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영풍 석포제련소가 26일부터 58일간 조업정지에 들어간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영풍의 많은 환경오염 문제를 지적하며 통합환경허가 등 특단의 조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6일 경북 봉화군 지역 시민단체인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 공동대책위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환경부는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통합환경허가를 취소하고 폐쇄, 이전, 복원과 주민생계, 주민건강대책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강 의원은 "계속되는 환경오염, 반복되는 산업재해로 죽음의 제련소라 불리는 석포제련소가 또다시 환경법을 위반해 조업정지에 들어갔다"며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10여년 동안 120여건의 환경법령 위반사항이 적발됐고 90차례가 넘는 행정처분을 받았음에도 폐수를 무단으로 방출하는 등의 불법조업을 이어오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강 의원은 또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해 낙동강의 핵심오염원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는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공장을 그대로 내버려둬서는 안된다"며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삼는 영남주민과 노동자들을 위해 국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지혜를 모아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강의원은 지난해 10월 국회 환경노동위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장형진 영풍 고문을 상대로 석포제련소 문제를 질의했으나 그룹의 실질 오너로 알려진 장 고문은 당시 책임있는 답변이 아닌 문제를 회피하기에 급급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석포제련소는 올해까지 100여개의 환경개선을 약속했지만 이행은 여전히 묘연해 보인다"며 "수십년간 이어진 환경오염 정화 대책도, 노동자와 주민의 건강을 위한 개선책도 영풍그룹의 안중에는 없어 보인다"고 했습니다.
기자회견에 함께 참여한 영풍제련소 주민건강 공동대책위는 "온갖 불법과 범죄 행위로 기업을 운영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는 대한민국에서 온전한 기업으로서 자격을 상실했다"며 "조업정지라는 행정처분이나 법 위반에 대한 제재가 더이상 필요가 없는 기업으로, 폐쇄 이후 파괴된 환경과 오염된 낙동강을 복원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라고 제기했습니다.
이어 "정부와 국회는 더이상 영풍 석포제련소가 불법 범죄기업으로, 노동자들의 죽음터로 악순환을 되풀이하지 못하도록 특단의 조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영풍 석포제련소는 26일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 1공장에서 ‘위기극복 및 무재해 결의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석포제련소장을 겸하고 있는 영풍 김기호 사장은 "조업정지 기간 동안 환경과 안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개선을 통해 더 깨끗하고 안전한 제련소로 거듭날 것"이라며 "모두가 한마음으로 재도약을 준비해 조업 재개 후 더 나은 제련소를 만들어가자"고 강조했습니다.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환경파괴와 개선노력 부족으로 폐쇄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석포제련소가 비판의 목소리를 잠재울만한 대안을 내놓을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