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자동차[005380]가 GM인도법인의 탈레가온 공장 인수를 완료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인도 자동차 시장 내 주도권 강화는 물론 생산능력 확장을 통한 전동화 전환에도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현대자동차는 16일 인도 하리야나주 구루그람에 있는 현대차인도법인에서 GM인도법인(이하 GMI)과 탈레가온 공장 자산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습니다.
현대차에 따르면, GMI의 탈레가온 공장 인수는 급성장 중인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강화하고 인도 자동차 시장의 전동화 전환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생산능력을 확보하고자 진행됐습니다.
인도는 지난해 476만대 신차 판매로 중국(2320만대), 미국(1420만대)에 이어 세계 3위 자동차 판매국으로 올랐습니다. 이중 승용차 시장은 380만대 규모이며, 오는 2030년에는 5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자동차업계는 전망하고 있습니다.
판매 증가세로만 따졌을 경우 글로벌 시장 내에서도 두드러지는 수치를 나타냈습니다. 5년 전인 2017년과 비교할 경우 18.5%의 증가율을 기록하며, 동기간 대비 감소세를 나타낸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브라질 등 주요국들 사이에서 독보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에서 총 55만2511대를 판매해 14.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마루티에 이어 2위를 기록했습니다. 올해도 지난달까지 34만6711대를 판매해 14.6%의 점유율로 2위를 유지 중입니다.
현대차는 GMI의 탈레가온 공장 인수로 추가적 생산능력을 확보해 수요가 높은 핵심 차종의 공급을 확대하고, 향후 시장 상황에 따라 신속하게 다양한 차종을 투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탈레가온 공장은 기존 연간 약 13만대 수준의 완성차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대차는 연내 인도 정부의 승인 등 선결 조건 달성 후 취득 절차가 완료되면 오는 2025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양산 진행 이후에는 단계적으로 설비 개선을 통해 탈레가온 공장의 생산능력을 추가적으로 확대하는 것을 검토 중입니다.
현대차는 이번 인수에 앞서 올해 상반기 라인 개선을 통해 첸나이 공장의 생산능력을 75만대에서 82만대로 올린 바 있습니다. 이번 인수와 향후 추가 확대 계획을 고려하면 기존 공장을 포함한 현대차의 인도 내 총 생산능력은 최대 100만대 수준까지 오르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이번 탈레가온 공장 인수를 계기로 생산능력 확대뿐만 아니라 인도 전기차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기차 현지 생산 체계 구축도 추진할 계획입니다. 탈레가온 공장 인수를 통해 주력 제품군인 내연기관 모델의 생산능력이 추가로 확보되는 만큼, 기존 첸나이 공장의 여유 능력을 신규 전기차 생산 라인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도 세웠습니다.
이 외에도 오는 2025년 탈레가온 공장서 양산이 시작되면 공장에 대한 직접 투자는 물론, 부품사 유치·물류 체계 구축 등 차량 생산 및 판매와 연관된 자동차 밸류 체인 형성에 따른 직·간접적 투자가 연쇄적으로 이뤄져 자동차 산업 생태계 확장과 지역 사회의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대차 인도아중동대권역장을 맡고 있는 김언수 부사장은 "올해는 현대차의 27년 인도 진출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2025년 탈레가온 공장 본격 가동을 시작으로, 인도 자동차 산업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최첨단 제조 허브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