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연말을 맞아 신년에는 집을 구매하겠다는 계획을 가진 사람이 지난해 연말에 비해 줄었습니다. 기준금리 인상 및 부동산 규제 강화 등으로 매수를 관망하는 이들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15일 부동산업체 직방이 자사 어플리케이션 이용자 204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2년 주택 매입 계획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4.1%인 1309명이 내년에 주택 매입 계획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최근 2년과 비교해보면 2020년 71.2%, 2021년 69.2% 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직방은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 향후 가격 조정 여부 등으로 관망 움직임이 커지며 매입하려는 움직임이 예년에 비해 주춤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거주지역별 매입 계획 응답비율은 지방(69.8%), 경기(66.5%), 지방 5대 광역시(62.8%), 인천(62.1%), 서울(57.2%)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매입 계획 응답자 1309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매입 유형을 조사한 결과, 기존 아파트를 매입하겠다는 의견이 37.7%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신규 아파트 청약(32.7%), 연립· 빌라(10.2%), 아파트 분양권·입주권(8.9%), 단독주택(5.4%), 오피스텔 청약·매입(3.6%)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신규 아파트 청약을 계획하는 응답 비율의 경우 2020년 24.9%, 2021년 29.1%, 2022년에는 32.7%로 매년 증가하는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기존 아파트 가격 상승 부담과 함께 3기 신도시 사전청약 시작 등의 요인으로 청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계획하는 주택 비용은 ‘3억 이하’가 38.3%의 가장 높은 응답비율을 나타냈습니다. 3억 초과~5억 이하(33.8%), 5억 초과~7억 이하(15.4%), 7억 초과~9억 이하(6.0%), 9억 초과~11억 이하(2.3%), 15억 초과(2.1%)가 뒤를 이었습니다.
계획 중인 주택 매입시기는 ‘1분기’(38.0%), 2분기(17.3%), 미정(16.7%), 4분기(14.9%), 3분기(13.0%)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주택을 매입하려는 이유로는 ‘전월세에서 자가로 내 집 마련’이 39.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습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기준금리 인상과 DSR 등 규제 강화가 내년에도 이어질 예정으로 매수 관망 속에서 내 집 마련, 거주지나 면적 이동 목적의 실수요자 위주로 움직임이 나타날 전망”이라며 “단, 아파트 아닌 곳으로 수요 분산과 중저가 선호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