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피가 1월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밸류에이션 하락이 마무리 국면이고 대선 이벤트가 지수 방향성에 우호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상이다. 이를 바탕으로 반도체, 자동차 등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3일 신한금융투자는 1분기 이익 추정치 하향이 마무리될 경우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피의 12개월 선행 EPS(주당순이익)은 고점 대비 3% 내외 하락한 상황으로 올해와 내년 추정치 하향 폭이 크지 않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현재 수준에서 3% 내외 추가 하락이 가능하지만 1분기를 기점으로 회복세에 나설 수 있다”고 설명했다.
외국인이 지난해 11월부터 코스피를 순매수하고 있다. 과거 외국인의 패턴을 고려할 시 앞으로 4~10조 원 가량 순매수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신한금융투자는 과거 외국인이 대규모 순매도를 보인 이후 순매수 한 패턴을 고려할 시 순매수 여력이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외국인 순매도 규모가 컸기 때문에 과거 순매수 패턴을 상회할 가능성도 남아다고 분석했다.
코스피 1월 밴드를 2900~3150포인트로 예상하면서 대형 이벤트들 속에서 회복세를 예상했다.
노 연구원은 “1분기 10조 원 이상 대규모 IPO 일정은 수급에 부담이지만 방향성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아니다”라며 “지난 16년 이후 대규모 IPO(공모대금 9000억 원 이상)전후 코스피 수익률 궤적을 고려했을 때 일시적 영향력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한금융투자는 대선 이벤트는 지수 방향성에 우호적이라고 분석했다. 코스피가 과거 대선 2개월전부터 절대 및 상대수익률 상승 궤적을 보이면서 정책 구체화 시점에서 대선 영향권에 돌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초 반도체, 자동차 등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하다고 조언했다.
노 연구원은 “외국인 자금 유입에 따라 시가총액 상위 대형주가 유리하다”며 “4분기 실적 추정치가 상향 중인 업종 접근 전략과 IT 중심으로 대형주 비중을 늘리면서 소외 업종 비중을 함께 늘리는 전략을 고려할 만 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