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surance 보험

대이은 ‘로리어트’…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선친 이어 ‘보험명예의전당’

URL복사

Wednesday, March 22, 2023, 17:03:41

선친 신용호 창립자와 함께 최초 부자 헌액
IIS "통찰적 리더십과 사람중심 경영" 호평
신창재 "고객·주주·임직원·컨설턴트 덕분"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로리어트(Laureate). 영어로 월계관(Laurel Wreath)을 쓴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흔히 '노벨상 수상자'를 칭할 때 쓰는 단어입니다.


글로벌 보험업계에도 로리어트가 있습니다. 1965년 설립된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보험회의체 세계보험협회(IIS·International Insurance Society)에서는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Insurance Hall of Fame Laureate)' 수상자에게 이 칭호를 부여합니다.

 

이 상이 '보험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이유입니다. 수상자의 공적과 경영철학을 명예의 전당에 영구보존할 정도로 보험분야에선 가장 영예로운 상으로 손꼽힙니다.


국내에서 대를 이어 기업을 일군 아버지와 아들이 나란히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을 받았습니다. 생명보험업계 선두주자인 교보생명입니다.


세계보험협회는 신창재 교보생명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을 '2023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앞서 신창재 회장의 선친 고(故) 신용호(2003년 별세) 교보생명 창립자는 1996년 로리어트 칭호를 받았습니다. 세계 최초로 '교육보험'을 창안해 한국 생명보험 산업과 국가경제 발전을 이끌고 교보문고 설립으로 국민교육 진흥을 구현한 공로입니다.


기업의 1·2세대 부자가 보험 명예의 전당을 대물림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쉬 란다우 세계보험협회 대표는 "신창재 대표이사는 변화혁신과 통찰적 리더십, 사람중심 경영을 통해 보험 명예의 전당의 정신을 구현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제임스 비커스 세계보험협회 아너스 프로그램 의장은 "신창재 대표이사의 이해관계자 경영을 통해 교보생명은 대한민국의 가장 성공적인 보험사로 성장했고 ESG 및 지속가능이니셔티브의 선두주자가 됐다"고 부연했습니다.

 


교보생명은 1958년 당시 대한교육보험으로 창립했습니다. 신용호 창립자는 독창적인 교육보험 출시와 함께 국내 최초의 암보험, 종업원퇴직적립보험 등을 개발하며 국내 보험산업의 수준을 한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아들 신창재 회장은 서울대 의대 교수(1987~1996년)에서 생명보험사 최고경영자(CEO)로 변신한 독특한 이력을 갖고 있습니다. IMF 외환위기의 후폭풍이 한창이던 2000년 회장에 취임해 외형을 키우기보다 고객과 이익 중심의 '퀄리티 경영'을 표방하며 위기 극복과 함께 내실성장을 주도했습니다.


그 결과 취임 당시 25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교보생명은 매년 4000억~6000억원대 당기순이익을 내는 건실한 기업으로 탈바꿈했습니다.


세계보험협회는 신 회장의 '인본주의적 이해관계자 경영'도 높이 평가합니다. 기업은 고객, 임직원, 업계, 지역사회, 투자자, 정부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위해 존재하며 모두가 균형 있게 발전해야 회사도 성장할 수 있다는 경영철학입니다.


신 회장은 "산부인과 의사 출신으로서 '인간의 존엄성'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우선 가치"라며 "인본주의적 이해관계자 경영의 핵심은 모든 이해관계자를 비즈니스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기업이 모든 이해관계자의 가치를 균형있게 고려할 때 기업 이익은 극대화되고 모두 함께 번영하는 선순환을 이끌어낼 수 있다"면서 "이는 곧 100년 이상 지속가능경영의 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신 회장은 보험 명예의 전당 월계관상 수상자 선정과 관련해선 "어려운 시장상황에서도 신뢰를 보내준 고객과 주주, 생명보험의 가치를 전파하며 동고동락한 임직원과 재무컨설턴트들에게 영광을 돌리고 싶다"고 몸을 낮췄습니다.


그러면서 "선친의 철학을 잇는 것과 함께 스스로 시대 흐름을 맞는 변화와 혁신을 꾸준히 잘 이뤄왔다는 점을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쁘다"며 "앞으로 금융지주사 전환을 통한 신성장동력 발굴과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한편 고객에 더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단계 더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문승현 기자 heysunny@inthenews.co.kr

배너

네이버, AI 결합 디지털 헬스케어 진출…제이앤피메디와 맞손

네이버, AI 결합 디지털 헬스케어 진출…제이앤피메디와 맞손

2025.08.13 11:12:28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네이버가 AI 기술을 바탕으로 헬스케어 생태계 확장과 글로벌 시장 경쟁에 나섭니다. 네이버[035420]는 최인혁 네이버 테크비즈니스 대표, 정권호 제이앤피메디 대표 등 양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네이버-제이앤피메디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포괄적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네이버는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제이앤피메디에 투자를 진행하고 향후 네이버의 AI 기술과 제이앤피메디의 임상시험 플랫폼 고도화에 협력할 예정입니다. 제이앤피메디는 제약, 바이오, 의료기기 기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데이터 플랫폼을 제공하고 CRO(임상시험수탁기관) 서비스, 투자 지원, 라이선스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입니다. 신약 및 의료기기 기술이전 전략 수립, 계약 협상 등 컨설팅은 물론 자체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국제 표준에 기반한 임상 데이터 관리, 운영, 임상시험, 품질관리 등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국가 전략 자산인 임상시험 데이터의 관리와 기술 자립을 실현하기 위해 제이앤피메디와 긴밀히 협업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AI 기술을 결합해 글로벌 진출에 필요한 디지털 임상시험 역량을 구현하고 국내 헬스케어 생태계 전반의 디지털 전환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최인혁 네이버 테크비즈니스 대표는 "이번 협업을 통해 양사가 국내외 유망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을 함께 발굴 및 투자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과 동반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네이버의 AI 기술을 제이앤피메디의 임상시험 플랫폼 노하우에 접목하여 제품 고도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네이버는 환자에 대한 병력 청취를 의료용어로 자동 변환해 EMR에 기록하는 스마트 서베이, AI 서머리 기술을 통해 과거 검진 결과를 정리, 분석해 주는 페이션트 서머리 등을 선보였습니다. 또한, 네이버 D2SF는 2017년부터 유망한 헬스케어 스타트업에 선제 투자하고 있으며 올해 8월 기준 전체 투자 포트폴리오 중 약 18%가 헬스케어 스타트업입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