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SK지오센트릭은 제2창업에 준하는 새로운 출발을 선언하고,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31일 밝혔습니다.
SK지오센트릭은 지난 1972년 대한민국 최초로 나프타 분해설비(NCC, Naphtha Cracking Center)를 가동하며 국내 석유화학 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해온 SK종합화학이 ‘탄소에서 그린으로’ 완전한 변화 의지를 담아 새롭게 만든 사명입니다.
SK지오센트릭은 31일 나경수 사장 등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외 언론 대상 ‘브랜드 뉴 데이’를 갖고 파이낸셜 스토리의 구체적인 실행 방안과 새로운 사명을 함께 발표했습니다.
◇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 위상 확보”
이날 나경수 사장은 “SK지오센트릭의 파이낸셜 스토리 핵심 방향은 ‘지구를 중심에 둔 친환경 혁신’”이라며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를 뽑아 내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나 사장은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1차 목표로 SK지오센트릭의 국내 플라스틱 생산량에 해당하는 년간 90만톤 폐플라스틱을 처리할 설비 능력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이에 더해 친환경 소재 확대 등 2025년까지 국내·외에 약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나아가 2027년까지는 SK지오센트릭의 글로벌 플라스틱 생산량 100%에 해당하는 250만톤/년을 직/간접적으로 재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습니다. 이는 해마다 전세계 바다로 흘러 들어 가는 폐플라스틱의 약 20%에 해당하는 수준입니다.

◇ “플라스틱 재활용까지 고려한 순환경제 체제 구축”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생산부터 분리수거 후 재활용까지 플라스틱 순환경제 체제를 갖추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차세대 재활용 기술 확보 ▲재활용 클러스터 구축 ▲3R 솔루션 개발 ▲친환경 소재 확대 및 친환경 원료 도입 등을 추진합니다.
이와 함께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Reduce) ▲친환경 소재로 대체(Replace) ▲재활용을 용이하게(Recycle) 하는 3R 솔루션(3R Solution)을 통해 고객의 친환경 니즈를 충족시키는 한편, 친환경 소재 및 원료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 소재들의 생산능력을 연간 50만톤 수준에서 2025년 190만톤으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바이오 유분과 열분해유를 원료로 적극 도입해 석유로부터 나온 플라스틱 양을 줄여 나가게 됩니다.
◇ 지구를 중심에 둔 비즈니스 모델 혁신..‘SK지오센트릭’으로 사명 변경
이날 나경수 사장은 “한국 최초 석유화학회사에서 세계 최고의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기반한 도시유전 기업으로 완전 탈바꿈해,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친환경 확산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SK지오센트릭’을 새로운 사명으로 채택했다”고 공식 선언했습니다.
이 같은 사명 변경은 2011년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SK종합화학 (영문명: SK global chemical)이라는 별도 법인으로 분사한 뒤 10년 만에 단행된 것으로, 사업모델부터 사명까지 ‘전면적인 딥체인지’를 한 셈입니다. 새로운 사명은 9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됩니다.
나경수 사장은 “폐플라스틱 이슈는 이를 가장 잘 아는 화학기업이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ESG 경영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순환경제와 친환경 확산을 주도하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