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ulture 문화

[인더미들] 마흔, 워킹맘은 사표를 던지고 섬으로 갔다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 민선정 작가

URL복사

Sunday, November 26, 2023, 08:11:07

15년 대기업 근속 뒤로하고 제주행
4년간 주말부부, 제주살이하며 실천한 '여유로운 삶'
"사십대 워킹맘에게 다양한 삶의 선택 보여주고파"

 

한국은 1950년대 이후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한 사실상 유일한 국가입니다. 지금 한국 사회의 사십대는 개발도상국에서 태어나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과정을 오롯이 겪은 세대이자 한국 사회의 정확히 중간을 차지하고 있는 세대입니다. [인더미들 in the middle]은 인더뉴스가 한국 사회의 중추로 자리잡은 사십대들의 삶과 일, 그리고 꿈꾸는 미래를 들어보는 인터뷰 입니다. 세대의 가교이자 시대의 중심에 서 있는 사십대들의 진솔하고 다양한 목소리가 한국 사회의 여러 갈등을 조율하고 해법을 찾는데 보탬이 되길 바랍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나를 당당하게 만드는 성취를 놓을 수가 없었다. 누구의 딸, 아내, 엄마가 아닌 오롯한 내 이름으로 누리는 인정을 포기하기 싫었다.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 95p>

 

출판사 마음연결에서 최근 선보인 에세이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는 이제 마흔 초반을 넘어선 민선정 작가의 두 번째 책입니다. 몇 해전 같이 글쓰기 공부를 했던 지인들과 함께 <퇴근할까 퇴사할까/더블유미디어>를 낸 이후 실제로 퇴사를 감행하고 서울에서 제주도로 가 아이를 키우면서 겪었던 일상을 또박또박 담아냈습니다.

 

11월 중순 서울 종로에서 만난 민 작가는 "4년간 제주살이로 서울의 높은 빌딩들에 이제 적응이 잘 안 된다”며 “서울에 올 때마다 제주의 자연과 자연스럽게 비교가 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 종로 일대는 민 작가가 회사를 다니면서 숱하게 지나쳤던 거리임에도 어느덧 낯선 풍경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지역의 명문 여고를 졸업하고 서울로 진학해 종로구 명륜동에서 대학을 다닌 민 작가는 법대생이었지만 사법고시는 딱히 끌리지 않았습니다. 고민 끝에 언론사 입사도 준비했지만 명함을 얻게 된 곳은 이른바 대학생 선호 1위 자리를 놓치지 않는 국내 대기업의 금융계열사였습니다.  

 

민 작가는 "처음 입사하고 했던 업무가 손해사정이었는데 해보니 쉽지 않은 일이었다"며 "특히 저 때문에 팀 전체의 고과 평가가 낮아지는 시스템 속에서 고민이 참 많았다"고 털어놨습니다.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 초반부에는 민 작가의 직장생활 이야기가 주로 담겨있습니다. 민 작가가 팀의 인사고과 평점을 낮추는 어리바리했던 신입사원에서부터 결국 같이 입사한 동기들 가운데 가장 오래 다니고 승진도 빠를 것이라는 평판을 뒤로 두고 15년 근속을 채운 후 퇴사하는 과정을 적었습니다.

 

"회사에서 배운 것도 적지 않았고 또 이루고자 하는 목표도 분명했지만 결국 행복한가?’ 라고 자문해보면 여기에서 확답을 내리기 쉽지 않았습니다. 사실 대학때 온라인 닉네임을 '내가 바라는 나'로 쓸 만큼 무언가 내 스스로를 위해 성취 하고자 하는 마음이 컸던 편인데 결혼하고 아이를 낳고 육아휴직을 하고 또 복직하는 과정에서 여러 갈등을 겪으면서 '내가 바라는 삶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이 더 강해졌습니다."

 

'내가 바라는 나'에서 '내가 바라는 삶'으로의 전환은 민 작가 뿐만 아니라 결혼을 해서 가족 공동체를 꾸리는 이들이 경험하는 인생의 큰 변화입니다. '나'란 단어에는 오직 하나의 개인만이 존재하지만 '삶'이란 단어에는 나를 둘러싼 가족들까지 아우르기 때문입니다.

