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SK에코플랜트는 25일부터 오는 27일까지 사흘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의 기후·에너지분야 박람회인 ‘2023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3)’에 참가해 친환경 에너지기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SK에코플랜트에 따르면, 이번 박람회에는 SK그룹 6개 멤버사가 나섭니다. 전시 주제는 올해 초 미국서 개최된 'CES 2023' 당시 주제와 동일한 ‘행동(Together in Action, 함께, 더 멀리 탄소없는 미래로 나아가다)’으로 정했습니다.
박람회에서는 탄소 제로 실현을 위한 다양한 기술과 해법을 선보이며 에너지기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할 방침이라고 SK에코플랜트 측은 설명했습니다.
전시관은 △디지털 디오라마로 표현하는 그린 시티 △미래 에너지 △폐기물 자원화 △그린 디지털 솔루션 등 4개 존으로 구성됐습니다.
특히 해상풍력, 연료전지, 수전해기 등 최근 캐나다 글로벌 그린수소 프로젝트 수행으로 가시화된 SK에코플랜트의 재생에너지 기반 그린수소 밸류체인 각 단계의 핵심 요소들이 실물로 전시됐습니다.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비롯한 폐기물 자원화 관련 실물 전시와 체험 공간도 마련됐습니다.
부스 초입에는 실제 사이즈로 전시된 9톤 무게의 해상풍력 하부구조물의 후육강관 일부가 전시됐습니다. 후육강관은 SK에코플랜트가 인수한 SK오션플랜트의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으로 약 15cm 두께의 철판을 동그랗게 구부려 제작됐습니다.
최대 높이 94m에 이르는 하부구조물과 해상풍력 부유체는 축소 모형으로 전시됐습니다. 글로벌 해상풍력 개발 전문기업과 협력해 한국 울산과 전남 등 5개 권역에 2.6GW 규모의 부유식·고정식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바다에너지’ 프로젝트 소개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고체산화물수전해기(SOEC)와 수소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내부 구조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실물 절개 모형으로 전시됩니다.
이와 더불어, 그린수소의 운반체로 각광받는 그린암모니아의 높은 저장성을 한 눈에 비교할 수 있는 전시도 이뤄집니다. SK에코플랜트가 확보한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관련 글로벌 거점에 대한 것과 AI 및 디지털 솔루션 도입을 바탕으로 한 환경분야 고도화 혁신 기술도 소개됩니다.

이 외에도, 부스 중앙에는 에너지 밸류체인과 환경 관련 솔루션이 집결한 미래 도시 ‘그린 시티’의 디지털 디오라마가 전시됩니다. 디오라마는 소각재, 하수슬러지 등 폐기물을 재활용한 시멘트 대체제 ‘K-에코바인더’와 폐페트병을 재활용한 철근 대체제 ‘K-에코바’로 제작됐습니다. SK에코플랜트는 디오라마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자사가 구상하는 미래 도시 모습을 알릴 계획입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소개하는 그린시티는 탄소 제로, 폐기물 제로를 실현하는 미래 도시로 SK에코플랜트가 보유한 에너지, 환경 사업 역량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총체"라며 "글로벌 기후위기 극복에 기여하는 명실상부한 에너지기업으로 탄소없는 미래 실현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