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국립한국해양대학교는 지난 4일 교내 방파제 도로와 해상 일원에서 ‘2025 전국대학생 해양 AI 모빌리티 경진대회(OceanX 2025)’를 성황리에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개교 80주년 기념행사의 대미를 장식하며 전국 대학생과 글로벌 참가자 1500여 명이 운집했습니다.
이번 대회는 국립한국해양대 인공지능공학부와 RISE 사업단이 주관하고, 부산광역시와 부산 라이즈혁신원이 주최했습니다. 또한 KIOST, KOMERI, LIG넥스원 등 주요 해양·자율시스템 기관과 기업이 후원했습니다.
‘OceanX 2025’는 부산에서 최초로 열린 전국 대학생 대상 AI 모빌리티 경연이자, ▲해양 AI 모빌리티(무인수상정) ▲디지털 트윈 ▲피지컬 AI 자율주행 등 미래형 자율주행 기술을 통합적으로 다룬 국내 첫 행사로 평가받았습니다.
참가팀들은 ‘수상 모빌리티 챌린지’, ‘디지털 트윈 챌린지’, ‘방파제 자율주행 드래그 레이스’ 등 세 가지 부문에서 실제 해상과 도로를 무대로 박진감 넘치는 실증 경쟁을 펼쳤습니다. 치열한 경연 끝에 국립한국해양대 One Boat팀(지도교수 신동훈, 팀장 정인성)이 해양 AI 모빌리티 부문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디지털 트윈 챌린지에서는 같은 대학의 SMART팀(지도교수 이혜원, 팀장 박시은)이 대상을 차지했고, 피지컬 AI 자율주행 부문에서는 가천대학교 GADIS팀(지도교수 이기범, 팀장 정범교)이 영예를 안았습니다.
서동환 해양과학기술융합대학 학장은 “미래 해양 AI 기술을 선도할 전국 인재들이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대회였다”고 말했습니다.
신동훈 인공지능공학부 학부장은 “본 대회는 강의실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학생과 교수진이 함께 실증한 피지컬 AI 교육의 성과를 보여준 자리였다”며 “이는 대학교육의 미래를 제시한 사례”라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경진대회는 정부가 추진하는 ‘AI 3대 강국’ 비전과도 궤를 같이합니다. 정부는 5년간 6조원을 투입해 ‘피지컬 AI’ 산업 기반을 조성하고, 지역별 R&D 거점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류동근 국립한국해양대 총장은 “OceanX 2025는 정부의 피지컬 AI 육성 비전을 실현하는 첫 단계”라며 “부산시와 협력해 자율운항선박과 무인수상정, 자율주행차를 아우르는 피지컬-AI 혁신의 핵심 인재를 양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부산 영도를 무인자율모빌리티 실증 캠퍼스 타운으로 발전시켜, 대한민국 피지컬-AI 연구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이번 대회를 통해 얻은 성과를 바탕으로 내년에는 글로벌 대학과 산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국제 해양 AI 모빌리티 페스티벌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