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ar 자동차

국내 5개 완성차업체, 지난해 739.6만대 판매…해외서 호조세

URL복사

Wednesday, January 04, 2023, 10:01:10

전년 동기 대비 3.87% 증가
걸림돌 속에서 5개 업체 모두 판매량 늘어
해외 시장서 신차 효과로 판매 호조세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해 국내 완성차업체 5개사의 연간 총 글로벌 판매량이 전년인 2021년 대비 3.87% 증가한 739만6674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4일 완성차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005380], 기아[000270], 한국지엠, 쌍용자동차, 르노코리아자동차 등 국내 자동차기업 5개의 글로벌 판매량이 739만6674대로 조사됐습니다. 지난 2021년 판매량인 712만1394대 대비 3.87% 늘은 수치입니다.

 

5개 업체는 모두 2021년 대비 글로벌 판매량이 늘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차는 1.38% 증가한 394만4579대를, 기아는 4.58% 늘은 290만3619대의 판매량을 올렸습니다. 쌍용차는 34.8% 증가한 11만3960대로 완성차업체 중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한국지엠과 르노코리아는 각각 11.74%, 27.77% 증가한 26만4875대, 16만9641대를 올리며 전년 대비 판매량 호조세를 나타냈습니다.

 

업체 별로 볼 경우, 현대차는 국내와 해외에서 판매량이 대조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내는  2021년 대비 5.2% 감소한 68만8884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으며, 해외의 경우 2.9% 늘은 325만5695대를 올렸습니다. 국내 시장서 가장 많이 팔린 세단은 그랜저(6만7030대)로 나타났으며, RV는 팰리세이드(4만9737대), 상용차는 포터(9만2411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현대차 관계자는 "코로나19 재확산세, 반도체 부품 수급 차질, 인플레이션 확대 및 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국내 판매는 다소 감소했다"며 "미국, 유럽 및 신흥시장 등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수요가 전반적으로 회복되고 현대차의 주력 차종 및 신차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가 이어지며 해외 판매는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아는 국내 시장서 2021년보다 1.1% 늘은 54만1068대의 판매량을, 해외는 5.4% 증가한 236만2551대의 판매량을 기록했습니다. 국내와 해외 시장을 통틀어 가장 많이 팔린 차량은 스포티지(45만2068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뒤를 이어 셀토스(31만418대), 쏘렌토(22만2570대)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기아 관계자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 유연한 반도체 배분과 차량 생산 일정 조정, 2세대 니로와 더 뉴 셀토스 등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 등으로 글로벌 판매에서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쌍용차는 '토레스 효과'에 힘입어 국내와 해외시장 모두 두드러진 판매량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2021년 대비 국내 시장에서는 21.8% 증가한 6만8666대를, 해외 시장에서는 61.0% 증가한 4만5294대를 판매해 전년 대비 높은 판매량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토레스의 경우 국내에서 2만2484대가 판매되며 렉스턴 스포츠(2만5905대)와 함께 국내 판매량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해외에서는 코란도(1만3052대)와 렉스턴 스포츠(1만2453대), 티볼리(9480대), 렉스턴(9142대) 등 전 차종에서 고른 판매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쌍용차 관계자는 "내수 시장에서 토레스의 호평이 이어지고 있고, 지난해 11월에는 글로벌 론칭을 시작하는 등 내수와 수출 모두 판매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모습"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지엠은 해외 시장에서 호조세를 보인 것이 전체 판매량의 증가를 이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해외에서 2021년 대비 24.6%가 증가한 22만7638대의 판매량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저조했던 국내 판매량(3만7237대, 전년비 31.4% 감소)을 만회한 성적을 기록했습니다. 해외 판매는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15만5376대)가 이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지엠 측은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칩 수급 이슈가 완화되며 전년 대비 해외 판매량이 증가했다"며 "트레일블레이저는 차급을 뛰어넘는 상품성과 뛰어난 가격 대비 성능을 바탕으로 지난해 공신력 높은 여러 글로벌 기관으로부터 뛰어난 상품성을 인정받는 등 국내외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으며 두드러진 판매량을 나타냈다"고 설명했습니다.

 

르노코리아차는 한국지엠과 마찬가지로 해외 시장서 큰 증가세를 나타냈습니다. 해외 판매량의 경우 11만7020대로 2021년 대비 63.3% 늘었습니다. 국내 판매량의 경우 5만2621대를 기록하며 2021년보다 13.9% 감소했습니다. 해외에서는 9만9166대의 판매량을 기록한 XM3(수출명 르노 아르카나)가 판매 호조세를 이끌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홍승표 기자 softman@inthenews.co.kr

배너

한화생명, 미국 증권사 벨로시티 인수 완료…북미 자본시장에 도전장

한화생명, 미국 증권사 벨로시티 인수 완료…북미 자본시장에 도전장

2025.07.31 17:56:17

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한화생명이 미국 증권사 ‘Velocity Clearing(이하 ‘벨로시티’)’ 지분 75% 인수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보험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넘어 북미 자본시장으로 전략적 확장을 본격화합니다. 이번 벨로시티 인수는 국내 보험사가 ‘글로벌 자본시장의 중심부’인 미국 증권시장에 진출한 최초의 사례입니다. 이로써 한화생명은 미국 현지 금융사를 통해 수익성을 높이고 우수한 글로벌 금융 상품을 글로벌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했습니다. 뉴욕을 거점으로 한 벨로시티는 금융거래 체결 이후 자금과 자산이 실제로 오가는 과정을 직접 처리할 수 있는 역량(청산·결제)을 갖춘 전문 증권사입니다. 2024년말 기준 벨로시티는 총자산 약 12억달러(한화 약 1조6700억원)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2022~2024년) 매출 기준 연평균 성장률(CAGR) 25%를 기록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당기순이익 또한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인수 이후에도 지속적인 수익성 확대가 예상된다는 설명입니다. 한화생명은 기존 벨로시티 경영진과의 협업을 통해 조기 사업안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한화자산운용 미주법인, 한화AI센터(HAC) 등과 협력해 금융과 기술이 결합된 시너지를 키워 나갈 방침입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한화생명이 금융의 핵심지인 미국 시장에서 한국 금융사로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계기를 확보했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금융 기술과 글로벌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사업 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간 연결을 강화해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벨로시티 마이클 로건(Michael Logan) 대표는 “한화생명의 글로벌 비전과 네트워크가 더해져 벨로시티의 성장속도가 한층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양사 간 시너지를 극대화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화생명은 각 지역의 금융환경에 맞춘 차별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금융 생태계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동남아에서는 리테일 금융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주에서는 플랫폼 기반의 투자기능을 고도화하면서 전략적 거점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한화생명은 앞으로는 디지털기술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결합해 글로벌 고객에게 종합금융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배너