 

민 작가는 육아휴직 기간 중 제주살이를 통해 아이가 자연과 교감하며 감수성을 키우고 온전히 성장하는 모습을 보며 스스로 잊고 있던 행복과 삶의 가치들을 되돌아보게 됩니다. 그리고 회사에서의 성취와 맞바꿀 수 없는 가족의 시간들이 있다는 걸 받아들입니다. 다시 복직을 하고 일에 매진했지만 회사나 혹은 서울의 시간표가 '가족의 시간'을 수용하기에는 여전히 여유가 없었습니다.

 

 

마흔 살이 되던 해, 민 작가는 사표를 쓰겠다는 결심을 굳힙니다. 제주로 내려가서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겠다고 선언합니다. 맞벌이하던 남편은 아내의 결정을 기꺼이 존중해 주고 제주와 서울을 오가야 하는 주말부부 생활을 감내해 주었습니다.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는 이처럼 지금 한국 사회의 중추로 꼽히는 40대 맞벌이 부부들이 겪는 육아 및 회사 생활의 생생한 애환들이 잘 녹아있습니다. 이른바 '워라벨'을 이야기하지만 실제 기업 현장에서는 '일과 가정의 양립 불가능성'을 확인하는 경우가 아직은 더 많습니다. 민 작가는 그 과정에서 겪었던 감정의 질곡들을 담담히 적었습니다.   

 

이 외에도 줄 세우기 위주의 입시경쟁에 속에서 어떻게 해야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가? 고민하는 엄마의 고민도 나누고자 했습니다. '대안적인 삶'으로 꼽히는 제주살이의 구체적인 경험담을 통해 제주살이를 고려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길잡이가 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도 담았습니다.

 

"책을 낸다고 인생이 확 달라질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책을 쓰는 과정에서 어떤 조직의 직책인 내가 아니라 '내가 쓰고 싶은 이야기를 사람들 마음에 닿도록 진솔하게 쓰는 작가'로 스스로 재정의할 수 있었고 내가 우선하는 가치를 지켜가는 삶을 살 방법을 찾았다는 것이 중요하니까요."

 

민 작가는 밀레니엄 세대라 불리는 00학번입니다. 졸업과 동시에 직장생활을 시작해 2009년 결혼을 했고 2011년 딸을 낳았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는 '워킹맘'이었고 인생의 후반전을 준비해야 하는 사십대 입니다. <여유가 두려운 당신에게>는 민 작가와 비슷한 상황에 놓여 있는 동시대 같은 세대들에게 '또 다른 삶'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물론 민 작가처럼 '여유'를 선택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저마다 놓인 처지가 다른데다가 민 작가는 자신의 선택을 지지해주는 남편과 아이, 양가 부모님들이 있었습니다. 민 작가 역시 각자도생의 현실에서 ‘여유’를 선택한 데 따른 반대급부를 치러야 할지도 모릅니다. 당장 중학교에 진학하는 아이의 진로를 위한 고민부터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남편에게만 '생계'를 맡겨 놓기엔 남편 어깨가 너무 무거울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 세대들이 다양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면, 또 그런 모습에 힘을 얻는 후배 세대들도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제가 퇴사해서 갑자기 행복해졌다기보단, 제 안의 불안과 걱정을 깊게 마주하며 답을 찾는 시간을 가진 덕분에 지금의 행복과 여유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분들에게 그런 제 경험을 전해드리고 싶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의 필요성을 부정하진 않지만 돈이 또 시간과 마음을 잡아먹어선 안 된다는 깨달음을 나누고 싶었구요."   

 

[인더미들] 바깥은 지옥? 왜 빨리 나오지 않았나 후회했다…소설가 정진영

[인더미들] 시민운동 하던 너가 장사 한다고?…김아현 플랜be카운티 대표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배너

