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Zoom in 줌인

기름에 튀기지 않은 라면 ‘급성장’..1년새 32%↑

URL복사

Friday, January 12, 2018, 14:01:06

비유탕봉지라면 매년 두 자릿수 성장..작년 1000억 원까지 신장 예상
풀무원, ‘비유탕면’ 시장 선도 평가..육칼·파듬뿍육개장 등 인기 몰이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기름에 튀기지 않은 라면(비유탕면)이 지난해 32% 성장하면서 2018년 라면 시장에 새로운 트렌드를 예고하고 있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비유탕봉지라면'은 지난해 11월까지 약 880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32% 늘었다. 비유탕봉지라면은 지난 2015년 629억 원을 기록한 이후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지속해 왔다.


라면 성수기인 12월 매출까지 반영하면 작년 비유탕봉지라면의 시장규모는 900억 원을 무난히 돌파할 것으로 보이며 1000억 원까지도 신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라면시장의 성장은 주춤하고 있다. 국내 라면시장은 약 2조원 규모로 지난 5년 간 매출의 등락이 있었지만,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한 때 1500원대의 프리미엄 중화풍 라면 등이 인기몰이를 했지만, 현재는 다소 침체된 모습이다.

 

라면 제조사들은 차별화된 신제품을 경쟁적으로 내놓으며 라면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특히, 기름에 튀긴 ‘유탕면’ 일색이었던 국내 라면시장은 기름에 튀기지 않은 ‘비유탕면’ 신제품들이 속속 나타나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 “기름진 면은 가라”..비육탕면대 시대, 성큼


국내 비유탕면의 대표적인 제품은 풀무원의 '자연은 맛있다'이다. 풀무원은 지난 2011년 비유탕면을 론칭해 국내 라면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 초창기 히트작 ‘자연은 맛있다 꽃게짬뽕’은 출시 2달만에 200만 개를 판매하는 등 인기를 끌며 비유탕면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하지만 한계도 있었다. 비유탕면은 기름에 튀긴 유탕면에 비해 포화지방이 매우 낮아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 일품이지만 자극적인 맛에 익숙했던 라면 마니아들에게는 큰 관심을 끌지 못했다.

 

비유탕면에 대한 선입견을 바꾼 제품은 풀무원이 2016년 출시한 육개장칼국수(이하 육칼)다. 육칼은 쫄깃한 면발과 대중들이 선호하는 진한 국물로 비유탕면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는 평이다. 실제로 출시 6개월 만에 2000만 개를 판매해 국내 봉지라면 매출 톱10 안에 진입하는 등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육칼의 성공 이후 풀무원은 지난해 브랜드명을 ‘자연은 맛있다’에서 ‘생면식감’으로 리뉴얼하며 비유탕면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생면식감(生麵食感)’은 튀기지 않고 바람에 말린 생면 특유의 쫄깃한 식감을 직관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풀무원은 최근 국내 라면업계 최초로 일본식 라멘인 ‘생면식감 돈코츠라멘’을 출시했다. 기름에 튀긴 ‘유탕면’이 주류인 국내 라면시장에서 일본식 ‘라멘’은 국물과 면의 조화로운 밸런스 조절이 어려워 소비자 눈높이에 맞는 제품 개발이 쉽지 않았다.


풀무원은 일본 현지서 라멘 조리 시 튀기지 않은 ‘생면’을 사용하는 것에 착안했다. 그 동안 쌓은 비유탕면 노하우를 총집합, 일본식 라멘에 최적화된 면발을 개발해 제대로 된 돈코츠라멘을 만든 것이다.

 

◇ 뒤좇는 후발 업체들..앞서가겠다는 풀무원


풀무원 외 다른 라면 제조사들도 비유탕면 신제품을 출시하며 제품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농심은 2016년 말 ‘얼큰장칼국수’를 삼양식품은 2017년 ‘파듬뿍육개장’을 선보였다. 모두 비유탕면이다.


유통업계도 비유탕면 트렌드에 주목하고 있으며 대형마트를 중심으로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홈플러스는 지난해 이미 풀무원과 함께 ‘비유탕면 특설 매대’를 기획했다. 오는 13일 전국 홈플러스 110여 개 매장에 ‘비유탕면 특설 매대’를 설치하여 소비자 입맛 잡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풀무원식품 건면사업부(Dried Noodle DM) 박준경 PM(Product Manager)은 “그 동안 국내 라면은 빨간국물, 하얀국물 등 스프 개발이 관건이다며 하지만 2015년 굵은 면발의 중화풍 라면이 인기를 끌면서 많은 소비자들이 면의 식감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풀무원 생면식감은 유탕면 일색인 국내 라면 시장에서 비유탕면만이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신제품을 선보이며 라면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라면시장은 한화로 약 6조 원 규모다. 이 중 비유탕면은 2011년 5%에 불과했으나 25%(한화 약 1.5조 원)까지 성장했다. 현재 국내 라면시장도 일본의 2011년과 비슷하다. 아직 비유탕면이 국내 라면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유탕면에 비해 낮지만 지난 3년간 성장폭을 비추어볼 때 향후 전망은 밝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petite2080@hotmail.com

배너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1분기 실적] KT&G, 영업익 2856억…전년비 20.7% ↑

2025.05.08 17:02:04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KT&G(사장 방경만)는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28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7%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4911억원으로 15.4% 증가했습니다. 본업인 담배사업부문은 해외사업의 고성장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3% 증가한 9880억원, 영업이익은 22.4% 증가한 2529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해외궐련사업은 주요 권역에서의 가격 인상과 판매량 확대로 인해 영업이익·매출·수량이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성장’을 4개 분기 연속 달성했습니다. 그 결과 해외궐련사업은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312.5% 급증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고 매출도 53.9% 증가한 4491억원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KT&G는 지난해 방경만 사장 취임 이후 현지 인프라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지난 4월 카자흐스탄 신공장을 준공했으며 인도네시아 신공장은 내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입니다. ‘릴 하이브리드’를 앞세운 NGP사업은 국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으며 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식품(건기식) 사업부문 매출은 1.9% 증가했습니다. 부동산사업부문은 개발사업 실적 반영으로 매출은 1004억원, 영업이익은 104억원을 기록해 전사 수익성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KT&G 관계자는 "환율 급등과 내수 침체 등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수익 중심의 본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궐련 사업에 집중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 동반 성장을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궐련 중심 사업에서 확장한 신제품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KT&G는 지난해부터 2027년까지 현금 배당과 자사주 매입 등 총 3조7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과 신규 매입한 자사주를 포함해 발행주식총수 20% 이상을 소각하는 밸류업 계획을 공개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약 1조1000억원 규모의 현금 환원을 실행해 총주주환원율 100%를 달성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