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김주현 금융위원장은 20일 "금융지주사들이 무언가 역할을 해야 한다는 건 100% 공감하고, 방법은 체감할 수 있어야 하며, 규모도 그 정도면 충분히 됐다라는 규모가 돼야 한다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금융지주회장단 간담회' 직후 브리핑을 갖고 "금융산업에 대해 국회 입법 형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한지 많은 우려가 있다는 발언은 결국 야당이 은행은 물론 증권·보험사의 이윤에 '횡재세'를 물리겠다면서 발의한 금융소비자보호법과 부담금관리법 개정안을 레버리지 삼아 은행의 상생금융을 압박하는 것 아닌가?"는 인더뉴스 질의에 이렇게 답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은행권이 열심히 하겠다고 하니까 일단 지켜보자는 것"이라며 야당의 '횡재세' 입법 움직임과 이를 '포퓰리즘 법안'으로 규정한 여당의 확고한 반대, 이에 따른 금융당국의 입장에 대해 확답을 피했습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금융지주회장단 간담회 모두발언을 통해 "금융당국으로서는 수많은 대내외 불확실성을 감안, 유연하고 정교하게 대응해야 하는 금융산업에 대해 국회 입법 형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해 많은 우려가 있다"며 "우리 업계가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달려있는 문제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권력 최정점으로부터 잇따라 나온 은행의 '이자장사' 논란과 '종노릇' 발언 등으로 잔뜩 움츠러든 은행권은 이날 정치권 입법 논의와 함께 정부당국의 내밀한 의중과 가이드라인이 드러나길 기대했지만 상생금융의 복잡한 정치적 함수는 더 복잡해진 양상입니다.

이날 간담회 직후 명동 은행회관을 빠져나가는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은 입을 굳게 다문 채 취재진 질의에 일절 답하지 않았습니다.
특히 KB금융그룹을 이끌어갈 차기 리더로 공식 선임된 이후 처음 공식석상에 나온 양종희 회장, 최근 자체 상생금융안을 내놓은 신한금융그룹 진옥동 회장, 하나금융그룹 함영주 회장 등 주요 금융지주 수장들은 서둘러 은행회관을 나섰습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일부 은행에서 발표한 상생금융안에 대해 금융당국이 신통치 않다는 반응을 보인 만큼 오늘 간담회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다시 각사별로 돌아가 내부 토의가 진행될 것 같다"며 "은행권 전체적으로 소위 '통큰 상생'을 하라는 것인지, 그렇다면 그 규모는 얼마나 돼야 하는지, 사별로 자체 프로그램을 가동하라는 것인지 여전히 혼란스럽다"고 업계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생금융) 규모는 국민이 납득할만한 수준이 안 되면 안된다고 분명히 말씀드렸다"며 "참고할만한 건 횡재세 법안으로, 그것을 보면 국회에서 국민이 요구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감안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올해 은행 수익이 늘었으니 이를 감안해서 충분히 여유있게 지원하는데 구체적인 숫자는 오늘 첫 모임이니까 나오기 힘들 것"이라며 "앞으로 논의·검토되면 은행연합회 중심으로 정리돼 발표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부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