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LG화학(대표 신학철)은 총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해 유통되는 국제 채권으로 발행대금의 용도가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 및 인프라 투자에 한정된 채권입니다.
LG화학이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은 ▲양극재 등 배터리 소재 ▲폐플라스틱 재활용 등 친환경 플라스틱 소재 ▲태양광 등 재생 에너지 관련 소재 분야에 전액 투자할 계획입니다.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분사 이후에도 석유화학과 첨단소재 분야의 친환경 투자를 위해 올해 상반기에만 ESG 채권 발행으로 약 2조원의 투자 재원을 확보했습니다. 이에 회사는 선언적 차원에 머물렀던 ESG 경영에 대해 친환경 사업 분야 본격 투자 및 실행을 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LG화학은 지난 2019년 전 세계 화학기업 최초로 15억6000만달러(약 1조8000억원)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한 데 이어 올해 2월 8200억원의 원화 ESG 채권을 발행하는 등 국내 일반기업 중 최대 규모의 외화·원화 ESG 채권 발행 기록을 세운 바 있습니다.
또한 이번 10억달러(약 1조1000억원) 그린본드 발행으로 누적으로도 국내 일반 기업 중 최대 규모인 약 3조7000억원의 글로벌 ESG 채권 발행 기록을 보유하게 됐습니다.
LG화학 CFO 부사장은 “그린본드의 성공적인 발행은 친환경 플라스틱, 전지소재 등 글로벌 메가 트렌드에 부합하는 지속가능한 사업구조와 미래 가치를 투자자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이라며 “ESG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질적 성장 및 미래 준비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실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번 그린본드는 달러(USD)로 발행되며 5년 만기 5억달러와 10년 만기 5억달러 등 총 2개의 채권으로 구성됐습니다.
금리는 고정금리로 5년 만기 채권은 미국 5년물 국채금리 0.880%에 0.600%p를 더한 1.480%, 10년 만기 채권은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1.480%에 0.900%p를 더한 2.380%의 금리로 결정됐으며 국내 일반기업이 발행한 해외채권 중 역대 최저 스프레드(가산금리)를 달성했습니다.
이는 최초 제시 스프레드 대비 0.4%p가 낮아진 수준입니다.
LG화학 관계자는 “5년 206개 기관, 10년 218개 기관 등 전 세계 기관 투자자로부터 85억달러 규모의 매수 주문이 몰린 것은 물론 23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LG화학의 신용등급 전망을 Baa1 ‘안정적(stable)’에서 ‘긍정적(positive)’으로 상향 조정함에 따라 예상보다 개선된 조건으로 그린본드를 발행하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