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현대자동차가 독일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 독자들이 뽑은 ‘올해의 스포츠카’에 선정됐습니다. 현대차는 9일(현지시각) 고성능 모델 ‘i30 N’이 독일 내 최고 스포츠카를 가리는 ‘2020 아우토빌트 스포츠카 어워드(Auto Bild Sports Cars Award)’에서 ‘준중형 및 소형 자동차(Small and Compact Cars Category)’부문 ‘수입차(Import Winner)’ 항목 정상에 이름을 올렸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아우토빌트 스포츠카 어워드는 독일 유력 자동차 전문지 아우토빌트 자매지이자 스포츠카 및 고성능차량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아우토빌트 스포츠카’가 주최하는 상입니다. 다섯 가지 차급에서 세부 부문별 올해의 스포츠카를 선정합니다. 다섯 가지 차급은 ▲준중형 및 소형 자동차를 포함해 ▲세단 및 왜건(Sedan and Station Wagons) ▲스포츠카 및 로드스터(Sports Cars and Roadsters) ▲슈퍼카(Super Sports Cars) ▲밴 및 SUV(vans and SUV)으로 구성됩니다. 현대차는 지난 2018년(i30 N)…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제네시스 브랜드가 내놓는 첫 중형 SUV ‘GV70’이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제네시스는 8일 온라인으로 'GV70 글로벌 디지털 공개' 행사를 열고 GV70을 선보였습니다. 판매 개시는 내년 초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GV70은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외장 디자인, 여백의 미를 살린 운전자 중심 내장 디자인, '럭셔리 SUV'다운 안정적인 주행 감성 등이 특징이라고 제네시스는 설명했습니다. 전면부는 제네시스의 날개 형상 엠블럼을 쿼드램프와 크레스트 그릴로 형상화했습니다. 여기에 지-매트릭스 패턴을 라디에이터 그릴과 인테이크 그릴(앞 범퍼 흡기구)에 적용해 제네시스의 정체성을 표현했습니다. 옆면은 쿼드램프 상단에서 시작돼 차체를 가로지르는 아치형 라인인 '파라볼릭 라인'과 볼륨감 있는 리어펜더(바퀴 덮개)로 역동적인 느낌을 냈습니다. 후면부는 얇고 긴 쿼드램프로 강렬한 인상을 연출했습니다. 실내는 비행기 날개처럼 유선형(에어로다이나믹) 조형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습니다. 액정표시장치(LCD) 터치패드 적용을 확대해 실내 중앙부(센터패시아) 조작버튼 개수를 최소화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국토교통부가 국내외 자동차 제작 및 수입사에서 판매한 47개 차종 8만2657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됐다며 시정조치(리콜)한다고 밝혔습니다. 8일 국토부에 따르면 대상 업체는 현대차와 기아차, 한국토요타자동차,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에프씨에이코리아, 비엠더블유코리아 등입니다. 현대·기아차에서 제작·판매한 코나 전기차(EV) 등 4개 차종 5만2759대는 전동식 브레이크 시스템 소프트웨어 결함으로 브레이크 경고등 점등 시 브레이크 페달이 무거워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제동이 제대로 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제네시스 G90도 리콜에 들어갑니다. 해당 차종 184대는 전자제어장치(ECU) 제조 불량으로 ECU 내부에 수분이 유입돼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습니다. 한국토요타자동차에서 수입·판매한 캠리 하이브리드 등 24개 차종 1만5024대는 주행 중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료펌프 내 일부 부품(임펠러) 결함으로 연료펌프가 작동하지 않아 생기는 현상입니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를 공개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2일 공식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진행한 'E-GMP 디지털 디스커버리' 행사에서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 적용한 기술적인 특장점과 새로운 고속화 모터, 배터리 시스템을 선보였습니다. 이날 공개한 E-GMP는 전기차에 최적화된 차체 구조와 섀시, 모터, 배터리를 적용한 전용 플랫폼입니다. E-GMP 기반 전기차는 1회 충전으로 국내 기준 500㎞ 이상까지 주행합니다. 800V 충전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초고속 급속충전기 이용시 18분 안에 80%까지 충전할 수 있습니다. 