[인더필드]네스프레소·블루보틀 협업, ‘놀라’로 한국 아이스커피 공략

[인더필드]네스프레소·블루보틀 협업, ‘놀라’로 한국 아이스커피 공략

2025.07.11 08:30:00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커피 브랜드 네스프레소가 블루보틀과 손잡고 신제품 '놀라 스타일 블렌드'를 선보였습니다. 올해 들어 벌써 2번째 협업입니다. 네스프레소는 협업을 통해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커피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회사의 ‘버츄오 시스템’을 한국형 홈카페 대표 플랫폼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입니다. 10일 네스프레소는 서울시 성수동 카인드서울에서 글로벌 스페셜티 커피브랜드 블루보틀 커피와 '놀라 스타일 블렌드' 출시를 기념하는 론칭 미디어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네스프레소는 이번 미디어데이를 통해 네스프레소가 올해 지향하는 ‘협업’의 가치를 전하는데 중점을 뒀습니다. 이번 신제품은 지난 2월 출시돼 조기 완판된 ‘블루보틀 블렌드 No.1’에 이은 블루보틀과의 두번째 협업 커피입니다. 양사는 이번 협업이 단발성 콜라보가 아닌 두 브랜드의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파트너십 일환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라이언 서 블루보틀 코리아 대표는 "회사를 거의 10년 정도 다니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이 '블루보틀은 미니멀 브랜드'라는건데 그게 사실이라면 우리가 진짜 필요한 것들만 해왔기 때문"이라며 "그동안 많은 메뉴와 제품을 개발해온 것을 생각해봤을 때 이번 '놀라'가 그걸 잘 보여주는 예"라고 말했습니다. 블루보틀의 ‘놀라’는 창립자인 제임스 프리먼이 미국 남부 뉴올리언스지역의 전통 치커리 커피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한 메뉴입니다. 이번 '놀라 스타일 블렌드'는 블루보틀의 시그니처 음료인 ‘놀라’를 네스프레소의 버츄오 시스템으로 재해석했습니다. '놀라 스타일 블렌드'에는 커피·치커리·설탕·우유 딱 네가지 재료만 들어갑니다. 브라질산 최고급 아라비카 원두와 멕시코산 프리미엄 로부스타 원두를 블렌딩하고 치커리 향을 더해 부드러우면서도 고소한 곡물 향과 은은한 캐러멜 노트를 구현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승오 네스프레소 마케팅 본부장은 "한국은 전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커피소비 시장이며 특히 아이스 커피에 대한 애정이 매우 높은 나라"라며 "네스프레소는 다양한 브랜드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춘 홈카페 경험을 다각화하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현장에서는 네스프레소 커피 전문가 바드가 신제품의 풍미를 효과적으로 즐길 수 있는 추천 레시피를 제안했습니다. 귀리 음료와 약간의 설탕을 더해 차갑게 즐기면 한층 더 풍부한 ‘놀라 스타일 블렌드’를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뉴올리언스 전통 디저트 ‘베녜’가 함께 제공됐습니다. 이날 뉴올리언스 재즈 밴드 '쏘왓놀라'가 특별 게스트로 출연해 ‘놀라 스타일 블렌드’의 탄생 배경이 된 뉴올리언스의 감성과 어울리는 라이브 퍼포먼스를 선보였습니다. 이번 협업의 연장선으로 네스프레소는 블루보틀의 주요 5개 매장(성수·압구정·판교·연남·부산 기장)에 ‘NOLA 존’을 구성했습니다. 소비자들이 네스프레소의 버츄오 머신과 협업 블렌드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네스프레소는 전 세계 93개국에 791개 부티크(지난해 기준)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입니다. 한국에는 2007년 진출해 18년간 사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특히 네스프레소는 아이스커피를 즐기는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춰 매년 여름마다 시즌 한정 커피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커피에 대한 한국인의 애정, 특히 아이스커피 사랑이 유별나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연간 커피 소비량은 405잔으로 세계 평균(152잔)보다 2.6배 이상 높습니다. 이에 네스프레소는 올해 전략 키워드로 ‘협업’을 선정하고 ‘버츄오 시스템’을 한국형 홈카페 대표 플랫폼으로 확장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습니다. 현재 한국은 아이스 커피와 스페셜티 커피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바탕으로 글로벌 커피 트렌드를 이끄는 핵심 시장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네스프레소는 이번 ‘놀라 스타일 블렌드’를 통해 아이스 커피를 사랑하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여름의 커피 경험을 제안한다는 계획입니다. 라이언 서 블루보틀 코리아 대표는 "네스프레소와 앞으로 이번 놀라와 같은 제품을 개발할 것을 생각하면 기대감이 크다. 더 많은 분들이 언제 어디서나 더 편하게 이 맛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