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심리상담사 최옥찬의 MZ썰] ‘스물다섯 스물하나’ X세대가 MZ세대를 응원한다

URL복사

Saturday, March 26, 2022, 11:03:07

 

 

최옥찬 심리상담사ㅣtvN과 넷플릭스에서 최근 방영 중인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고등학생들이 나오는 그냥저냥 하이틴 로맨스물인 줄 알았다. 아니면 일상에 지쳐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즐겨 찾아보는 유쾌한 로맨틱 코미디 장르인 듯 싶었다. 하지만 심리상담을 하는 입장에서, 보면 볼수록 오히려 인간의 ‘고통과 성장’이라는 진지한 이야기를 하는 드라마로 다가왔다. X세대에게는 트라우마 같은 IMF 외환위기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첫 회부터 말이다.

 

‘스물다섯 스물하나’ 첫 회에서 고등학생 펜싱선수인 나희도(김태리 분)는 IMF 외환위기로 광화문 광장에서 집회를 하는 사람들 사이로 지나간다. 마냥 행복할 것 같은 나희도는 IMF 외환위기 따위는 자신의 삶과 전혀 상관없다는 듯이 자신의 꿈을 꾸면서 달려간다. 그러나 곧 IMF 외환위기로 나희도가 다니는 고등학교 펜싱부가 없어진다. 펜싱부 코치는 나희도에게 시대 탓을 하라면서 고유림(보나 분)처럼 잘 하지도 못하는 펜싱의 꿈을 포기하라고 말한다.

 

1997년 IMF 외환위기는 숱한 사람들의 삶에 갑작스럽게 들이닥쳐서 그들의 꿈을 빼앗아 갔다. 그래서인지 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IMF 외환위기의 시대를 살아낸 X세대의 고통과 성장이 현재 코로나 위기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MZ세대의 고통과 성장을 공명하는 듯하다. 그리고 드라마 속 X세대가 드라마를 보는 현재 MZ세대에게 자신의 미래를 절대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힘내라고 응원하는 것 같다.

 

“한 달 전엔 시대가 내 꿈을 뺏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얼마 전엔 시대가 날 살렸다는 말을 들었어. 그러고 보면 백 프로의 비극도 없고 백 프로의 희극도 없는 거 같애. 그래도 너랑 내 앞에 놓인 길엔 희극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 - 나희도

 

‘스물다섯 스물하나’는 1997년에 IMF 외환위기를 시작으로 재벌이었던 집이 ‘망한’ 대학생 어른 한 명과 고등학교 2학년생들이 어울려 함께 이야기를 만들어간다. 고등학생 펜싱 선수인 나희도는 백이진(남주혁 분)에게 ‘어른은 다르구나’라고 하지만, 백이진 또한 자기 삶의 고통과 성장의 연속선상에서 고군분투하는 한 인간일 뿐이다. 더욱이 어른인 백이진은 삶을 포기할 만한 상황에서 나희도의 삶에 대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고 감동을 받아 다시 일어선다.

 

백이진은 IMF로 밑바닥으로 떨어진 것 같은 상황에서 취업하기를 간절히 원했지만 면접에 번번이 떨어지고 좌절한다. 그러나 나희도 덕분에 불행으로 가득한 어두운 마음에서 행복의 빛을 발견하고 나희도에게 물었다. “웃고 나니까 면접 떨어진 것도 별거 아닌 것 같고. 이해되던데. 비극을 희극으로 만드는 거. 넌 어쩌다 그런 생각을 해냈어.” 나희도가 대답했다. “경기에서 맨날 졌으니까. 맨날 진다고 매일이 비극일 수는 없잖아. 웃고 나면 잊기 쉬워져. 잊어야 다음이 있어.” 참 옳은 말이다. 우리가 마음의 훈련이 되어있다면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다. 어찌 보면 우리 삶에서 실패는 당연하고 성공은 감사할 일이니까 말이다.

 

‘스물다섯 스물하나’에서 나희도는 심리적으로 취약할 만한 환경 속에서도 성격적 강점들이 있다. 나희도의 엄마인 기자 출신 신재경(서재희 분) 앵커는 심리상담사로서 봤을 때 자녀를 공감하고 격려하여 기를 살리는 좋은 엄마는 아니다.

