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미래에셋이 세계적으로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는 ETF시장에서 두각을 보이며 글로벌자산운용사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은 올해 6월말 기준 세계 10개 지역에서 175조원 규모의 ETF 자산을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작년말 141조원 대비 34조원 가량 증가한 수치입니다. 34조원은 국내 ETF시장 순자산총액인 153조원(6월말 기준)의 20%가 넘는 금액으로, 이를 6개월만에 달성한 겁니다.
이같은 성과가 주목받는건 글로벌 ETF시장 성장세가 계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ETF리서치 업체 ETFGi에 따르면, 올해 5월말 기준 세계 ETF 순자산총액은 12조6190억달러(1경7480조원) 입니다. 작년말 대비 1조2290억달러 늘어난 금액입니다. 글로벌ETF시장은 10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 16.5%로, 꾸준히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 1위는 블랙록의 ETF 브랜드인 ‘ishares’로, 순자산 총액 3조8000억달러(5315조원) 수준 입니다.
업계에서는 ETF시장 성장 비결로 ▲개별 종목처럼 증시에 상장돼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점 ▲가격 투명성 ▲높은 유동성 ▲저렴한 수수료 ▲새로운 자산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 등을 꼽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관투자가뿐 아니라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자금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앞으로도 ETF시장이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컨설팅업체인 PwC는 '2028년 중반 세계 ETF시장이 19조2000억달러(2경62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 금융사가 될까?" 부정적 평가에도 2011년 글로벌ETF시장 도전..세계 10개 지역 175조 성과
ETF시장 성장 잠재력을 파악한 미래에셋은 2011년 국내 자산운용사 최초로 홍콩증권거래소에 ETF를 상장하며 글로벌 ETF시장에 진출합니다.
미래에셋그룹 창업자인 박현주 회장은 직접 글로벌전략가(GSO) 역할을 맡아 '해외법인 설립-해외 ETF운용사 인수'라는 투트랙 전략을 마련, 미래에셋자산운용을 글로벌 ETF운용사로 성장시키기 위한 적극적인 행보에 나섭니다. 2011년 캐나다 ‘Horizons ETFs’를 인수했고 2018년 미국 ‘Global X’, 2022년 호주 ‘ETF Securities(현 Global X Australia)’ 등을 인수합병(M&A) 하면서 글로벌네트워크를 확장해왔습니다.
당시 국내에서는 "한국금융사가 글로벌금융사와 경쟁하는 것은 무리"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았지만 박현주 회장과 미래에셋은 밀어붙였습니다.
미래에셋은 올해 6월말 기준 글로벌 12위권 ETF운용사로 성장했습니다. 미래에셋의 글로벌ETF 총 순자산 175조원은 국내 전체 ETF시장(약 153조원)보다 큰 규모입니다.
특히 미국 Global X는 최근 총 운용자산 50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2008년 설립된 Global X는 설립 초기부터 차별화된 상품들을 선보이며 미국 현지 투자자들에게 ‘혁신적 ETF 선두주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인프라 개발 등 혁신 선도기업에 투자하는 테마형상품과 커버드콜 전략을 앞세운 인컴형 상품 등이 대표적입니다. 2018년 인수 당시 100억달러 수준이었던 운용자산은 6년여만에 5배 성장하며 500억달러를 돌파했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2018년 첫 ETF를 선보인 이후 5년여만에 순자산총액 1조원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올해 5월말 기준 20개까지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신흥국 ETF시장에서도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올해 인도 최초 전기차투자ETF, 인도 최초 AI기업투자ETF 등 혁신 테마형ETF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미래에셋은 올해 인도에 인하우스 인덱스회사 ‘Mirae Asset Global Indices’를 설립하고 유럽 ETF 시장조성(Market Making) 전문회사 ‘GHCO’를 인수하는 등 지수개발부터 유동성 공급까지 ETF비즈니스를 총괄할 수 있는 미래에셋 글로벌ETF운용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을 이끌어온 박현주 회장은 미래에셋그룹을 세계적인 수준의 투자은행(IB)으로 발전시킨 리더십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국제경영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국제경영학회(AIB·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는 박현주 회장을 '올해의 국제 최고경영자상(International Executive of the Year Award)'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인이 이 상을 수상한 건 두번째로, 1995년 고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 수상 이후 28년 만입니다.

미래에셋은 국내에서도 'TIGER ETF' 브랜드를 통해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TIGER ETF’는 6월말 기준 개인투자자 ETF 보유 금액 중 점유율 48.2%로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같은 개인투자자들의 호응으로, 2020년 국내 ETF시장에서 두배까지 벌어졌던 1위와 격차가 최근 2%p차까지 좁혀지며 역대급 1위 경쟁을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올해에는 월배당ETF 상품에 6조원 이상 자금이 유입되며 인기를 끌고 있는데, TIGER ETF가 점유율 47.3%를 기록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회사로서 글로벌 마인드와 문화를 기반으로 세계에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ETF산업에서 Global X가 혁신적 리더로 역할을 하는데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파괴적인혁신을 통해 퀄리티 있는 상품들을 선제적으로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