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 10여년 간 정비사업이 지연돼 왔던 서울 동대문구 신설1구역과 전농9구역이 공공재개발사업지로 탈바꿈합니다.
29일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LH)에 따르면, 서울 신설1구역·전농9구역 공공재개발사업의 사전기획을 완료하고 이달 초 정비계획 입안 제안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정비계획 수립절차에 나섭니다.
신설1구역과 전농9구역은 각각 지난 2008년, 2004년 정비구역 및 정비예정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사업 추진 과정에서의 걸림돌 및 주민 갈등 심화 등으로 10여년 동안 재개발이 지연돼 온 곳입니다.
이에 해당 구역은 신속하게 정비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공공재개발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이후 신설1구역은 공공재개발 후보지선정 후 6개월 만에 주민동의율 67%를 확보하며 지난해 7월 LH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했으며, 전농9구역의 경우 LH가 주민 갈등을 풀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합의점 도출과 주민동의율 67%를 이끌어 냈습니다.
이에 따라 신설1구역은 1만1204.15㎡의 부지에 용적률 299.5%를 적용해 최고 25층의 층고를 갖춘 주거단지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총 가구 수는 당초 정비계획보다 130가구 늘어난 299가구로 지어질 계획이며, 임대물량 110가구, 조합원분 80가구을 제외한 109가구는 일반분양으로 공급될 예정입니다.
전농9구역은 4만6695㎡의 부지에 법적최고상한에 가까운 299.6%의 용적률을 적용해 최고 35층 규모의 아파트 1175가구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총 가구 수 중 임대물량은 244가구며, 조합원분인 705가구를 뺀 226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됩니다.

신설1구역은 기존 가로 특성을 고려한 보행동선을 계획해 차량진출입, 통학로 등을 배치하며, 인접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고려한 경관 및 외부공간도 설계할 예정입니다. 전농9구역의 경우 아파트 단지 외 공공복합청사와 공원, 근린생활시설 등을 포함한 서울 청량리역 동측 랜드마크로 꾸민다는 계획입니다.
LH는 정비계획 입안 제안 신청에 따른 후속절차를 성실히 이행해 올해 공공재개발 사업후보지 중 최초로 정비구역을 지정하고 내년에는 사업시행인가를 목표로 추진할 방침입니다. 또, 지난 26일 발표된 공공재개발 신규 후보지에 대해서도 신속히 주민설명회 및 주민동의를 얻어 서울도심권 내 양질의 공공성 높은 주택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오주헌 LH 수도권도시정비특별본부장은 "서울 신설동 및 전농동 주민들에게 고품질의 주택을 신속하고 투명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후속절차 추진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