또 E-GMP는 모듈화·표준화된 통합 플랫폼이라는 점을 활용해 전기차 라인업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고 제조 과정을 단순화해 생산 효율을 높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현대차는 다양한 차종을 E-GMP 기반으로 선보일 계획입니다.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h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 3.5초 미만, 최고 속도 260㎞/h 수준인 고성능 모델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지난달 국내 완성차 5개사 판매량이 내수에서 회복세를 나타냈습니다. 1일 완성차 5개사가 발표한 판매 실적을 취합한 결과 11월 국내외 판매는 67만713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9.8%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국내 판매는 14만3591대로 같은 기간(13만6천414대)보다 5.3% 증가했습니다. 현대차 11월 국내외 완성차 판매는 37만6704대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3% 감소했다. 국내 판매는 10.9% 증가한 7만35대로 집계됐습니다. 국내에서 그랜저가 1만1648대 팔리며 가장 많이 팔린 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제네시스는 대표 모델인 G80이 5019대 팔리며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제네시스는 오는 8일 중형 SUV인 GV70을 공개하고 실적 호조세를 이어간다는 계획입니다. 기아차는 국내 5만523대와 해외 20만5496대 등 총 25만6019대를 판매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국내는 3.9% 증가했습니다. 기아차는 해외에서도 판매량 호조를 이어가며 1.6% 증가한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쌍용차는 11월 1만1859대를 판매하며 10…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한국지엠 노사가 4개월간 협상을 거쳐 마련한 임금·단체협약 협상 잠정합의안이 노조 찬반투표에서 부결됐습니다. 노사 갈등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면서 한국지엠은 연내 경영정상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워졌습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조가 지난달 30일과 이날 조합원 7775명을 상대로 진행한 잠정합의안 찬반투표에서 7364명이 투표에 참여해 이 중 3322명(찬성률 45.1%)만 찬성하는데 그쳐 부결됐습니다. 조합원 규모가 가장 큰 부평에서 4514명 중 4429명이 투표에 참여해 1701명(찬성률 38.4%)만 찬성표를 던져 가장 낮은 찬성률을 보였습니다. 노조는 잠정합의안이 부결됨에 따라 2일 오후 교섭대표회의를 열고 이후 쟁의대책위원회(쟁대위)를 열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측은 노조의 향후 일정과 요구 등에 따라 이후 교섭 재개 여부 등을 정할 방침입니다. 다만 사측이 노조에 제안할 카드를 잠정합의안 도출 과정에서 소모한 상황이라 추가 교섭에 난항이 예상됩니다. 사측은 잠정 합의 당시 노사 간 입장 차이가 컸던 임금협상 주기 2년안을 철회한 데다 사측이 조합원 1인당…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쌍용자동차가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레벨3’ 임시운행 허가를 추가로 취득하고 다음 달부터 일반도로에서 시험 주행을 시작합니다. 30일 쌍용차에 따르면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자동차는 코란도 기반 자율주행 자동차로 지난 2017년 티볼리 에어 기반 자율주행자동차에 이어 2번째 차량입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6년 2월 시험·연구 목적 자율주행 자동차 임시운행 허가 제도를 도입해 실시하고 있으며 레벨3은 일상적인 상황에서 고속도로 등 일정구역을 자율주행 할 수 있는 수준을 말합니다. 코란도 기반 자율주행차는 차선 유지 및 변경, 차간 거리 및 속도 유지 기능이 있습니다. 또 고속도로 고정밀지도(HD map)와 정밀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톨게이트와 톨게이트 구간을 최고제한속도를 준수하며 주행하도록 설계됐습니다. 