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금융위원회가 핀테크 등 혁신기업 지원방안 마련에 나섭니다. 금융위원회는 18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 박병원홀에서 권대영 금융위 상임위원 주재로 핀테크 스타트업 현장간담회를 열고 투자·대출 등 업계의 자금조달 분야 건의사항을 들었습니다.
권대영 상임위원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전세계적으로 핀테크 등 혁신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금융산업 혁신을 이끌어온 핀테크 생태계가 유지·발전할 수 있도록 현장의 애로를 살펴보고 해소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습니다.
금융·투자사들은 최근 보수적인 투자기조가 확산하고 전반적으로 핀테크 분야 투자가 위축된 분위기라고 전하면서 핀테크 기업 투자 연속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투자 마중물 역할과 인수·합병(M&A) 자금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핀테크 스타트업들은 경제·금융환경 악화로 기업의 미래가치보다 매출 규모 등 현재가치에 중점을 둔 투자 검토가 이뤄지고 있고 그 여파로 자금조달이 더 어려워졌다고 호소했습니다. 그러면서 정책금융 등 정부 지원을 강화해 달라고 건의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가 핀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도입한 금융지원제도 성과 점검과 향후 지원방향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정책금융기관들은 핀테크 분야 전용상품 신설 및 규모 확대, 성장가능성 중심의 대출·보증심사 개선 등 핀테크 분야 지원 확대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핀테크 산업 생태계 선순환을 위해 '핀테크 혁신펀드' 개선방안도 마련됩니다. 핀테크 혁신펀드는 은행권과 유관기관이 참여해 핀테크 기업에 집중 투자하는 것으로 보육·금융기관 지원을 받기 어려운 중간구간(데스밸리)에 있는 핀테크 업체에 대한 투자 확대 등이 검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펀드는 2020∼2023년 5000억원 투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올 9월말 현재 3216억원이 조성됐고 이중 2419억원 규모로 투자가 완료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