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Small Business 중소기업

[조성원의 맛·세·이] 1g의 립스틱, 1g의 소고기 그리고...

URL복사

Thursday, October 27, 2016, 14:10:00

(맛있는 세상이야기) 우리 생활에서 1g이 갖는 경제적 가치는 얼마일까?

[인더뉴스 조성원 기자] 젊은층 사이에서 ‘1도 없다또는 ‘1g도 없다는 표현을 자주 쓰는 걸 보게 됩니다. ‘재미가 1도 없다든가 관심이 1g도 없다처럼 주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이더군요. TV 예능 프로그램의 자막으로도 종종 볼 수 있으니, 적합성이나 정확성을 떠나 꽤나 보편화된 표현임은 분명한 듯합니다.

 

짐작하시겠지만 1 혹은 1g도 없다는 표현은 내 시간이나 노력 등을 쏟을 가치가 전혀 없다는 뜻입니다. 바꿔 생각하면 1만큼의 의미만 있어도 가치를 부여할 여지가 있다는 것일 테지요. ‘1g’만 있어도 말입니다.

 

얼마 전 한 화장품 브랜드에서 이탈리아의 유명 제조업체와 손잡고 섀도와 립 루즈로 구성된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이 중 미니 립스틱이 1g 용량에 가격이 1만원이더군요. 평소 여성화장품에 대한 이해가 없었기에 깜짝 놀랐습니다.

 

그래서 같은 회사의 기존 립스틱 제품의 용량과 가격을 살펴봤습니다. 가장 비싼 제품이 3.6g 19800, 1g5500원입니다. 이태리 장인(?)의 손길이 들어가서인지 신제품이 기존제품보다 용량 대비 가격이 높습니다. 뭐 어디까지나 숫자 비교일 뿐, 실제 사용하는 여성분들이 느끼는 것은 또 다를 겁니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생활에서 1g이 가지는 경제적 가치는 어느 정도일까?’한 발 더 들어가 보고 싶어졌습니다.

 

먼저 금 시세부터 찾아봤습니다. 지난 25일 기준 국내 금 시세는 1돈에 약 173350, 1g에 약 46223원입니다. 다행히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금액이군요. 공무원 친구의 아이 돌잔치에 순금 1g 돌반지를 선물해야겠습니다.

 

실생활에 밀접한 먹을거리로 넘어갑니다. 롯데마트에서 판매중인 가장 저렴한 20kg들이 쌀의 판매가격이 33800, 1g당 약 1.69원입니다. 정확한 계량은 어렵지만 밥 한 공기에 약 쌀 90g 정도가 필요하다는 인터넷상의 의견을 감안하면, 152원에 밥 한 공기를 먹는 셈입니다.

 

불멸의 인기 메뉴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어떨까요. 마트에서 한우등심은 100g8700, 국내산 냉장삼겹살은 100g1850원입니다. 새삼 소와 돼지의 신분차이를 느끼게 되는군요. 1g87·18.5원인데, 슬픈 건 1(600g)은 먹어줘야 디저트 먹으러 갈 기분이 난다는 겁니다.

 

커피도 살펴봅니다. ‘별다방의 기본사이즈 아메리카노는 12온스입니다. 이를 환산하면 약 340g이 되는데 가격이 4100원이니 1g에 약 12원이 됩니다. 커피값 비싸다 해도 이리 보니 그런 것 같지만도 않고, 숫자에 현혹된 걸까요. 훨씬 싼 커피도 많다고요? 죄송합니다, 제가 단골이라서요.

 

고급스런 식재료도 하나 봅니다. 게임 대항해 시대를 기억하십니까? 무역하느라 밤 좀 새 본 분들은 샤프란이란 향신료가 익숙하실 텐데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마트에 가봤자 피겨여왕이 광고하는 섬유유연제가 다였지만, 최근엔 국내 대형 마트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게 됐습니다.

 

인터넷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샤프란 제품은 0.3g6650원입니다. 1g으로 환산하면 22166원인 셈입니다. 어마어마한 가격이다 싶지만 샤프란 1g을 얻으려면 500개의 암술을 말려야 하며 약 160개 구근에서 핀 꽃을 따야하고 모든 작업을 손으로 해야 한다고 하니, 왠지 저 가격이 수긍이 갑니다.

 

계속 하다보면 끝도 없을 것 같으니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여성 화장품으로 시작했으니 제가 직접 사용하는 화장품 중 하나를 골라봤습니다.

