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Food 식품

소주 페트병, 자원재활용법으로 투명해져

URL복사

Tuesday, December 24, 2019, 17:12:46

롯데주류, ‘처음처럼’ 투명 페트병 생산

 

인더뉴스 주동일 기자 | 자원재활용법으로도 불리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에 따라 주류 업계에서 페트병을 투명한 색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하이트 진로가 페트병을 투명으로 바꾼 데에 이어 롯데주류도 이에 동참했습니다.

 

롯데주류는 기존 녹색이었던 ‘처음처럼’의 페트병을 투명 병으로 생산한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적용 품목은 처음처럼 400㎖·640㎖·1000㎖·1800㎖ 등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은 25일부터 시행합니다. 개정안을 시행할 경우 재활용이 어려운 용기는 사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무색·갈색·녹색을 제외한 병과 유색 페트병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제품에 붙이는 라벨도 쉽게 뗄 수 있는 분리성 접착제로 바꿔야 한다.

 

이번 개정안으로 인한 ‘병 바꾸기’는 주류업계 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페트병 전 제품을 기존 초록색에서 투명한 병으로 바꿉니다. 2017년엔 ‘칠성 스트롱 사이다’를 무색 페트병으로 출시했습니다.

 

한편 자원재활용법 개정안은 재활용 용이성에 따라 포장재를 4개 등급으로 나눕니다. 재활용이 어려운 등급을 받을수록 더 높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분담금을 차등할 계획입니다.

 

수입 주류 업계는 한국 시장을 타기팅한 별도의 포장재를 개발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맥주·와인 등 일부 품목은 투명 병을 사용할 경우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어 업계에서 난처한 뜻을 보여왔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주동일 기자 jdi@inthenews.co.kr

배너

“시내버스 통신속도 1.5배 빨라진다”…SKT, 시내버스 ‘와이파이 7’ 시범 적용

“시내버스 통신속도 1.5배 빨라진다”…SKT, 시내버스 ‘와이파이 7’ 시범 적용

2025.08.04 09:52:27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시내버스 내에 차세대 와이파이 기술이 적용, 기존보다 평균 1.5배 이상 빠른 속도의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SK텔레콤[017670]은 국내 최초로 시내버스에 5G·LTE 통신 기반의 ‘와이파이 7’을 도입하는 시범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가 평균 1.5배 빠른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에 나선다고 4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범 서비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버스공공와이파이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됩니다. 5G·LTE 백홀 기반 와이파이 7 장비인 AP를 기존 버스 공공와이파이 임차 운영 2차 및 3차 사업에 적용해 품질을 고도화하는 게 핵심 내용입니다. SKT는 지난 5월 서울 및 경기 권역의 시내-간선(파랑), 시내-지선(초록), 광역버스(빨강) 등 총100대를 대상으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8월 말까지 이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SKT는 중 점검 결과, 최초 설치 간 품질 측정 시 다운로드 속도가 평균 1.5배 이상 향상됐다고 밝혔습니다. SKT에 따르면 와이파이 6·6E 장비를 처음 적용했을 때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429Mbps였으나, 와이파이 7 장비 최초 적용 후에는 노선별 715~1003Mbps를 기록했습니다. 단말당 평균 사용량도 20~30% 증가했습니다. 지난 5월 한달 간 동일한 버스 노선에 와이파이 6·6E와 와이파이 7 장비를 각각 탑재해 비교한 결과, 대당 5월 평균 사용량은 각각 27만2979㎆와 36만5211㎆로 기록됐습니다. 와이파이 7은 기존 와이파이 6·6E에 비해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시간을 단축합니다. 이는 와이파이 7이 2.4㎓, 5㎓, 6㎓ 등 주파수 대역을 동시 지원해 더 많은 장치가 서로 간섭 없이 빠르게 통신할 수 있는 규격이기 때문입니다. 채널 대역폭도 와이파이 6·6E의 2배인 320㎒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양이 늘어납니다. 디지털 패킷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인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값도 1024QAM인 6·6E보다 높은 4096QAM입니다. QAM 값이 높을수록 무선 신호에 정보를 더 촘촘하게 담아 보낼 수 있습니다. 안정성도 강화됩니다. 와이파이 7의 핵심 기술인 멀티 링크 동작(MLO, Multi-Link Operation)을 통해 여러 주파수 대역의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동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보안 측면에서도 한층 강화된 솔루션이 적용됩니다. 공공 와이파이 무료 대역에는 ‘OWE(Open Wireless Encryption)’ 기술을 도입해 이용자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공공 와이파이 보안 대역에는 기업·기관에서 주로 쓰는 무선 네트워크 보안 방식인 ‘WPA2/3 Enterprise’ 보안 기술이 도입됩니다. 김일영 SKT Connectivity사업본부장은 “버스공공와이파이 사업에 5G·LTE의 상용망 기반 와이파이7을 시범 도입해 국민들이 보다 나은 와이파이 서비스를 경험할 것”이라며 “이번 시범 서비스를 바탕으로 공공와이파이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해 안정적이고 향상된 통신 서비스 보급에 앞장서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