톨게이트구간 주행은 목적지에 따라 고속도로 분기점(JC)과 나들목(IC) 진·출입 주행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쌍용차는 램프구간 곡선구간 진입 시 사전에 주행속도를 줄이고 안전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주행 안정성 확보와 함께 기계적 이질감을 줄이는 부분에 심혈을 기울였…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한국지엠 노사가 24차례 교섭 끝에 임금 단체협약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습니다. 25일 한국지엠 노사는 ‘2020년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에 대한 잠정합의안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전날부터 이틀간 교섭을 거쳐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지난달 23일 시작한 부분 파업도 잠정합의안 조합원 투표까지 중단될 것으로 보입니다. 잠정합의안에는 회사 측이 내년 초까지 조합원 1인당 성과급과 격려금으로 총 40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노조 파업에 따라 사측이 보류했던 인천 부평1공장에 대한 1억9000만달러 규모 투자도 내년부터 집행하기로 했습니다. 인천 부평2공장 생산 일정을 늘리는 내용도 포함됐습니다. 현재 생산하는 차종의 일정을 시장 수요를 고려해 최대한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노조는 오는 2022년 8월 이후 생산 물량이 예정되지 않은 부평2공장에 신차를 배정해달라고 요구해왔습니다. 사측에서 노조에 제안했던 임금협상 주기를 2년으로 연장하자는 내용은 잠정합의안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통상 매년 한 번씩 임금협상을 진행합니다. 노조 측은 2년 주기 임금협상은…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가 순수전기차 및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를 포함한 세계 전기차 판매량 순위에서 4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기아차 ‘니로 EV’와 현대차 ‘코나 EV’ 등 주력 차량 판매 증가를 바탕으로 올해 높은 성장세를 보이며 선두 테슬라를 추격하고 있습니다. 23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 세계 77개국에서 전기차 13만대를 판매해 시장 점유율 7.2%를 차지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약 40% 늘어난 수치입니다. 점유율도 1년 만에 1.5%P 증가했습니다. 테슬라는 31만6000대를 판매하며 점유율 17.5%를 기록했습니다. 1년 만에 판매량은 19.6% 증가했습니다. 중국산 ‘모델 3’ 판매량이 올해 들어 8만대 이상 추가되면서 전체 판매량이 급등하는 효과를 봤습니다. 폭스바겐그룹은 가장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아우디 ‘E-트론 EV’와 폭스바겐 ‘파사트 GTE’ 등 인기 차종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185% 늘어난 23만3000대를 판매했습니다. 점유율은 12.9%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최근 노동조합이 부분파업에 돌입하면서 올해 흑자전환 목표에 비상등이 켜진 한국지엠이 예정된 2150억원 규모 투자를 재검토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잇따른 파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손실 때문에 집행하기 어렵다는 이유입니다. 일각에서는 투자 보류가 부평2공장 폐쇄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옵니다. 노조는 사측이 부평2공장에 신차를 배정할 의지가 없다며 사실상 공장 폐쇄를 염두에 둔 조치라고 반발하고 있습니다. 한국지엠은 6일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 생산을 위해 예정됐던 부평공장 투자와 관련한 비용 집행을 보류하고 재검토할 것”이라며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등으로 6만 대 이상 생산 손실로 현금 유동성 위기를 한 차례 겪었고 유통성을 확보해 회사 운영을 지속하기 위한 비용절감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습니다. 노조는 지난달 23일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두고 벌어진 사측과 갈등으로 잔업·특근 거부를 시작으로 지난달 30일과 이달 2일 부분 파업에 돌입했습니다. 지난 5일에는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이달 6일·9일·10일 각각 4시간씩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지난달 수입차 신규 등록 대수가 2만4257대를 기록했습니다. 폭스바겐(Volkswagen) 중형 SUV ‘티구안 2.0 TDI’가 할인 효과로 10월 한 달간 1089대가 팔리며 ‘베스트셀링카(가장 많이 팔린 차)’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지난달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9월 2만1839대보다 11.1% 증가했고 지난해 10월(2만2101대)보다 9.8% 증가했다고 4일 밝혔습니다. 