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부산대학교(총장 최재원)는 우주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대형 진공시험시설 ‘SPACE-1’을 지난 4월 말 교내에 성공적으로 구축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이 시설은 항공우주공학과 우주추진 플라즈마 실험실(연구책임자 김호락 교수) 주관으로 교내 제8공학관 8104호에 설치돼 현장수락시험을 통과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진연구자인프라구축사업을 통해 약 3억 원이 투입돼 국내 최대 규모로 마련된 이 시설은 전기추력기와 우주용 부품 성능평가가 가능합니다. SPACE-1은 직경 약 1.7미터, 길이 약 3.5미터로 기저 압력 약 10-7 Torr 이하의 고진공 상태를 유지하며 다양한 우주추력기 시험이 가능합니다.
챔버 내부에는 홀 추력기, 이온 추력기, 펄스플라즈마 추력기 등이 시험 가능하며 반도체 소자 및 소재 등도 진공환경에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광학 센서 및 탐침 장치가 구축돼 플라즈마 특성 측정과 분석이 가능하며 앞으로 고진공 펌프와 흑연판을 추가 설치할 예정입니다.
김호락 교수는 “이번 대형 진공시험시설은 국내 전기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며 “소형 위성 추진 모듈부터 심우주 탐사까지 단계적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부산대는 앞으로 해당 시설을 활용해 정부지원 과제를 수행하고 국내외 연구기관 및 기업과의 협업도 확대해 산학협력에 기여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 우주추력기 성능 및 수명 시험 거점 연구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차세대 우주개발 핵심기술의 내재화를 이뤄낼 방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