 대화를 통해 맥락을 이해하고 생활 패턴을 학습·예측합니다. 집 안 가전과 IoT 기기를 24시간 연결 상태로 유지하며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LG AI 홈의 핵심 기기입니다. LG 씽큐 온은 생성형 AI가 탑재돼 고객과 일상 언어로 대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이 외출 시 "하이 엘지, 에어컨 끄고 로봇 청소기 돌려줘. 그리고 한 시간 후에 제습기 틀어줘"라고 복잡한 명령을 내려도 기억하고 실행합니다. 또 여러 가전을 한 번에 켜고 끄거나 "하이 엘지, 침실에 있는 조명 모두 꺼줘" 등 공간별로 기기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LG전자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씽큐 온과 IoT 기기로 구성한 AI 홈 패키지도 선보입니다. 최적의 맞춤 수면 환경을 조성하고 싶은 고객은 씽큐 온과 스마트 조명 스위치, 스마트 전구 등으로 구성된 웰슬리핑(Well-Sleeping) 패키지가 추천됩니다. 전용 앱을 통해 설정된 취침 시간에 맞춰 조명이 서서히 어두워지는 동시에 에어컨, 공기청정기는 저소음 모드로 동작하고 연결된 IoT 블라인드는 자동으로 닫히는 등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스마트 버튼 ▲공기질 센서 ▲온/습도 센서 ▲도어 센서 ▲모션/조도 센서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조명 스위치 ▲스마트 도어락 등 다양한 LG IoT 디바이스를 포함한 '스마트스타트(Smart Start)' 패키지를 구매하면 집 안 전체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AI 홈으로 조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습기에 취약한 베란다, 드레스룸에 온습도 센서를 설치하면 습도가 높아졌을 때 씽큐 온이 연결된 에어컨이나 제습기를 자동으로 가동합니다. 공부방, 주방 등에 공기질 센서를 설치하면 미세먼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모션·조도 센서, 도어 센서 등으로 공간의 상태를 분석해 가전제품과 IoT 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능이 없는 가전도 씽큐 온과 IoT 기기를 활용하면 원격 제어가 가능합니다. 스마트 플러그를 헤어드라이어나 선풍기 등에 연결하면 외출 시에도 씽큐 앱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고 스마트 조명 스위치를 설치하면 조명을 음성이나 원격으로 켜고 끌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씽큐 온과 연동된 AI 가전 및 IoT 기기의 안전한 연결과 데이터 보호를 위해 자체 보안 시스템인 'LG 쉴드'를 적용했습니다. LG 쉴드는 제품 개발 단계부터 분석, 설계, 구현, 검증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을 제거하고 보안 검증을 통과한 제품에 부여되는 LG전자의 보안 시스템입니다. 개인정보 등 민감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 키(Key)를 분리된 공간에 저장해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한편, 외부에서 작동 코드나 데이터를 변조할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또, 최신 암호 기법을 적용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위협‧침입을 실시간 탐지해 차단합니다. LG 씽큐 온은 개방형 스마트홈 연동 표준인 매터(Matter) 인증을 받았습니다. 와이파이(Wi-Fi), 쓰레드(Thread) 등 연결 방식을 지원해 다양한 국내외 가전 및 IoT 기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또, LG 씽큐 앱의 통합 허브 앱스토어 '씽큐 플레이'를 활용하면 씽큐 온과 연동되는 ▲캘린더 ▲택시 예약 ▲음악 스트리밍 ▲날씨 등 약 800개의 앱 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제조사의 스마트 IoT 기기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모듈러 주택 '스마트코티지', 모빌리티 공간 솔루션 '슈필라움', 씽큐 '아파트 단지 연결 서비스' 등 AI 공간 솔루션을 통해 고객과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는 계획입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에이스 애널리틱스'는 AI 기반 글로벌 스마트홈 시장이 올해부터 연평균 21.3%씩 성장해 오는 2034년에는 1041억달러(한화 약 149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신세계그룹은 오는 30일 개막하는 ‘2025 대한민국 쓱데이’를 쇼핑을 넘어선 전국민 참여형 문화축제로 확대 개최한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올해 쓱데이는 그룹 역량과 외부 제휴를 결합해 고객이 직접 체험하고 참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다채롭게 마련됩니다. 공모전과 공연, 팝업스토어, ESG 캠페인 등 문화·환경·체험이 결합된 행사를 전국 주요 거점에서 진행합니다. 우선 오는 26일까지 자작시 공모전 ‘전국민 쓱쓱문학 프로젝트’를 열어, 쇼핑 중 있었던 이야기를 자작시로 응모한 고객 중 52편을 선정해 총 1338만원의 쇼핑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인기 작가 이환천이 쓴 예시작도 함께 공개됩니다. 