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카카오뱅크(대표이사 윤호영)는 2023년 당기순이익이 354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습니다.
2022년 2631억원 대비 34.9%(918억원) 큰폭 증가한 것으로 연간 기준 역대 최대 실적입니다. 연간 영업이익도 3532억원에서 4785억원으로 35.5%(1253억원) 늘었습니다.
이자수익과 비이자수익을 합한 영업수익 증가세는 가파릅니다. 이자수익은 1조2939억원에서 2조481억원으로 무려 58.3%(7542억원), 비이자수익은 3119억원에서 4459억원으로 42.9%(1340억원) 각각 증가했습니다.
이를 합산한 영업수익은 1조6058억원에서 2조4940억원으로 55.3%(8882억원) 늘어났습니다.
카카오뱅크의 이익증가는 경쟁력 있는 금리를 토대로 대출자산이 크게 성장한 결과입니다. 지난해말 기준 여신잔액은 38조7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조8000억원 불었습니다. 수신잔액은 47조1000억원으로 14조원 늘었습니다.
금융회사의 수익성을 볼 수 있는 순이자마진(NIM)은 2개분기 연속 개선세를 이어갔습니다. 2023년 2분기 2.26%에서 3분기 2.31%, 4분기에는 2.36%로 5bp(1bp=0.01%p) 상승했습니다.

연체율은 2023년 1분기 0.58%에서 4분기 0.49%까지 줄었습니다.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대출에 적극 나서면서도 대내외 여건변화를 반영한 리스크 관리 역량과 신용평가모형(CSS) 고도화로 포용금융과 건전성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고 스스로 평가했습니다.
지난해말 기준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잔액은 4조3000억원으로 전년(3조2000억원) 대비 1조원 이상 늘어났습니다. 2021년 5월 공언한 '2023년 중저신용대출 비중 30%' 목표를 달성했다고 카카오뱅크는 밝혔습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한달적금 같은 새로운 시그니처 상품 등장으로 고객 저변이 확대되고 고객중심의 대환대출 인프라를 구축해 카카오뱅크의 경쟁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남녀노소 누구나 자주 이용하는 '금융생활 필수앱'으로 100% 비대면 보금자리론, 외환상품 등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선보여 금융과 일상을 더 편리하게 연결하겠다"고 부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