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제해영 기자ㅣ국립한국해양대학교(총장 박재홍)는 국제해양문제연구소(소장 정문수)가 인문한국플러스(HK+) 지원사업 ‘바다 인문학’ 기획 총서의 하나로 '경계를 넘는 아시아 해역과 인류세 시대의 어업공동체'를 지난 3월 출간했다고 2일 밝혔습니다.
이 책은 7년간 진행된 바다 인문학 연구의 결실로, 바다를 초국경적 교류와 상호작용의 공간으로 인식하며 아시아 해역공동체의 역사와 미래를 다각도로 조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류세(Anthropocene) 시대에 직면한 해양 생태 위기와 자원관리 문제를 중심으로 해역공동체의 지속가능성 및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총 2부 16편의 논문으로 구성된 이번 책은 제1부에서 조선-유구 교류, 정몽주의 사행, 근대 일본의 해양진출론 등 아시아 해역의 역사적 사례를 통해 해양 네트워크의 형성과 재편 과정을 추적합니다. 제2부에서는 해양 계정(Ocean Accounts), 기후변화 대응, 공동체 보상 제도 등 현실적 과제를 학제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진은 “이 책은 해양을 둘러싼 인간 문명과 생태, 자원과 정책을 통합적으로 고찰한 시도”라며 “트랜스내셔널 해양사와 인류세 연구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지평을 열고자 했다”고 밝혔습니다.
국립한국해양대는 이번 출간이 해양이 단순한 물리적 경계가 아닌 인간과 사회, 문화와 생태가 교차하는 역동적 장(場)임을 일깨우며 바다 인문학의 미래 방향과 실천적 기여 가능성을 제시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