 

그런데 나희도는 기죽지 않고 자신의 꿈을 찾아 나간다. 나희도에게는 극적인 삶의 변화에 적응하는 유연성과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할 줄 아는 외향성과 개방성이 있고 삶에 대한 낙관성과 천진난만함이 있다. 그리고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을 성실히 수행하는 몰입력이 있다.

 

무엇보다 자신에게 주어진 현재의 삶을 즐기고 살아가는 힘이 있다. 즉, 과거의 상처에 얽매이거나 미래의 불안으로 현재의 삶을 결코 허비하지 않는다. 아마도 나희도가 이기기 위한 것보다 좋아서 하는 펜싱을 하면서 훈련된 마음일 것이다. 그리고 나희도에게 절대적인 믿음과 격려를 해준 어릴 적 죽은 아버지의 이미지가 마음 속 깊이 각인되어 있어서 일 것이다.

 

나희도에게는 백이진의 지지와 격려와 고유림(보나 분), 문지웅(최현욱 분), 지승완(이주명 분) 등 친구들이 있다. 누구든지 심리적 취약함이 있더라도 함께 어울려 나아갈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역경을 이겨낼 수 있다. IMF 외환위기 시대를 살아낸 X세대의 성장의 힘은 함께 하는 사람들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코로나 시대의 어려움 속에서 MZ세대의 성장의 힘도 결국 함께 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X세대와 MZ세대의 차이라면 함께 어울리는 만남의 장소가 오프라인이냐 온라인이냐 정도일 것이다. 가장 좋은 것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온·오프라인의 적절한 함께 어울림의 조화이다.

 

드라마 OST ‘With’를 다섯 명의 주인공이 불렀다. 가사 중 “이제 혼자가 아니에요 무거운 짐들 같이 들어 줄게요”처럼 삶의 역경의 시기에는 자기 자신을 혼자 내버려 두면 절대 안 된다. 자기 자신을 일으켜 세워서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자리로 나아가 어울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꿈을 포기한 자리에서 일어날 수 있는 힘을 영영 잃어버릴지도 모른다.

 

100년을 살아갈 한 사람의 인생에 꿈이 하나만 있는 것이 결코 아닐 것이다. 그러니 자신의 꿈을 기억하고 꿈을 잃어버렸으면 새롭게 다시 꾸면 된다. 충분히 움직이고 잠만 잘 자면 꿈은 반드시 다시 꿀수 있다.

 

■ 최옥찬 심리상담사는

 

‘그 사람 참 못 됐다’라는 평가와 비난보다는 ‘그 사람 참 안 됐다’라는 이해와 공감을 직업으로 하는 심리상담사입니다. 내 마음이 취약해서 스트레스를 너무 잘 받다보니 힐링이 많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자주 드라마와 영화가 주는 재미와 감동을 찾아서 소비합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우리의 마음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고 싶어서 글쓰기를 합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편집국 기자 itnno1@inthenews.co.kr

배너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2025.05.08 17:02:0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사장 방경만)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8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4911억원으로 15.4% 증가했습니다. 본업인 담배사업부문은 해외사업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한 9880억원, 영업이익은 22.4% 증가한 25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외궐련사업은 주요 권역에서의 가격 인상과 판매량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매출·수량이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성장’을 4개 분기 연속 달성했습니다. 그 결과 해외궐련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12.5% 급증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고 매출도 53.9% 증가한 4491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KT&G는 지난해 방경만 사장 취임 이후 현지 인프라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카자흐스탄 신공장을 준공했으며 인도네시아 신공장은 내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입니다. ‘릴 하이브리드’를 앞세운 NGP사업은 국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으며 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사업부문 매출은 1.9%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사업부문은 개발사업 실적 반영으로 매출은 1004억원, 영업이익은 104억원을 기록해 전사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KT&G 관계자는 "환율 급등과 내수 침체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수익 중심의 본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궐련 사업에 집중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 동반 성장을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궐련 중심 사업에서 확장한 신제품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KT&G는 지난해부터 2027년까지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총 3조7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과 신규 매입한 자사주를 포함해 발행주식총수 20% 이상을 소각하는 밸류업 계획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약 1조1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을 실행해 총주주환원율 100%를 달성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