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삼성전자는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삼미술)‘이 상반기 지원할 44개 연구과제를 선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기초과학 16개, 소재기술 11개, ICT 분야 17개로 연구비 617억이 지원된다.
1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향후 AI, 5G, 로봇 등 미래기술과 환경, 난치병 등 사회적 난제를 해결하는 과학연구 지원도 강화한다.
지난 2013년 8월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기초과학)과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소재기술, ICT)를 설립해 추진해 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517개 연구과제에 총 6667억원을 지원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에는 서울대학교 화학부 김성근 교수가 내정됐다. 삼성전자는 2019년 상반기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된 44개 연구과제를 발표했다.
미래기술육성재단이 운영하는 방향은 크게 5가지다. 세부적으로 ▲ 세계 최초를 추구하는 모험과제 지원 ▲공정하고 긍정적인 방향의 심사 ▲신규성과 영향력 ▲장기적, 체계적, 개인 맞춤형 지원 ▲ Grant 연구로 자율성과 유연성 등을 추구한다.
김성근 이사장은 “이번 사업에서 세계적으로 사례가 없는 정부와 민간 간의 협력과 시너지를 추구하려고 한다”며 “아무도 하지 않은 연구와 실험을 하면서 독창적인 모형형 프론티어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글로벌 수준에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는 과제 16개가 선정됐다. 유니스트(UNIST) 이자일 교수팀은 방사선이나 바이러스 등 다양한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암치료제 개발에 활용가능한 기초기술을 연구하는 ‘크로마틴 구조에서 DNA 손상 복구 메커니즘 연구‘를 진행한다.
현대 입자물리학의 난제 중 하나로 꼽히는 ‘소립자의 한 종류인 강입자의 질량 측정‘과 관련된 연구(연세대학교 이수형 교수)도 포함됐다. 김준태 박사는 ‘플로어 이론을 이용한 사교기하학 연구와 천체역학으로 응용‘이라는 연구를 한다.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사회적 관심이 높은 환경 이슈와 관련된 과제 등 총 11개가 선정됐다. ‘멀티 오염물 제거 다기능 필터(멤브레인)‘ 연구(성균관대학교 정현석 교수)는 중금속, 유기물 등 다양한 수질 오염원을 한번에 정화할 수 있는 필터를 개발해 소형화가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는 AI, 머신러닝, 양자컴퓨터 등 미래 핵심기술을 연구하는 17개 과제를 선정했다.
연세대학교 유기준 교수팀은 입 주변과 성대의 미세한 근육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피부 부착형 센서와 딥러닝 기반의 단어 변환 알고리즘을 개발해 청각·발화 장애인들의 의사소통에 응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한다.
고민첩·고적응 로봇 매커니즘의 창의적 위상설계 기술 연구도 이어진다. 지금까지 로봇 인공지능은 설계자의 직관에 의존해 수동으로 설계됐다. 앞으로 인공지능을 이용해 시행착오 없이 정밀 로봇을 자동으로 설계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김태현 교수팀은 ‘머신러닝을 통해 새로운 양자 알고리즘 개발과 하드웨어 최적화 연구‘를 통해 차세대 컴퓨팅 기술인 양자컴퓨터 분야의 연구 저변을 확대하고 국제적 경쟁력 확보에 나선다.
초소형 LED 뇌종양 치료 시스템 연구팀(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광명 박사팀)에서는 항암제와 약물 조절장치, 센서가 탑재된 LED를 삽입해 뇌종양을 정밀하게 치료하고, 뇌혈관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연구한다.
삼성전자 미래기술육성센터장 음두찬 상무는 “이번에 선정된 과제에는 AI, 5G, 로봇 등 미래 기술 연구뿐만 아니라, 난치병 치료를 돕는 연구나 사회적 약자와 공익을 위한 과제도 다수 포함됐다“며 “향후 환경, 난치병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연구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