올해 10월까지 누적대수는 21만6004대로 전년 동기와 견줘 14.2% 증가했습니다. 브랜드별 등록 대수는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6576대로 2개월 연속 1위를 기록했습니다. BMW 5320대·아우디(Audi) 2527대·폭스바겐 1933대 순이었습니다. 볼보(Volvo)가 1449대를 팔아 5위권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폭스바겐은 지난달 진행한 할인 행사에 따라 신규 등록 대수가 전월 대비 121.7% 증가했습니다. 티구안 2.0 TDI는 1089대가 팔리며 월간 수입차 베스트셀링 모델에 등극했습니다. 볼보 ‘XC40 B4 AWD’와 BMW ‘520…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국내 완성차업계가 지난달 국내와 해외 판매량 실적에서 격차가 발생하며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전반적으로 내수가 선방하는 동안 해외 판매는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2일 현대차·기아차·한국지엠·쌍용차·르노삼성 등이 발표한 판매실적을 종합하면 국내 자동차 5개사는 지난달 총 70만782대를 국내·외에서 판매했습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국내 판매량은 0.4% 증가했고 수출은 1.4% 감소했습니다. 현대차는 해외 판매를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국내 판매량은 6만5669대로 전년 대비 1.2% 늘었습니다. 해외 판매는 32만278대로 전년 대비 5.2% 감소했으나 지난 4월 이후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현대차는 ‘그랜저’ 1만 926대를 필두로 ▲아반떼(8316대) ▲쏘나타(5670대) ▲팰리세이드(6514대) ▲제네시스 G80(5268) 등 고른 판매량을 가져갔습니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해외 공장 생산량이 줄면서 판매량도 덩달아 감소했습니다. 기아차는 국내·외 판매량이 모두 늘었습니다. 국내 판매는 4만8009대로 전년 대비 1.8% 증가했습니다. 해외에서…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쉐보레가 최근 1년 새 수입 모델에 톱스타를 광고모델로 내세우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이전에도 스파크, 트랙스, 말리부 등 인기 차종들에 연예인을 광고모델로 활용한 적은 있었으나, 트래버스와 콜로라도 등 수입 모델도 스타 마케팅을 통해 가치를 높이고자 하는 전략으로 보입니다. 쉐보레가 수입 모델에 톱스타를 광고모델로 기용한 건 지난해 트래버스를 국내 출시하면서 입니다. 당시 쉐보레는 대형 SUV 트래버스의 얼굴로 배우 정우성을 내세워 주목받은 바 있습니다.수입차 브랜드로의 변신을 선언한 이후 과감한 마케팅 행보라는 점에서 업계의 눈길을 끌었습니다. 오랜 시간 대중들로부터 사랑받아온 배우 정우성은 트래버스의 간결하면서도 볼륨감 있는 차체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그는 트래버스만의 여유로운 공간과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자연스럽게 소개하며 광고모델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했습니다. 쉐보레는 현재 배우 이진욱을 주인공으로 한 ‘리얼 뉴 콜로라도’의 TV광고 두 편을 방영 중입니다. ‘에너지’편에선 최고출력 312마력을 자랑하는 리얼 뉴 콜로라도의 동력성능과 오프로드…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제네시스가 올해 공개 예정인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GV70’ 내·외장을 최초로 선보였습니다. 위장막 없는 GV70 100여 대로 전국 시험 주행을 시작합니다. 29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GV70 명칭은 ‘제네시스(Genesis)가 제시하는 다재다능한(Versatile) 럭셔리 차량’이라는 의미인 ‘GV’와 중형 차급을 뜻하는 숫자 ‘70(세븐티)’가 더해져 완성됐습니다. 고급스러우면서도 역동적인 디자인을 강조한 차입니다. GV70은 내년까지 제네시스가 계획 중인 6개 라인업 중 다섯 번째 차량입니다. SUV로는 지난 1월 출시된 GV80에 이은 두 번째입니다. GV70 전면부는 제네시스 로고의 방패에서 영감을 받은 크레스트 그릴을 헤드램프보다 낮게 위치 시켜 공격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고자 했습니다. 쿼드램프는 두 줄 디자인을 적용해 속도감과 역동성을 표현했습니다. 범퍼 하단에 엔진 하부 보호용 덮개(스키드 플레이트)를 달아 SUV가 주는 강인한 이미지를 연출했습니다. 측면부는 쿼드램프 상단에서 시작돼 차체를 가로지르는 아치형 라인인 ‘파라볼릭 라인(Pa…
