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기대를 넘는 상품성을 갖춘 제품의 적기 공급으로 인도 전기차시장의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글로벌 주요 생산·판매거점 중 하나인 인도를 찾아 중장기 목표로 세운 '전동화 톱티어' 도약을 위한 행보를 펼쳤습니다.
정의선 회장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은 지난 7일부터 이틀간 현대차·기아 인도기술연구소와 현대자동차 인도공장을 둘러보고, 현지 임직원들과 중장기 성장 전략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정 회장의 인도 방문은 미래 모빌리티 거점으로 인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점검하고 다가올 미래에 치열한 전기차 격전지가 될 인도에서 전동화 톱티어 브랜드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기 위한 차원입니다.
인도는 지난해 476만대의 신차가 판매되며 중국, 미국에 이어 글로벌 3대 자동차 시장에 오른 바 있습니다. 승용차 시장의 경우 380만대 규모이며, 오는 2030년에는 500만대를 넘어설 것이라는 완성차업계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전기차 생산 및 판매 거점으로서 중요도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도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토대로 전동화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전기차 기업들이 인도 투자 계획을 밝히고 있으며 마이크론, AMD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도 진출에 속도를 내는 상황입니다.
현대차[005380]의 경우 인도 자동차시장 2위 메이커로 브랜드 입지를 확고히 굳힌 상황입니다. 지난해 사상 최대인 80만7067대 판매에 이어 올해 7월까지 전년 대비 8.8% 증가한 50만2821대를 판매했습니다. 올해 판매 목표는 지난해 보다 8.2% 늘어난 87만3000대입니다.
현대차는 인도공장에 도장라인 신설 및 추가 설비 투자를 진행해 기존 77만대 생산능력에서 5만4000대 증가한 82만4000대를 생산할 수 있게됐습니다.
인도 현지 CKD 방식 등으로 공급하는 전기차 판매는 1181대로 전년동기보다 185% 늘었습니다. 향후에는 현대차와 기아의 인도공장에서 EV 볼륨모델을 본격 양산해 전기차 판매를 대폭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대차는 지난 7월 출시한 경형 SUV 엑스터(Exter)를 비롯해 인도시장에 특화된 SUV 모델을 지속 선보이는 것과 동시에 2032년까지 5개의 전기차 모델 투입 등을 추진한다는 구상입니다. 2027년에는 현대차 판매 네트워크 거점을 활용해 전기차 충전소를 439개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도 세웠습니다.
기아[000270]는 셀토스, 쏘넷 등 SUV 인기에 기반한 프리미엄 이미지와 기술 우위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인도 전기차시장 공략에 나섭니다. 2025년부터 현지에 최적화된 소형 전기차를 생산하고 PBV 등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며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도 병행할 계획입니다.
정의선 회장은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퍼스트 무버의 입지를 빠르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상품성을 갖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그런 측면에서 인도기술연구소가 인도시장에서 현대차그룹 성장을 견인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정 회장은 현지 생산기지 방문 외에도 인도 타밀나두주 정부 청사에서 M.K. 스탈린 타밀나두주 수상을 만나 인도 자동차시장 발전방안과 현대차그룹의 인도사업 협력방안에 대해 협의했습니다. 현대차와 타밀나두주는 지난 5월 업무협약을 맺고 올해부터 10년간 전기차 생태계 조성과 생산설비 현대화 등을 위해 2000억루피(약 3조2000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정 회장은 스탈린 타밀나두주 수상에게 현대차 첸나이 공장에 대한 타밀나두 주정부의 다양한 지원에 감사를 표하고, 전동화를 비롯한 현대차의 중장기 사업 계획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양측이 성공적인 전기차 생태계 구축을 위해 기업과 주정부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함께 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