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올해 들어 서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계약 비중이 전세 계약 비중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직방이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의 서울 지역 임대차 계약 확정일자 통계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임대차 확정일자 건수인 29만1858건 가운데 월세 계약이 51.6%, 전세 계약이 48.4%로 나타났습니다. 4개월 간 기준, 월세 계약이 전세를 앞지른 것은 등기정보광장 통계자료 발표 이후 처음입니다.
연도별로 살펴볼 경우 월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2019년부터 올해까지 월세 비율을 살펴 보면 41.0%→41.7%→46.0%→51.6%로 꾸준한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
아울러, 올해 1~4월 서울지역 임차인은 30대가 35.1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20대(26.56%), 50대 이상(23.64%), 40대(14.54%)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청년층이라 할 수 있는 20대와 30대를 합치면 60%를 넘는 비중입니다.
특히 30대 임차인 비율은 지난 2019년부터 꾸준히 증가했으며 20대 비율 또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오름세를 나타냈습니다. 직방은 청년층이 대출 규제 등으로 자금마련이 쉽지 않아 매수보다는 임차 쪽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올해 1~4월 서울 자치구 별 임차인 인구를 살펴보면 9.32%의 확정일자를 받은 관악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관악구에 이어 송파구, 영등포구, 강서구, 강남구 순으로 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이 많았습니다.
관악구의 경우 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 가운데 64.2%가 월세 계약을 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지난해(56.3%)에 이어 월세 계약이 전세 계약을 앞지름과 동시에 임차인 인구 5위 안에 든 자치구 중 유일하게 60%를 넘겼습니다. 관악구 외에 월세 계약이 많은 자치구는 송파구(52.0%), 강남구(51.6%)로 조사됐습니다.
한아름 직방 매니저는 "최근 금리가 꾸준히 상승하며 자금 마련이 어렵거나 대출이자가 월세보다 높아지는 등 이유로 임차인들의 월세 선호도가 높아지며 월세를 받고자 하는 임대인 수요와 맞물려 월세 거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