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035420]가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 '에이전트 N'의 방향성을 공개했습니다.
6일 개최된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DAN25에서 '검색을 넘어 실행까지: 사용자 경험의 진화'를 주제로 키노트 세션 연사로 나선 김범준 네이버 COO(최고운영책임자)는 "AI 시대를 맞아 네이버는 '에이전트 N'으로 고도화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에이전트 N은 네이버의 서비스와 콘텐츠, 데이터를 하나로 통합한 사용자 개개인을 위한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입니다.
네이버는 이번 행사를 통해 AI 대전환의 흐름 속에서 전 서비스의 '에이전트화'를 추진하겠다고 예고했습니다.
에이전트 N은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가 하나의 서비스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심리스(seamless)한 경험'을 핵심으로 내세웁니다. 사용자가 직접 명령을 입력하지 않아도 지도·캘린더·예약·콘텐츠 등 네이버의 서비스가 사용자의 탐색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필요할 때 제안하고 실행합니다.
서비스의 결합이 자연스러운 사용성을 만든다면 데이터의 결합은 정교한 '초개인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네이버는 LLM(거대언어모델)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서비스 로그를 통합 분석,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제안을 수행합니다. 사용자의 관심사와 패턴을 종합적으로 이해해 '페르소나'를 구축하고 이에 기반해 가장 적합한 정보와 액션을 제시하는 방식입니다.
에이전트 N은 단순히 추천이나 제안을 넘어 실제 행동까지 연결할 수 있는 '실행형 에이전트'를 지향합니다. 예컨대, 내년 여름 출시 예정인 신규 서비스 'AI탭'에서 '초보자 러닝코스'를 입력하면 플레이스·카페·블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련 코스와 후기 정보를 보여주고 러닝 전문 인플루언서를 구독하거나 '체온 유지에 좋은 윈드브레이커' 등 개인화된 상품을 탐색·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이때 구매 과정에는 '쇼핑 에이전트'가 자연스럽게 연동됩니다.
이처럼 실행까지 가능한 이유는 네이버가 검색·쇼핑·로컬·금융 등 다양한 분야의 강력한 서비스 생태계를 이미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AI 에이전트 경쟁력의 핵심인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위해 네이버는 '메타데이터'를 활용, 에이전트가 참조하고 이용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로 단순 크롤링으로는 얻을 수 없는 정보입니다. 이를 통해 AI가 참고하는 콘텐츠가 실제 사용자의 경험 기반인지, 혹은 자동 생성된 데이터인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는 실구매자·실예약자만 작성 가능한 리뷰, POS 시스템과 연동된 실시간 예약 현황, 판매자와 직접 연결된 재고 정보 등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김 COO는 "신뢰 자산이야말로 AI 에이전트 시대의 필수 조건"이라며 "네이버는 가장 믿을 수 있는 에이전트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3분기 실적] 미래에셋증권, 3분기 세전이익 4472억원…ROE 2분기 연속 10 이상](https://www.inthenews.co.kr/data/cache/public/photos/20251145/art_17623961096517_f3a63a_357x250.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