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로보틱스는 오는 7월 1일 국내 업계 최초로 대면방역이 가능한 방역로봇을 출시한다고 30일 밝혔습니다.
현대로보틱스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의 방역로봇이 인체에 유해한 소독액을 분무하고 피부 질환을 유발하는 UVC 램프를 로봇 정면에 설치해 방역작업을 수행해 비대면방역만 가능하다는 단점을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새 방역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출시를 앞둔 방역로봇은 병원 수술기구 살균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방식으로 대기를 살균하고, ‘UVC(Ultraviolet C) LED’를 로봇 바닥면에 설치해 바닥 살균을 진행하기 때문에 대면방역이 가능한 것이 장점입니다.
해당 로봇은 로봇 내부에서 플라즈마 살균으로 각종 유해균을 제거해 상부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며 8가지 센서를 탑재해 대기 중의 초미세먼지, 유기화학물(TVOCs) 등을 감지하고 이를 3종 필터를 통해 흡입, 정화합니다.
이와 함께, 정지상태에서 152㎡(약 46평)에 대해 방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율주행하며 활동하기 때문에 공기청정기와 살균기를 설치하기 어려운 상업용 빌딩, 병원, 학교, 사무공간 내 로비와 통로에서도 방역활동 수행이 가능합니다.
앞서 해당 로봇은 코로나 등 바이러스성 질환을 발생시키는 10종의 유해균 및 5종의 유해가스 제거 성능에 대한 국내외 기관 인증을 획득하기도 했습니다.
서경석 현대로보틱스 서비스로봇부문장은 "이번 방역로봇 출시를 시작으로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로봇을 선보여 전세계 서비스로봇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