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Industry/Policy 산업/정책

IMF 이후 24년만에 월 소비자물가 6% 급등

URL복사

Tuesday, July 05, 2022, 09:07:07

통계청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발표
작년 같은 달보다 6.0% 올라
외식 물가상승률 29년 8개월만에 최고치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로 급등했습니다. 1998년 IMF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만의 일입니다. 

 

5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8.22(2020=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6.0% 올랐습니다.

이는 IMF 외환위기였던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입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의 영향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과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이 계속 오르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도 확대되면서 전월(5.4%)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는 분석입니다.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은 1년 전보다 9.3% 올랐습니. 경유(50.7%), 휘발유(31.4%), 등유(72.1%) 등 석유류(39.6%) 가격이 급등했고 빵(9.2%)을 비롯한 가공식품(7.9%) 가격도 상승했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축산물(10.3%)과 채소류(6.0%)를 중심으로 4.8% 오르며 전월(4.2%)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올 봄 가뭄과 곡물 사료비 상승,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돼지고기(18.6%), 수입소고기(27.2%), 배추(35.5%), 수박(22.2%) 등의 상승률이 특히 가팔랐습니다. 

 

개인서비스는 외식(8.0%)과 외식 외(4.2%)가 모두 올라 5.8% 상승했습니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1992년 10월(8.8%) 이후 29년 8개월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공공서비스는 0.7%, 집세는 1.9% 각각 올랐으며. 전세와 월세 상승률은 각각 2.7%, 1.0%를 기록했습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더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7.4% 올라 1998년 11월(10.4%) 이후 가장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4%로 2009년 3월(4.5%) 이후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전기·가스·수도도 1년 전보다 9.6% 올랐지만 이달 1일부터 적용된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분은 6월 물가에는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4∼9월 6개월간 2%대를 유지하다가 작년 10월(3.2%) 3%대로 올라섰습니다. 올해 3월(4.1%)과 4월(4.8%)에는 4%대, 5월(5.4%) 5%대를 기록하더니 6월엔 6%대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통계청은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에 따른 재료비·연료비 증가가 공업제품뿐 아니라 개인서비스 물가도 끌어올리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수요 요인이 없다고 할 수는 없다"면서도 "여전히 대외적인 공급 측면이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English(中文)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 news.

배너

김용운 기자 lucky@inthenews.co.kr


4월 전국 2.6만가구 입주 예정…대구지역 역대 최대

4월 전국 2.6만가구 입주 예정…대구지역 역대 최대

2023.03.20 16:02:35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내달 전국에서 총 2만6665가구의 아파트가 집들이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임대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이 올해 월별 최다인 것을 집계됐습니다. 2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4월 전국 총 41개 단지에서 총 2만6665가구(임대 포함)의 아파트가 입주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4월 기준으로만 볼 경우 2018년 2만9841가구 이후 가장 많은 물량입니다. 임대 입주예정 물량의 경우 총 7875가구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4월 총 예정물량 대비 29.5% 수준임과 동시에 올해 월별로 따질 경우 가장 많은 수치입니다. 부산 남구 우암동 일원에 공급되는 민간임대 대단지인 'e편한세상 북항마린브릿지(3018가구)'가 내달 입주 예정에 있는 것이 4월 전체 임대 입주예정 물량 숫자를 이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역시도별로 4월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을 볼 경우 경기도가 1만1253가구로 가장 많은 가운데 대구(3498가구), 부산(3018가구), 대전(1747가구), 경북(1717가구) 등의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의 경우 총 268가구로 조사됐으며 모든 물량이 공공임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만가구 이상이 입주에 들어갈 예정인 경기도는 양주(2419가구), 화성(1730가구), 안산(1714가구), 광주(1108가구) 등의 순으로 집들이 물량이 많았습니다. 지방서 가장 물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된 대구의 경우 동월 기준 2000년 조사 이래 최다 물량이 집들이에 나서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임차인을 구하지 못하거나 대출이 어려워 입주가 늦어지는 경우 외에 시공사의 공사 지연 및 공사비 갈등으로 입주시기가 밀리는 단지들도 등장하고 있다"며 "입주예정자들은 입주시기를 지속 체크하며 지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출 등 이사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