인더뉴스 이진솔 기자 | 아우디와 BMW 등 23개 수입차 1만233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가 내려졌습니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리콜 대상은 비엠더블유코리아, 에프씨에이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스즈키씨엠씨에서 수입·판매한 일부 차량입니다. 비엠더블유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BMW X5 xDrive30d’ 등 14개 차종 6148대는 주차등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토부는 먼저 리콜을 진행하고 시정률 등을 고려해 과징금을 부과할 계획입니다. 에프씨에이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짚랭글러(JL)’ 2773대는 조향핸들 기둥(칼럼)과 전기배선 간 간섭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배선이 손상돼 시동이 꺼지거나 조향핸들 보조 기능이 작동되지 않을 가능성이 나타났습니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이전)한 ‘A8 50 TDI qu.’ 58대는 운전자지원 첨단조향장치 소프트웨어(SW)와 하드웨어(HW) 간 사양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여지가 있어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갔습니…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GC(녹십자홀딩스)의 미국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신규 GMP 제조시설과 미국 본사 개소 기념식을 열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설은 연면적 6만 제곱피트(약 5570㎡)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뉴저지주 노동청장, 주 하원의원, 지방 정부 인사 등 미국 연방·주·지방 정부 관계자와 허일섭 GC 회장, 허용준 GC 대표 등 GC 경영진이 참석했습니다. 미 연방 의원단은 기념 선언문을 전달하며 개소를 축하했습니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2022년 GC와 GC셀이 공동 인수한 세포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글로벌 상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회사인데요. 이 회사는 1200만 달러 규모 1단계 투자를 통해 시설 업그레이드, 첨단 장비 도입, 업무 시스템 디지털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전 주기 세포치료제 생산 역량을 갖췄으며, 2단계 확장 시 연간 최대 2000배치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 시설에는 ISO 7 등급 클린룸 5개, 품질관리 실험실, 공정·분석 개발 기능이 포함됐습니다. ERP, QMS, MES, LIMS 등 글로벌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개발부터 제조, 품질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합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FDA 및 유럽 기준을 충족하는 추가 GMP 클린룸 확장 계획도 발표됐습니다. 고속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확장 시설이 완공되면 프린스턴 본사는 세포치료제 임상·상업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이번 시설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차세대 세포치료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뉴저지 혁신경제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적극 지원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사이드 T. 후세인 메이드 사이언티픽 대표는 “이 시설은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한곳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세계적 생산 역량을 제공한다”며 “파트너들의 혁신 치료제 상업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동아에스티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크리스탈파이와 면역 및 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번 협약은 크리스탈파이의 AI, 양자물리학, 자동화 로보틱스가 결합된 지능형 자동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양사는 이를 활용해 면역 및 염증 질환의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퍼스트 인 클래스 및 베스트 인 클래스 후보물질을 탐색할 계획입니다. 