스노우피크와 협업한 ‘감성 피크닉’은 내달 1일 에버랜드 인근 스노우피크 캠프필드, 같은 달 8~9일에는 신세계 파주 프리미엄 아울렛에서 열립니다. 현장에서는 라이브 공연, 토크쇼, 캠핑용품 체험 등이 마련됩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협업한 ESG 프로그램도 눈길을 끕니다. 이달 31일부터 내달 2일까지 스타필드마켓 일산점에서 ‘그린매직’ 팝업스토어가 열려 탄소중립 실천과 친환경 소비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방송인 타일러와 WWF(세계자연기금)가 함께하는 ‘낭만 토크쇼’, 셰프 임희원·명현지의 ‘낭만 푸드쇼’ 등도 진행됩니다. 쓱데이 기간 동안에는 2억원 규모의 ‘그린매직 캠페인’이 운영됩니다. 이마트, 백화점, SSG닷컴, 이마트24, 조선호텔 등 5개사가 참여해 캐나다 여행권, 숙박권, 상품권 등 총 1억원 상당의 경품과 그린카드 에코머니 1억원을 증정합니다. 또 스타필드에서는 ‘슈퍼셀 게임대회’, 영화 <위키드: 포 굿> 팝업스토어, 캐릭터 퍼레이드 등 이벤트가 열리며, 파주 프리미엄 아울렛에서는 굿윌스토어와 함께 1억원 규모의 자선바자회를 진행합니다. 판매 수익금 일부는 사회공헌활동에 사용됩니다. 신세계푸드의 레스토랑 데블스도어에서는 이달 30일부터 내달 9일까지 ‘쓱토버 페스트’를 열어 1L 라거와 빅사이즈 메뉴를 선보입니다. 한편, 신세계그룹은 올해 쓱데이를 맞아 보드게임 ‘부루마불’과 협업해 ‘부루마불 신세계여행 에디션’을 한정 출시합니다. 신세계 18개 계열사 이벤트에 참여하면 해당 한정판을 경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올해 쓱데이는 단순한 쇼핑 행사를 넘어 문화·환경·참여형 축제로 진화했다”며 “전국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축제의 장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제일약품(대표이사 성석제)은 지난 21일 서울 JW 메리어트호텔에서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큐보정(성분명 자스타프라잔)’ 출시 1주년을 기념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자큐보정이 출시된 이후 1년간 축적된 임상시험 결과와 실제 진료 현장의 치료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향후 인천과 부산 등 전국 주요 도시로 순차적으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서울 심포지엄에서는 서울아산병원 정훈용 교수가 좌장을 맡았고, 건국대학교병원 김정환 교수와 서울아산병원 김도훈 교수가 강연을 진행했습니다. 강연에서는 빠르고 지속적인 위산 억제 효과를 기반으로 한 P-CAB 계열 치료 전략의 임상적 근거와 자큐보정의 실제 적용 사례가 논의됐습니다. 김정환 건국대병원 교수는 “기존 PPI 치료에도 일부 환자에서는 위산 분비 관련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다”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P-CAB 계열 약물이 새로운 치료 전략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그는 “자스타프라잔은 미란성 식도염과 위궤양 환자 모두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해 기존 치료제 대비 임상적 유용성이 높다”고 덧붙였습니다. 김도훈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자큐보정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로, 기존 치료제에서 자큐보정으로 전환한 환자에서도 유의미한 증상 개선이 관찰됐다”며 “빠른 증상 개선이 필요한 환자, 주·야간 증상이 동반되는 환자 등 다양한 환자군에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또 “자큐보정은 현재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과 위궤양 치료에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제형 다변화와 적응증 확장을 통해 더 폭넓은 환자층으로 확대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일약품 관계자는 “자큐보정은 자회사 온코닉테라퓨틱스가 개발한 대한민국 제37호 신약으로, P-CAB 계열의 혁신적인 치료제”라며 “출시 1년 만에 시장 내 확고한 입지를 구축했으며, 앞으로도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신뢰받는 치료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대한항공[003490]이 2025년 3분기 잠정실적을 21일 발표했습니다. 글로벌 공급 확대와 가격 경쟁 심화, 그리고 비용 증가가 맞물리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감소했습니다. 대한항공의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323억원 줄어든 4조8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연료비는 다소 줄었으나 감가상각비와 정비비, 공항·화객비 등 주요 비용이 상승하면서 영업비용이 전반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은 역시 전년 동기보다 2423억원 감소한 3763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여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62억원 감소한 2조421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통상 3분기는 여름 휴가철과 맞물려 여객 수요가 높은 시기나 올해는 미국 입국 규정 강화 등의 변수로 국제선 수요가 위축됐고 지난해 9월에 있던 추석 연휴가 올해는 10월로 이연되면서 계절적 성수기 효과가 약화돼 매출이 줄어들었습니다. 