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 인도법인 지분 15%에 대한 공모가 밴드(범위)가 최소 1조 7384억원에서 최대 1조 8350억원으로 최종 결정됐습니다. 주당 공모가는 최소 1만7000원(1080루피)에서 최대 1만8000원(1140루피)이고 처분 예정일은 이달 13일, 최종 상장일은 14일입니다.
LG전자[066570]는 인도증권거래위원회로부터 인도법인 상장 최종 승인을 받아 지분 15% 처분금액과 처분예정일자를 1일 공시했습니다. 처분금액은 보수적으로 밴드 최하단 가격인 1조 7384억원을 기준으로 공시됐으나, 실제 처분금액은 이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모가 최상단으로 결정되는 경우 LG전자 인도법인은 최대 12조원 이상 기업가치를 평가받게 됩니다. 이는 인도 증시에 상장돼 있는 비교기업의 시가총액 규모와 비교해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월풀 인도법인의 시가총액은 약 2조 4000억원, 인도 타타그룹 계열 가전기업인 볼타스의 시가총액은 약 7조 2000억원입니다.
이번 IPO는 신주 발행 없이 LG전자 본사가 구주매출로 매각 자금을 전액 환수하는 방식입니다. LG전자는 하루 전인 9월 30일 이사회를 열고 보유 중인 인도법인 주식 15%(1억 181만 5859주)의 처분을 결정한 바 있습니다.
업계는 조 단위로 유입되는 자금 활용처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LG전자가 최근 B2B(기업간거래)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있는 만큼 지분투자, 인수합병 등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일부 자금은 주주가치 제고에도 쓰일 전망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인도 가전시장은 14억 인구와 높은 경제성장률, 낮은 가전 보급률 등으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주요 가전 보급률은 냉장고 40%, 세탁기 20%, 에어컨 10% 수준에 머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LG전자는 지난 1997년 인도 시장 진출 이후 28년간 인도 전역에 걸쳐 현지 완결형 사업체제를 구축, 2개 생산기지와 51개 지역 사무소, 780여 개 브랜드숍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남부 스리시티 지역에는 기존 노이다, 푸네 공장에 이어 세 번째 생산기지도 구축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