크리스탈파이 플랫폼은 AI의 속도와 생성 능력, 로봇 자동화 실험의 정확성을 결합해 신약 탐색 범위를 넓힙니다. 분자 설계, 약물-표적 상호작용 예측, 자동화된 합성, 핵심 약리 특성 검증 등이 가능해 개발 효율성을 크게 높입니다. 동아에스티는 후보물질 타당성 평가, 약효와 안전성 검증, 전임상 및 임상 전략 수립 등 전 과정에 참여합니다. 동시에 파이프라인 확대와 상업화 가능성 검토도 병행할 방침입니다. 크리스탈파이는 2015년 MIT의 양자물리학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글로벌 제약사와 다수의 협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생명과학과 신소재 분야에서도 다양한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존 왕 크리스탈파이 수석부사장은 “동아에스티의 전문성과 크리스탈파이의 AI-로보틱스 플랫폼이 결합해 혁신적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할 것”이라며 “글로벌 환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저분자 화합물 중심에서 TPD, 바이오의약품, ADC, 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연구 영역을 전환하고 있다”며 “이번 협력이 전환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양사는 미국 보스턴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를 통해 공동연구를 추진합니다. 동아에스티는 이곳에서 글로벌 신약개발 네트워크를 확대하며 미래가치가 있는 기술과 플랫폼을 발굴할 계획입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SK텔레콤[017670]은 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서 선보인 SK그룹 전시관이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에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세계 3대 디자인 공모전으로 꼽히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3개 부문에서 수상작을 선정합니다. 올해 CES 2025 SK그룹 전시관은 메인 전시 공간에 실제 AI 데이터 센터를 구현한 듯한 웅장한 구조물을 마련하고, 외부를 둘러싼 LED 파사드와 내부에 배치한 높이 6m 대형 LED 기둥을 통해 SK그룹의 AI 데이터 센터 관련 역량을 생생하고 실감나게 전달했습니다. 전시관 입구 정면에는 2m×2m 크기의 대형 키네틱 LED 21개를 활용한 ‘혁신의 문’을 설치, 모든 AI 데이터는 하나의 점에서 시작되며, 이 데이터들이 연결돼 AI 혁신이 시작된다는 개념을 역동적으로 소개해 관람 몰입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전시관 출구에 설치한 미디어 아트 ‘지속 가능한 나무’를 통해서는 66개의 삼각형 키네틱 LED의 빛과 움직임으로 SK가 추구하는 지속 가능한 미래 비전을 창의적으로 소개했습니다. SK그룹 전시관은 지난해와 올해에 걸쳐 2년 연속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꼽은 ‘CES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에 선정된 바 있습니다. 또 2022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으로 미국 내 전시·행사 최대 기업인 이그지비터 미디어 그룹이 선정한 ‘CES 최우수 전시기업’ 중 하나로 선정됐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이마트 경산점이 19년 만의 리뉴얼을 통해 오는 21일 ‘스타필드 마켓’으로 새롭게 문을 엽니다. 죽전, 일산, 동탄에 이어 네 번째 매장이자 수도권 외 지역 첫 매장입니다. 스타필드 마켓은 지난해 8월 첫 선을 보인 후 1년 만에 4개점으로 확대됐습니다. 이마트는 젊은 가족 인구 유입이 많은 경산의 성장 잠재력과 입지를 고려해 이번 출점을 결정했습니다. 경산의 20~30대 인구 비중은 29.9%로 대구와 전국 평균을 웃돌며, 산업단지 개발과 아파트 입주로 도시 규모도 확대 중입니다. 그러나 몰링 공간은 부족해 역외 쇼핑 수요가 높은 상황이었습니다. 경산점은 영업면적 5670평, 3개 층으로 구성된 복합 체험 공간입니다. 2층에는 스타필드 마켓 중 최대 규모 ‘북그라운드’를 마련했으며, 영풍문고·스타벅스와 연계된 휴식 공간을 제공합니다. 맛집도 대거 입점했습니다. 대구 돈카츠 전문점 ‘오이시카츠’, 중식 ‘댄싱홍콩’, 마늘 레시피로 알려진 ‘매드포갈릭’이 들어섰습니다. ‘신세계 팩토리스토어’와 대구경북 최대 규모 ‘무인양품’도 입점했습니다. 3층에는 기존 문화센터를 확장한 ‘컬처클럽+트니트니 PLUS’와 대형 다이소 매장이 준비됐습니다. 특히 놀이·교육 특화 시설은 유아동 고객에게 주목받을 전망입니다. 1층은 이마트 매장을 2개 층에서 1개 층으로 압축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가전문화 특화존을 입구에 배치했고, 식료품과 생필품을 한 층에서 구매할 수 있게 했습니다. 반려동물 동반도 가능합니다. 