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진은혜 기자ㅣ 전국 주택가격이 5개월 연속 떨어졌다. 한국감정원은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를 30일 밝혔다. 해당조사는 지난 3월 11일부터 4월 15일까지의 변동을 조사한 지표다.
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전국의 주택 종합(아파트·단독·다세대 등) 매매가격은 0.21% 떨어졌다. 서울(-0.22%→-0.18%)의 하락폭은 줄어들었지만 수도권·5대 광역시·세종시 등 나머지 지방(-0.14%→-0.18%)에서는 하락폭이 커졌다.
서울에서는 강동구(-0.64)의 주택가격이 인근 하남의 신규입주 물량 부담 등의 여파로 크게 떨어졌다. 양천구(-0.41%)의 경우 재건축 및 대단지 아파트 매물 증가로 집값이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차별화된 양상을 보였다. 광주·대전·대구·전남처럼 입지가 양호해 거주 선호도가 높거나 정비사업이 진행되는 지역의 매매가는 상승했다. 반면 신규 공급물량과 기반산업 침체 등의 요인으로 세종·울산·충북·경남 지역의 주택가격은 모두 하락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수도권의 경우 대출규제, 세제강화 등으로 주택구매 및 보유 부담과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매수심리가 위축됐다”며 “매도자와 매수자간 눈치 보기가 심화되면서 지난 달 보다 하락폭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전국 월간 전세가격은 0.29% 하락했다. 서울(-0.39%→-0.21%)을 제외한 모든 지방(-0.18%→-0.24%)의 하락폭은 확대됐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은 공급증가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가나 신규 입주물량 감소 및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하락폭이 축소됐다”며 “인천과 경기는 지속적인 신축단지 입주에 따른 매물 누적으로 지난달 보다 하락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전국 월간 월세가격은 0.12% 하락했다. 매매가·전세가와 마찬가지로 서울(-0.10%→-0.06%)을 제외한 지방(-0.11%→-0.14%)에서 하락폭이 커진 양상을 보였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서울은 직주근접 및 이주수요와 매매시장 위축의 영향으로 지난달보다 하락폭이 축소됐다”며 “광주·대전은 전세가격과 동반해서 하락세로 전환됐고 부산·울산은 하락세가 지속되는 등 전체적으로 지난 달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