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 “중국인 몰을 대상으로 AI음성 검색 서비스를 도입해 본 결과, 보다 더 유의미한 메이크업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2일, 신세계면세점이 자사 애플리케이션 ‘취향 AI 음성 검색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중국인 관광객들의 소비 성향을 분석·발표 했다.
작년부터 신세계면세점이 모바일 앱을 통해 선보이고 있는 ‘AI 음성 검색 Beta서비스’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인 고객들은 ‘대중에게 검증된 인기있는(1520회)’, ‘추천할 만한(1452회)’, ‘가성비 있는(977회)’ 상품을 주로 음성 검색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고객들의 검색 데이터 취합 결과, 제품 중에는 디올의 레드 컬러 립스틱에 대한 검색량이 약 1500회로 가장 많았다. 국내 고객들은 주로 핑크·오렌지·코랄 등 자연스러운 톤의 립 컬러를 선호한 반면, 중국인 고객들은 색감이 진하고 분명한 칠리·웜톤 계열의 컬러 검색 비율이 높았다.
또한 블랙·브라운 등 기본 컬러를 주로 검색하는 내국인과 달리 중국인 고객들은 퍼플·그린·블루 등 이색 컬러에 대한 니즈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오전에는 ‘워터프루프’, ‘건성피부에 좋은’ 등 화장품의 기능에 대한 검색이 많았던 반면, 오후에는 립스틱·섀도 등 색조 화장품에 대한 검색량이 높았다. 흔히 중국인 고객들이 느끼는 가성비의 기준은 약 13달러 내외에 이르는 것으로도 조사됐다.
신세계면세점측은 “발렌타인데이·화이트데이 등을 비롯해 졸업·입학 시즌이 겹쳐, 선물로 뷰티상품을 고려하는 고객들이 많아졌다”며 “또한 브랜드마다 다양한 스페셜 에디션까지 출시하고 있어, 실제 뷰티상품 판매량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종영한 드라마 ‘남자친구’에 등장했던 설화수·라네즈 브랜드가 재조명 받으면서, 중국인 고객 중 해당 색조 제품을 구매하는 비율은 각 브랜드별로 각각 12.7%, 75.3%를 차지했다.
내국인 고객의 각 브랜드 구매 비중이 각각 6.3%, 32.6%인 점을 고려하면, 국내 브랜드의 색조 제품 선호도는 중국인 고객에게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중국인 몰을 대상으로 AI음성 검색 서비스를 도입해 본 결과, 브랜드·가격 등의 단순 키워드 검색 시보다 훨씬 더 유의미한 메이크업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전과 오후에 주로 검색되는 콘텐츠, 선호하는 기능 혹은 취향 등 고객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구체적 데이터를 선별해 브랜드별 마케팅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취향 AI 음성 검색 서비스’는 신세계면세점과 인공지능 스타트업 기업 마이셀럽스가 협업으로 개발했다. 마이셀럽스는 ‘MATS’(Mycelebs AI Transformation Suite)를 보유하고 있는 AI 스타트업이다.
MATS는 대중들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머신러닝·시각화·자동 운영·업데이트하는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한다. 방송·여행·리테일 등 산업별 선두업체들과 제휴해 인공지능 기반의 새로운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신세계면세점은 올 3월부터 국내 고객들을 대상으로도 ‘취향 AI 음성 검색 beta 서비스’를 도입했다. 향후 오프라인 매장과 연계해 각 매장별 안내 서비스도 추가 도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