예방 접종을 완료한 5kg 미만 반려견·반려묘는 펫모차·켄넬 이용 시 동반 입장이 허용됩니다. 이마트와 일부 매장을 제외한 약 70% 매장이 적용 대상입니다. 개점 기념 공연도 열립니다. 23일 ‘캐치! 티니핑 싱어롱 미니콘서트’, 30일 ‘위플레이 곡예 비행공연’을 비롯해 다양한 문화 행사가 예정돼 있습니다. 세부 일정은 이마트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앞서 7월 문을 연 동탄점은 개점 2주간 매출이 전년 대비 52% 늘고 방문객 수가 18% 증가했습니다. 특히 테넌트 매장 매출은 3배 이상 증가해 집객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이마트 위수연 개발혁신본부장은 “경산점을 지역 대표 쇼핑 공간으로 조성해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겠다”며 “장보기와 여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스타필드 마켓을 선보이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당국이 중대재해 발생기업에 대출 규모와 금리, 만기연장 등 여신상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검토합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산업재해 엄정대응 기조에 발맞춰 금융당국이 금융부문 규제책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는 19일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중대재해 관련 금융부문 대응 간담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앞서 7월29일·8월12일 열린 국무회의 후속조처로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은행연합회,금융투자협회, 한국산업은행, IBK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신용정보원, 한국ESG기준원, 한국평가데이터, BNK금융그룹 등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자금중개라는 금융의 본질적 기능과 리스크 관리라는 내재적 특성을 활용해 중대재해 근절 같은 사회적 문제해결에도 금융이 기여해야 한다"며 "금융부문의 다각적인 노력이 중대재해 예방문화 안착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금융당국은 '패널티&인센티브' 양방향 대응원칙을 분명히 했습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금융권 여신심사에 중대재해 리스크를 적시에, 적절히, 확대 반영하겠다"며 "중대재해 발생이 대출규모와 금리, 만기연장 등 여신상 불이익이 되도록 금융권 심사체계를 개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중대재해 예방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잘하는 기업에는 대출을 확대하고 금리를 낮추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습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금융업권·유관기관도 금융부문의 선제적 리스크 관리와 사회·경제적 역할에 공감을 표하며 의견을 나눴습니다. 이들은 대출 약정시 중대재해 리스크를 한도축소·인출제한 사유에 반영해 기존 대출에도 불이익을 주는 방안, 정책금융에선 중대재해 내용을 PF 보증심사에 반영하거나 시장안정프로그램 지원순위·금리·수수료에 페널티를 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권대영 부위원장은 자본시장 공시·평가 부문과 관련해 "중대재해가 발생하면 주가나 채권수익률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 만큼 중대재해 발생 즉시 기업이 공시(거래소 수시공시)하도록 해 투자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ESG 평가기관이 중대재해 사실을 충분히 감안하도록 가이던스를 개정하고 연기금·자산운용사 같은 기관투자자가 중대재해에 대해서도 수탁자의 투자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스튜어드십코드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기관투자자 행동지침 이른바 스튜어드십코드(stewardship code)는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으로 기관투자자가 타인 자산을 관리·운용하는 수탁자로서 책임을 다하기 위해 이행해야 할 7가지 원칙을 말합니다. 