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달 서울 아파트 값 평균 하락률이 2%대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아파트 단지가 밀집한 노원구, 도봉구는 3%대 하락폭을 기록하며 내림세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2022년 11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2.06%로 집계됐습니다. 전월인 10월보다 하락폭이 0.82% 확대되며 하락세 심화가 이어지는 동시에 지난 2003년 11월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대 내림률을 기록했습니다.
인천은 -3.37%의 하락률로 가격이 크게 꺾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경기도(-2.54%)도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지역서 내림세 확대가 지속되며 2%대 하락률에 진입했습니다.
서울의 경우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이 가운데 아파트 단지 밀집지역이자 지속적인 가격 하락이 이어지고 있는 '노도강(노원, 도봉, 강북)'의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노원구와 도봉구는 -3.28%의 하락률로 자치구 중 유이한 3%대 내림폭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강북구 또한 3%대 하락률에 가까운 -2.95%의 변동률을 기록했습니다.
자치구 중 인구가 가장 많은 송파구(-2.50%)와 노도강과 함께 '동북 4구'를 형성하고 있는 성북구(-2.47%)도 하락폭이 심화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동북 4구와 송파구를 포함해 2%대 월 단위 하락률을 기록한 서울 자치구는 12개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기도는 '규제지역'인 광명시가 -4.50%로 도내 지자체 가운데 하락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왕시(-3.93%), 부천시(-3.83%), 안양시(-3.37%) 등도 가격이 큰 폭으로 꺾이는 등 대부분 지역에서 가격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천은 연수구(-3.91%), 서구(-3.87%), 남동구(-3.47%) 등 8개 자치구 가운데 5개 구에서 3%대 하락률을 나타내며 가격 내림폭이 크게 확대됐습니다. 연수구와 서구의 경우 대단지를 중심으로 아파트 값이 큰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1월 지방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1.57%로 조사되며, 하락세로 전환한 지난 5월 이후 7개월 째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세종시(-2.71%)가 지방권 최대 하락폭과 동시에 18개월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으며, 울산(-2.38%), 대전(-2.16%), 대구(-2.09%) 등 주요 광역시 또한 하락세가 이어졌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아파트값 내림세 확대 지속으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또한 -2.02%의 변동률을 기록하며 2%대 하락률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의 경우 전국 -2.36%, 수도권 -3.21%을 기록하며 지난 달보다 내림폭이 확대됐습니다. 수도권의 경우 3%대 하락률로 진입한 인천(-3.61%)과 경기(-3.30%)가 전세가 하락을 이끌었으며, 서울(-2.89%) 또한 전월 대비 하락폭이 2배 가량 커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방권은 세종(-2.91%), 대구(-2.63%), 울산(-2.46%)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아파트를 비롯해 빌라, 다세대 등을 합친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1.37%를 기록하며 6개월 연속 하향세가 지속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계속되는 기준금리 인상 기조와 부동산 가격 하락 장기화에 대한 예상으로 관망세가 지속되고, 매물적체와 매수심리 위축 현상 등도 발생하며 아파트 값 하락폭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