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030200]가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범행에 활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관리 부실에 대해 인정했습니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가 연 KT·롯데카드 해킹 사태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김영섭 KT 대표는 "소액결제 사고 뒤 펨토셀 관리 실태를 보니 허점이 많고 관리가 부실했다"라며 "사고 이후 (불법 펨토셀이) 망에 붙지 못하도록 조치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김 대표는 펨토셀 설치·관리를 외주업체가 맡고 있느냐는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그렇다"라며 관리 부실이 사건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지적에도 "인정한다"라고 답했습니다.
이와 함께 KT는 문자 메시지(SMS) 등 모든 소액결제 인증 방식을 대상으로 피해를 파악하고 있다고도 밝혔습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T가 ARS 인증만을 토대로 피해 규모를 소극적으로 조사하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분석에 시간이 걸려 일단 ARS 기반으로 분석한 것이며 SMS 등 전체 인증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황 의원은 또한, 김 대표에게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내려오겠다는 약속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김 대표는 이에 대해 "지금 그에 대한 말씀을 드리는 것은 부적절하고 우선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KT 해킹 사태로 인해 복제폰이 생성될 가능성에 대해 면밀히 파악할 것이며 KT가 은폐 목적으로 지연 신고 등을 행했음이 확인될 경우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 조치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인증키 등 복제폰 생성을 위한 주요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되었을 위험성이 있지 않으냐"라고 질의했으며 이에 대해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그 부분까지 면밀히 보겠다"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류 차관은 "인증키는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KT가 신고했는데 조사를 하면서 철저히 보겠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어 박 의원의 "과기정통부가 KT의 서버 폐기 의혹 등 사안을 들여다보고 고발 조치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했는데 실제 가능성이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서버 폐기나 신고 지연 등에 고의성이 있는지 파악하는 대로 필요시 경찰 수사 의뢰 등 강력히 조치하겠다"라고 답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