 

L 시리즈의 아이 리프트입니다(, 저 아이크림 바르는 남잡니다). 15ml71000원이군요. 단위를 좀 거칠게 변환해 15g이라 보면 1g에 약 4730원입니다. 제가 이 제품을 약 1년째 쓰고 있으니 이 정도면 꽤 합리적인 가격 같습니다.

 

이정도만 살펴봐도 우리가 1g을 위해 지불하는 비용은 참 제각각입니다. 최소 단위로 쪼개 놓으니 평소 비싸게 느껴지던 것도 다시 보이고, 그래도 여전히 총 비용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도 있구요.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를 고르는 심정으로 쇼핑을 하지만, 어떨 땐 가격의 유혹에 못 이겨 산 물건이 비지떡이 돼버리기도 합니다. 어쨌든 중요한 건 필요에 의해 비용을 지불한 재화에 내가 얼마나 만족을 했느냐 일겁니다. 청담동 사모님이건 상수동 힙스터건 간에 말입니다.


인더뉴스가 [맛·세·이]라는 코너를 새롭게 선보입니다. ‘맛있는 세상 이야기’를 줄인 말입니다. 경제와 관련된 주제뿐만 아니라 정치·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겪게 되는 세상의 일을  ‘맛있게’ 풀어보기 위해 만들게 됐습니다. 
[맛·세·이]는 열려 있습니다. ‘글 솜씨가 영 없어서...’라고 망설이지 마세요. 하고 싶은 말을 메일(hopem1@inthenews.co.kr)로 보내주시면 정성을 다해 ‘맛있게’ 다듬어 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다려 보겠습니다. [편집자주]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조성원 기자 swjo@inthenews.co.kr

배너

KB금융 1호 ‘명품가게’ 현판식…양종희 회장 “과거의 헌신 오늘의 희망으로”

KB금융 1호 ‘명품가게’ 현판식…양종희 회장 “과거의 헌신 오늘의 희망으로”

2025.08.14 14:59:09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양종희 KB금융그룹 회장은 최근 "KB금융은 금융의 역할로 우리사회 곳곳에 선한 영향력을 펼치고 모두 함께 성장하는 동반자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14일 KB금융에 따르면 양종희 회장은 전날 서울 도봉구 창동에서 '명예를품은가게(명품가게)' 첫번째 사업장 현판식에 참석해 이렇게 의지를 밝혔습니다. 명품가게는 KB금융이 광복 80주년 기념으로 국가보훈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광복회와 함께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을 발굴해 생계와 자립을 응원하고 국민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소상공인 지원사업입니다. 1호 명품가게로 선정된 창동 '팔레트미술교습소'는 독립운동가 김혁 선생의 손녀 김수정씨가 운영하는 미술학원으로 지역아동 예술교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KB금융과 한경협은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편안한 교육환경을 제공하도록 외벽정비, 간판교체, 실내 리모델링, 수도관 보강 등 전반적인 공간개선작업을 했습니다. 팔레트미술교습소 김수정 원장은 "잊지 않고 기억해 주셔서 감사하다. 독립운동가 후손이라는 것이 더욱 자랑스럽게 느껴진다"며 "이번 지원을 통해 교습소 공간이 훨씬 따뜻해졌고 앞으로도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교습소가 되겠다"고 소감을 전했습니다. 양종희 회장은 "이번 명품가게 지원사업은 과거의 헌신과 오늘의 희망을 잇는 뜻깊은 연결고리가 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KB금융과 한경협은 향후 전국 8개 지역 독립유공자 후손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가게 및 부대시설 개선(리모델링), 분야별 경영컨설팅(연중), 명품가게 현판 제공 등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KB금융은 나라 위한 희생·헌신에 감사와 존경의 의미를 담아 독립유공자를 위한 캠페인과 후원사업을 꾸준히 펼치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대한이 살았다' 캠페인을 하고 있는 KB국민은행은 '독립영웅들의 숨겨진 이야기' 영상캠페인을 제작해 대한민국 독립운동 역사를 널리 알리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대한의 보금자리' 사업으로 강원 정선, 전남 목포, 경북 영덕 등지에서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의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했습니다. 또 독립유공자 후손을 위한 장학금 전달, 생활지원키트 후원 등 독립유공자와 그 후손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에 나서고 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