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금융감독원이 자체 SNS 라이브 방송을 통해 종합검사를 둘러싼 업계의 우려에 대해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원장 윤석헌)은 지난 19일 페이스북 방송인 소셜라이브 ‘NOW’를 통해 ‘금감원 종합검사 방향에 관한 오해와 진실’이라는 주제로 방송했다.
간담회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방송에는 금감원을 대표해 윤덕진 감독총괄국 검사총괄팀장과 김혜선 선임조사역이 참석했다. 금융권을 대표해서는 은행연합회, 생명보험협회, 금융투자협회 소속 실무자들이 참가했다.
윤덕진 팀장은 지난 2015년 폐지됐던 종합검사를 부활시킨 배경에 대해 “부문검사만으로는 근본적 원인 해결이 어렵다는 내부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내부통제 약화로 인해 그간 크고 작은 금융사고가 발생했고, 지난해 금감원 접수 민원도 전년대비 9% 증가한 8만 3000건에 달했다는 설명이다.
‘유인부합적’ 종합검사와 대해서는 “우수한 금융회사에게는 종합검사를 받지 않을 유인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윤 팀장은 “회사가 스스로 소비자보호나 리스크 관리를 잘하도록 동기를 부여하자는 취지”라고 말했다.
방송에 출연한 금융권 실무자들은 대체적으로 종합검사에 따른 금융사의 수검부담 증가를 우려했다. ‘유인부합적’이라고는 하지만, 담당 검사역 성향에 따라 막대한 자료를 요구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이러한 우려에 대해 금감원 측은 “종합검사 앞뒤 3개월 간은 다른 검사를 진행하지 않을 예정”이라며 “과도한 검사기간 연장이나 요구자료도 최소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보험업계를 대표해 방송에 나온 생보협회 관계자는 이번 종합검사 대상 선정과 관련해 “보복성 논란이 있다”며 금감원 측에 설명을 요구했다. 생보업계 검사 대상으로 알려진 삼성생명과 한화생명은 모두 즉시연금 사태로 금감원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금감원 측은 “시기적으로 오해할 수 있다”면서도 “보복성 논란 등을 감안해 평가지표를 만드는 데 있어 업계 입장을 충분히 반영했고, 개선된 지표로 검사 대상을 선정했기 때문에 보복성 검사를 말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