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차세대 양자과학기술 핵심 기초원천연구’ 사업에 선정됐다고 1일 밝혔습니다. 이번 과제를 통해 부산대는 양자컴퓨터의 핵심 기반 기술로 꼽히는 ‘위상초전도체’ 개발에 본격 도전하게 됐습니다.
이번 연구는 물리학과 옥종목 교수를 책임연구자로 하여 박성균, 황춘규 교수와 함께 진행됩니다. 또한 UNIST 오윤석 교수, KAIST 조길영 교수, 창원대 서순범 교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장동진·함웅돈 박사 등이 공동 참여해 국내 대표 연구진이 협력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추진됩니다.
연구팀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5년간 국비 45억원과 시비 2억원 등 총 47억원을 투입해 ▲고품질 위상초전도 소재 개발 및 성능 향상 ▲극저온·고자장 환경에서의 특성 측정 기술 확보 ▲다양한 검증 기법을 통한 위상초전도 현상 분석 등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위상초전도체는 내부에 특이한 양자 상태인 마요라나 상태가 존재해 정보 손실에 강하고 잡음에 잘 견디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차세대 양자컴퓨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옥종목 교수는 “이번 과제는 세계적으로도 도전적인 연구 분야로, 성공한다면 부산을 넘어 대한민국이 양자소재 연구를 선도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다가올 양자 시대를 준비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