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노혜정 인턴기자ㅣ카카오엔터테인먼트(대표 김성수, 이진수·이하 카카오엔터)가 미디어 대상 ‘카카오웹툰 프리미어’ 웹사이트를 오픈해 카카오웹툰의 UX(사용자 경험), UI(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전을 27일 공개했습니다.
다음달 1일 국내에 오픈하는 카카오웹툰은 카카오엔터의 기술개발 역량과 콘텐츠 자산을 한 데 모은 ‘글로벌 스탠다드 플랫폼’으로 약 2년에 걸쳐 개발됐습니다. 이미 지난달 대만·태국에 론칭해 현지 앱마켓 만화분야 1위에 오르는 등 화제를 모았습니다.
이는 세계적 콘텐츠로 떠오른 웹툰을 카카오웹툰만의 방식인 ‘사용자 경험’에 힘입어 전달했기 때문인데요. 국내에서도 카카오웹툰을 향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카카오엔터는 국내 출범을 앞두고 카카오웹툰을 관통하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를 제시했습니다. 바로 ▲IPX(IP eXperience) ▲프리미엄 IP(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지적재산권) ▲글로벌입니다.
카카오엔터가 카카오웹툰 론칭과 함께 IP시장에 새롭게 던진 키워드는 IPX입니다. 글로벌 프로덕트 전략의 핵심이기도 한 IPX는 기존 IP를 전달·향유하는 인식 자체를 바꿔야 한다는 뜻을 담은 카카오엔터의 비전입니다. 카카오웹툰이 IPX를 통해 웹툰 산업의 새로운 UI·UX 기준을 세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카카오웹툰은 작은 직사각형 섬네일(그림)로 작품을 나열하던 지난 관성적 디스플레이 방식을 과감히 탈피했는데요. 회사 측은 “새로운 IPX는 웹툰의 본질인 ‘그림’ 자체에 집중해 게임·음악·영화·드라마로 변주되는 오리지널 IP의 가치를 직관적으로 전하도록 독창적인 디자인을 구현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카카오웹툰은 ‘프로젝트 인피니트(INFINITE)’라는 이름으로 시작됐습니다. 콘텐츠와 IPX가 무한히 확장하는 형태인데요. 웹툰의 본질인 그림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카카오웹툰 속 캐릭터들은 살아 움직이는 형태로 구현됐습니다. 메인 홈 스페셜 탭에 담긴 슈퍼 IP 애니메이션과 작품별 10초 안팎의 티저 영상도 기존 플랫폼과는 다른 독보적 IP 경험을 전하는 요소입니다.
이처럼 IPX의 극대화는 카카오웹툰 전반을 관통하는 인피니트 구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카카오웹툰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도 끝없이 IP가 디스플레이됩니다.
AI(인공지능) 추천기능도 인피니트 구조의 근간을 이룹니다. 카카오웹툰은 ▲연관 작품 추천 ▲그림체 기반 추천 ▲키워드 기반 추천 등 ‘개인 맞춤형 작품 추천’을 통해 독자에게 지속적인 IP 경험을 제공합니다.
한편 카카오엔터가 수년간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발굴한 국내 프리미엄 IP들이 카카오웹툰을 통해 대거 서비스될 예정입니다. 그간 다음 웹툰과 카카오페이지에서 선보여온 유수의 오리지널 웹툰 IP들을 총 망라해 서비스할 예정인데요. 향후 오리지널 신작들 역시 카카오웹툰에서 선보일 계획입니다.
또한 메인화면과 더불어 ‘웹툰원작’과 ‘소설원작’, ‘랭킹 탭’ 등으로 구성해 기존 다음 웹툰 작품들과 카카오페이지의 노블코믹스(novel comics) 작품이 함께 담길 예정입니다.

카카오웹툰은 플랫폼 설계 초기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만들어졌습니다. 글로벌 확장이 용이한 방식으로 설계를 시작했으며 어느 국가든 네트워크 환경에 큰 제약을 받지 않고 즐길 수 있도록 앱을 최적화했습니다.
카카오엔터는 대만·태국에서의 성공적 론칭이 카카오웹툰의 가능성을 입증한 신호탄으로 보고 있습니다. 태국에선 론칭 4일 만에 누적 일 거래액 3억7000만원을 돌파하는 등 흥행을 이어갔는데요. 카카오엔터는 대만·태국, 국내를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 곳곳에 카카오웹툰을 론칭하고 ‘글로벌 K웹툰 플랫폼’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입니다.
카카오웹툰은 “국내 IP는 물론 일본의 픽코마, 북미의 타파스 등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현지 개발된 오리지널 웹툰들을 카카오웹툰을 통해 서비스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2014년, 카카오엔터는 웹툰과 웹소설이 무료 콘텐츠라는 틀을 깨고 ‘기다리면 무료(기다무)’라는 세계 최초 비즈니스 모델을 시장에 도입해 산업으로 일궈냈는데요. 이에 그치지 않고 수년간 1조5000억원을 국내외 IP에 투자해 국내 창작 생태계의 성장을 견인했습니다.
이진수 카카오엔터 대표는 “과거 기다무가 웹툰 산업의 판도를 바꿨듯 이번 카카오웹툰을 또 한 번의 산업적 변곡점으로 생각하며 준비해 왔다”며 “대한민국의 창작자들과 오리지널 IP 산업 생태계가 큰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글로벌 IP 시장에 대한 도전을 멈추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