화물 사업 매출도 전년 동기보다 531억원 줄어든 1조6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리스크 확대와 무역 갈등 영향으로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성장세가 둔화된 것이 주 원인으로 꼽힙니다. 대한항공은 올해 4분기에는 여객 수요 회복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10월 장기 추석 연휴와 연말 성수기 효과로 전 노선에서 실적 개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동계 시즌에 선호도가 높은 관광지를 중심으로 노선을 조정해 수익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화물 부문은 연말 소비 특수에 따른 수요 확대가 예상되지만, 무역 갈등으로 인한 수요 둔화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 환경 변화에 맞춰 공급을 유연하게 조정하고 전자상거래 물량 확대와 고부가가치 품목 유치를 강화해 이익 개선을 추진할 방침입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3분기에는 외부 변수로 인한 단기 실적 둔화가 있었지만, 4분기에는 성수기 수요와 전략적 공급 운영을 통해 실적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글로벌 물류 변화와 여행 트렌드에 대응해 수익 구조를 안정적으로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M엔터테인먼트 시세를 조종한 혐의로 기소된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이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서울남부지법 형사합의15부(양환승 부장판사)는 21일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김 센터장의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같은 혐의로 기소된 배재현 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에게도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행위자와 법인을 함께 처벌하는 양벌규정에 따라 기소된 주식회사 카카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도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김 창업자는 지난 2023년 2월 카카오가 SM엔터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경쟁사 하이브의 공개매수를 방해할 목적으로 SM엔터 주가를 하이브의 공개매수가(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해 시세를 조종한 혐의를 받았습니다. 앞서 검찰은 지난 8월 결심공판 당시 김 창업자에게 징역 15년·벌금 5억원을 구형했습니다. 재판부는 하이브의 SM엔터테인먼트 주식 공개매수 기간 중 카카오의 대규모 장내 매수가 시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이유만으로 시세조종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재판부는 “당시 시장에서는 하이브의 공개매수 기간이 끝난 뒤에도 SM엔터테인먼트 주가가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며 “카카오의 주식 매수가 시세조종이 아닌 물량 확보 목적이었다는 피고인들의 진술이 합당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검찰 주장과 달리 당시 카카오 측에 SM 경영권 인수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단정하기 어렵고, 카카오 투자테이블에서 은밀한 경영권 인수가 정해지거나 공개매수 저지 논의·시세조종 공모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김범수 센터장은 이날 무죄 선고 후 “오랜 시간 꼼꼼히 자료를 챙겨봐 주시고 이같은 결론에 이르게 해준 재판부에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그동안 카카오에 드리워진 주가조작과 시세조종이라는 그늘에서 조금이나마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카카오 측은 “1심 무죄 선고로 오해가 부적절했음이 확인된 것”이라며 “SM 인수 과정에서 김범수 창업자를 비롯한 카카오 임직원 누구도 위법적 행위를 논의하거나 도모한 바 없음을 다시 한번 말씀 드린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2년 8개월간 이어진 수사와 재판으로 카카오 그룹은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며 “특히 급격한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기 힘들었던 점은 뼈아프다. 이를 만회하고 주어진 사회적 소명을 다하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