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재혁 기자] 작년 하반기 ‘관계형금융’ 우수은행으로 신한은행(대형)과 대구은행(중소형)이 선정됐다. 관계형금융은 은행이 기업에 장기대출·지분투자 등 컨설팅을 제공하고 기업의 사업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로, 중소기업과 은행에 모두 ‘윈-윈(Win-Win)’이란 평이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관계형금융 우수은행으로 대형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과 KEB하나은행이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중소형은행 중에선 대구은행과 경남은행이 1, 2위로 선정됐다.
지난 2014년 11월에 도입된 관계형금융은 은행과 기업이 장기신뢰 관계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업성과를 공유하는 제도다. 은행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기업에 3년 이상의 장기대출을 지원하고 회계나 법률 등 경영컨설팅서비스도 제공한다.

실적 1위를 차지한 신한은행은 공급규모(누적 공급금액, 업무협약 체결건수 등) 및 공급유형(신용대출 비중 등) 모두 전반적으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2위인 KEB하나은행은 공급규모 면에서 다소 미흡했지만, 초기기업비중이나 지분투자규모 등이 우수했다.
중소형은행 1위인 대구은행은 누적 공급금액, 업무협약 체결건수가 우수하고 공급유형 측면에서도 양호한 점수를 기록했다. 2위 경남은행의 경우 컨설팅 실적은 적었지만 공급증가율, 업무협약 체결 건수 등 공급규모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한편, 작년말 기준 관계형금융 잔액은 5조 9210억원으로 전년(4조 대비 40.8%(1조 7162억원) 확대됐다. 이는 전체 중소기업대출 증가율(7.4%)의 6배 수준이다. 장기대출(5조 8818억원)이 대부분이며, 지분투자(392억원)는 전년말(397억원) 대비 소폭 감소했다.
평균 대출금리는 3.58%로 전체 중소기업대출 평균금리(3.68%)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연체율은 0.60%로 전체 중소기업대출(0.48%)과 비교하면 다소 높지만, 재무정보가 축적되지 않은 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을 취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높지않은 수준이라는 평이다.
금감원은 올해 관계형금융 활성화를 위해 반기별 우수은행 평가결과를 홈페이지(파인)에 공시하고 연말에 포상하는 등 인센티브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관계형금융 간담회를 개최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듣고 우수사례를 업계에 공유하기로 했다.
아울러, 중소기업에 대한 관계형금융 홍보도 강화한다. 관계형금융 인식 제고를 위해 중소기업주간(5월 셋째주)에 설명회를 개최하고, 관계형금융 지원 성공사례 발굴, 안내 책자 제작 및 배포를 통해 적극적인 홍보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