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한국은행이 사상 첫 '빅 스텝(금리 0.5%p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25%로 인상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압력과 미 연준의 긴축정책에 대비한 물가 안정 정책의 일환이라는 분석입니다.
한국은행은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개최하고 현재 연 1.75%인 기준금리를 0.50%p 인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한은이 빅 스텝을 밟은 것은 1950년 설립 이후 처음입니다. 지난 4월과 5월 금통위에 이어 이날 열린 7월 금통위까지 세 차례 연속 금리를 인상한 것 역시 한은 역사상 최초입니다.
한은은 코로나19 사태로 피해를 입은 금융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지난 2020년 5월부터 1년 3개월간 연 0.5%로 사상 최저 수준의 기준금리를 유지했습니다. 이후 한은은 작년 8월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시작으로 올해 5월까지 5차례 인상을 통해 기준금리를 1.75%까지 끌어올렸습니다.
한은이 금리를 전례 없는 속도로 올린 것은 외환 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국내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서라는 분석입니다. 전년동월 대비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3월 4%대에 진입하고 5월에 5%를 넘어선 뒤 지난달 6%를 기록했습니다. 외환위기 시점인 1998년 11월의 전년동월 대비 6.8% 상승 이후 23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낸 것입니다.

앞으로 1년 뒤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도 지난달 3.9%로 전월대비 0.6%p 상승했습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한달 만에 0.6%p 오른 것은 지난 2008년 통계집계 이후 처음이며, 이는 지난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경우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경제주체들이 물가 상승을 자연스럽게 생각해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을 올리려 하기 때문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1일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물가 중심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한은이 빅 스텝을 선택한 다른 이유는 공격적으로 금리를 끌어올리는 미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의 행보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명도 나옵니다. 지난달 연준은 41년만에 나타난 8%대 물가 상승률을 낮추기 위해 28년만에 '자이언트 스텝(금리 0.75%p 인상)'을 밟았으며, 이달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도 또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은이 빅스텝을 밟았지만 한·미 기준금리 역전 가능성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1.5~1.75%로,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0.75%p 올리면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총재는 지난달 16일 금리 역전에 대응한 빅 스텝 가능성에 대해 "미국의 기준금리가 연말까지 3.4%로 예상되는데, 금리 인상 속도가 우리보다 빠른 게 사실이다"며 "금리 격차 자체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이런 상황에서 외환·채권시장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은의 올해 금통위는 세 차례(8·10·11월) 남았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한은이 남은 세번의 금통위가 열릴 때마다 0.25%p씩 금리를 인상해, 연말에 금리를 연 3% 가까이 끌어올릴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