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전국 각지의 중소상인들이 이마트 노브랜드의 ‘꼼수 출점’을 저지하기 위해 한 자리에 집결했다.
전국 13개 지역에서 모인 27개 중소상인·시민단체들은 17일 오후 2시 서울시 성수동 이마트 본사 앞에서 이마트 노브랜드의 가맹점 철수와 상생협의를 촉구하는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이마트가 앞에서는 상생을 외치면서도 뒤에서는 가맹점 형태의 노브랜드를 연이어 ‘꼼수 출점’하고 있다”며 “가맹점 형태의 노브랜드 매장을 즉각 철수하라”고 요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은 그간 서울, 제주, 대구, 전주, 청주 등 각 지역에서 개별적으로 노브랜드 가맹점 출점에 대응하던 중소상인들이 처음으로 한 곳에 모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평이다. 기자회견에 참여한 중소상인들은 노브랜드의 골목상권 파괴행위를 한 목소리로 비판했다.
김성민 한국중소상인자영업자총연합회 공동회장은 “노브랜드의 가맹점 출점은 상생법이 정한 지역상인들과의 상생협의를 회피하기 위한 꼼수 출점”이라며 “가맹점 형태의 꼼수 출점을 즉각 중단하고 이미 개설한 7개 점포는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신세계 이마트는 앞에서는 상생스토어를 앞세어 상생기업의 이미지를 활용하면서도 뒤에서는 꼼수 출점으로 가맹점주와 지역상인들을 ‘을’과 ‘을’의 싸움으로 몰아가고 있다”며 “이마트 본사는 가맹점주 뒤에 숨지 말고 당당히 나와 지역 상인들과 상생협의에 나서라”고 말했다.
박우석 대구마트유통협동조합 이사장도 “직영점의 경우 상생협력법에 따라 지역의 중소상인단체들과 사업조정·상생협의를 할 수 있다”며 “하지만, 가맹점은 가맹점주가 개점 비용의 절반 이상을 부담하면 상생협의 자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이마트가 가맹점 형태로 꼼수 출점을 강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팀장은 “재벌대기업이 혁신과 투자를 통해 세계시장과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자본력을 앞세워 골목상권을 초토화시키게 되면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칠뿐 아니라 지역상권 전체를 무너뜨린다”고 우려했다.
이어 가맹점주 개점비용 분담비율 문제에 대해서는 “사업조정보다 더 강력한 규제를 두고 있는 유통산업발전법도 직영점이냐 가맹점이냐에 따라 규제를 달리하고 있지 않다”며 “상생법 시행규칙에 규정된 가맹점주의 개점비용 분담비율은 폐지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한편, 기자회견 참석자들은 전국 중소상인·시민단체들의 공동 주장을 담은 항의서한을 이마트 본사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사측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참석자들이 항의 서한을 이갑수 이마트 대표에게 직접 전달하기 위해 본사 진입을 시도하자 이마트 직원들이 본점 입구를 봉쇄한 것이다. 결국 이마트 성수본점 부점장이 항의 서한을 이갑수 대표에게 대신 전달하는 것으로 사태는 일단락됐다.
김성민 한국마트협회 회장은 항의 서한을 이마트 측에 전달하면서 “이번 주 내로 답을 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