기관투자자는 세부원칙을 모두 지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일부 원칙을 이행하지 않을 때에는 그 사유와 대안을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한국 스튜어드십코드에는 2024년 현재 4대 연기금과 125개 운용사 등 222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선 한국평가데이터와 BNK금융그룹이 안전보건평가와 산업재해 예방자금 지원을 결합한 자발적 협업사례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BNK금융은 최근 NICE평가정보·한국평가데이터와 '기업체 산업재해 인식개선사업 업무협약'을 맺고 산업재해 발생률이 높은 부산·울산·경남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위험요인 진단, 안전보건 평가 및 컨설팅 지원, 산재예방 금융지원 등 다양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신용정보회사가 기업의 안전보건 관리체계·이행상황·투자·사후대책을 평가해 컨설팅을 제공하면 그 결과를 토대로 기업의 안전시설 개선에 필요한 자금을 금융회사가 지원해주는 구조입니다. 지역기업 산재예방을 위해 금융권 최초로 민간협력 체계를 구축한 것이라고 BNK금융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이밖에도 은행연합회와 정책금융기관은 중대재해 관련 정보의 집중 및 일괄공유 체계 구축, 신용정보원은 정보 집중·공유를 위해 필요한 법적근거 보완, 전산 인프라 개선을 제언했습니다. 금융위는 "이번 간담회에서 금융부문 대응방향과 현장의견이 심도있게 공유됐다"며 "향후 정부·금융회사·유관기관은 조속히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중대재해 이슈는 범정부 차원의 협업이 중요한 만큼 금융위는 간담회 내용을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공유하고 협력이 필요한 사항은 적극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KG모빌리티(이하 KGM)는 KOTITI시험연구원(코티티)과 배터리 및 모빌리티 기술 관련 법규 대응과 시험 평가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지난 14일 평택 KOTITI E-Mobility 센터에서 열린 체결식에는 심준엽 KGM ECO파워센터 상무와 김민 KOTITI 이사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KOTITI시험연구원은 자동차와 전기전자 부품 시험·검사 전문기관으로, 국내외 규제와 인증 대응 교육 및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평택에 E-모빌리티센터를 설립했으며 지난 5월 배터리 시험동을 완공하는 등 차세대 배터리 시험·인증 역량을 갖췄습니다. 양측은 이번 협약을 통해 차세대 배터리 개발 시험과 인증, 자동차 소프트웨어 신뢰성 평가, 부식·진동·충격 시험 등 모빌리티 관련 신규 인증 시험과 표준화까지 폭넓게 협력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KGM은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 등 강화된 국내 법규 시험에 신속히 대응하고, 유럽 GTR(Global Technical Regulations) 권고에 맞춰 인증 시험과 배터리 개발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입니다. 배터리 안전성 인증제는 전기차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판매하기 전 국토교통부가 직접 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인증하는 제도로, 지난 2월부터 시행 중입니다. KGM은 이를 기반으로 열폭주를 방지하는 ‘열전파 차단 안전성 기술(No Thermal Propagation)’ 개발에도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KGM 관계자는 “KOTITI와의 협력으로 국내외 법규와 규제 대응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친환경차와 차세대 모빌리티, 배터리 기술 개발을 가속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동원F&B(대표 김성용)는 신 성장 동력으로 아이스크림 사업을 선정하고 본격적인 카테고리 확장에 나섰다고 19일 밝혔습니다. 동원F&B는 첫 아이스크림 제품으로 ‘덴마크 하이 그릭 프로즌 요거트’를 출시했습니다. 신제품은 유가공 브랜드 ‘덴마크 하이’의 그릭 요거트를 얼려 만든 제품입니다. 덴마크산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으며 100ml 기준 당류 2g, 지방0.6g의 저당·저지방으로 설계했습니다. 동원F&B는 발효유, 백색 시유, 가공유, 커피 등 유제품과 말차, 홍차 등 음료 제품군을 보유한 만큼 이를 활용해 아이스크림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입니니다. 동원F&B 관계자는 “건강을 즐겁게 관리하는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따라 열량과 당류 등 영양 성분까지 고려한 아이스크림이 주목 받고 있다"며 "40여년 동안 쌓아온 유가공, 음료 기술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아이스크림 제품을 국내외 시장에 선보이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