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surance 보험

동장군 힘 못 써도 '車 보험사, 한숨 푹푹'

URL복사

Friday, January 24, 2014, 15:01:54

긴급출동 건수 20~30%p 줄었지만, 손해율 고공행진은 지속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눈과 한파로 인한 자동차사고가 급증하는 겨울은 손해보험사에게는 두려운 계절이다. 하지만, 유난히 긴 겨울이 될 것이라는 기상청의 예보가 보란 듯이 빗나가고 있다. 가장 반가워해야할 손해보험사들의 표정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이유가 뭘까?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겨울이 시작된 작년 12월 전국평균기온이 영상 1.5도였다. 이는 201212월 평균 기온인 영하 1.7도보3.2도 높은 수치. 12월 전국 최고 기온이 영상 6.4도에 육박하는 등 따듯한 겨울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눈이 많이 내리기로 유명한 영동지방은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간 일이 없을 정도. 제대로 눈이 내린 일이 거의 없는 데다 내렸던 눈도 바로 녹아 인도나 찻길에 쌓이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한파와 폭설이 없는 올 겨울에는 교통사고가 줄어서 손보사의 긴급출동건수도 대폭 감소했다. 하지만, 손해보험사들의 표정은 여전히 어둡다. 수익성 지표인 손해율이 낮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대해상은 작년 12월 자동차 긴급출동건수는 392483, 전년도 270686에 비해 12만건이상 줄어들었지만,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96.3%로 전년도(95%)보다 오히려 커졌다.

 

같은 기간 LIG손해보험은 긴출건수가 278727건에서 175997건으로 37%나 감소했지만, 손해율은 98.1%에서 96.3%1.8%p 줄어드는 데 그쳤다. 메리츠화재도 지난달 손해율과 긴출건수는 각각 10만건과 99.2%(201214만건, 104.1%)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선방한 곳이 없지는 않다. 삼성화재의 경우 201312월 긴출건수는 약 43만건으로 전년 57645915만건이나 줄었고, 손해율은 95.1%(가마감)으로 전년도 109%에 비해 14%p가량 감소했다.

 

동부화재는 긴출건수 약 30만건, 손해율 88.7%로 전년도(20만건, 102.7%)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하지만, 이들 보험사도 적정손해율인 77%를 훨씬 넘어서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긴급출동건수는 자동차보험손해율과 직결된다. 긴급출동이 많아지면 그 자체로도 비용이 많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보험에서 지출해야할 보험금도 상대적으로 많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긴출건수가 줄었는 데도 이에 비례해서 손해율이 낮아지지 않는 이유는 뭘까? 이는 20124월에 일괄적으로 실시한 자동차보험료 인하(2.5%)에 더해 저가의 다이렉트 자동차보험의 가입률 증가, 보험사간 보험료 할인경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손보 업계 관계자는 일괄적인 보험료 2.5% 인하에 가격할인 경쟁으로 회사가 느끼는 인하율은 6~7%에 달한다인하된 자동차 보험료의 체감 효과가 10월부터 나타나 경영 악화의 요인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카드사와의 제휴를 통한 가격할인 옵션도 추가돼 인하된 보험료에서 할인이 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손해보험사들은 남은 겨울 기간을 더욱 걱정하고 있다. 복수의 손보업계 관계자는 이달 말인 설 연휴나 2월에도 큰 눈이 내릴 가능성이 있다폭설이 내리면 자동차 사고율이 급증해 1~2월 손해율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고 우려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권지영 기자 eileenkwon@inthenews.co.kr

배너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료 교체…해킹 피해 후속 조치

KT, 전 고객 대상 유심 무료 교체…해킹 피해 후속 조치

2025.11.04 17:41:42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KT가 해킹 피해 후속 조치로 가입자 전체를 대상으로 5일부터 유심 무상 교체를 시행합니다. KT[030200]는 4일 이사회를 열고 전 고객을 대상으로 한 유심 교체 실시를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8월 KT 가입자 2만2227명이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불법 접속에 노출되고 362명이 무단 소액결제를 당하는 해킹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또한, 국제이동가입자식별정보(IMSI), 국제단말기식별번호(IMEI) 등 일부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도 확인됐습니다. 이번 유심 교체는 이에 대한 KT 가입자들의 불만이 커짐에 따라 내려진 후속 조치입니다. 당초 KT는 해킹 피해 고객 2만명에 한해 유심 무료 교체를 진행했지만 "유심 교체를 전 고객으로 확대하라"라는 국회의 지적에 유심 교체 적용 대상을 고객 전체로 확장했습니다. 유심 교체는 시행 초기 신청이 집중될 가능성을 고려해 피해 발생 지역(광명·금천 등)을 우선 대상으로 진행하고 이후 수도권 및 전국으로 단계적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KT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고객에게도 동일한 유심 무상 교체가 적용되며 구체적인 일정과 방법은 각 알뜰폰 사업자를 통해 추후 안내됩니다. 이번 해킹 사태에 대한 전체 정황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지만 현재까지 발생한 소액결제 피해와 개인정보 유출은 KT가 관리하는 핵심 서버망에서 해킹이 이뤄졌기 때문이라는 의혹이 지속되자 가입자 보호 조치를 취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가입자에 대한 위약금 면제 여부는 이날 이사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습니다. KT는 "위약금 면제는 민관 합동 조사 결과 등을 고려해 추진 시 이사회 논의, 의결을 거쳐 시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